$\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체/액체 분리막을 위한 3차원 Macropore 채널을 갖는 Superflux 니켈 모세관 지지체의 제조
Preparation of Superflux Nickel Capillary Support with 3D Macropore Channel Network For Gas Separation and Liquid Filtration Membran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3, 2018년, pp.214 - 219  

송주섭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  조철희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용매 유도 상분리와 소결 공정을 혼용하여 기체 및 액체에 대하여 슈퍼플럭스 거동을 보이는 니켈 모세관 지지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니켈 모세관 전구체는 니켈, 폴리술폰, DMAC, PEG를 이용하여 도프용액을 제조한 후 NIPS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후에, 다양한 소결온도에서 수소 분위기 조건에서 소결하여 니켈 모세관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최적의 니켈 모세관 지지체는 $950^{\circ}C$ 소결온도에서 얻어졌는데 외경 $722{\mu}m$, 내경 $550{\mu}m$, 두께 $94{\mu}m$이었다. 니켈 모세관 지지체 기공율은 26%, 평균 기공경은 $4{\mu}m$이었으며 3차원으로 서로 연결된 기공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파괴하중은 2.84 kgf, 파괴 연신율은 13%이었다. 니켈 모세관 지지체의 He, $N_2$, $O_2$, $CO_2$에 대한 단일 기체 투과도는 상온에서 각각 432,327, 281,119, 264,259, 193,143 GPU로 슈퍼플럭스 거동을 보였다. 이는 3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된 $4{\mu}m$ 크기 마크로기공을 통하여 viscous flow가 일어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설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superflux nickel capillary supports for gas and vapor separation membranes were prepared by a combined process of NIPS and sintering. Nickel capillary precursors were prepared by NIPS process from PSf-Ni-DMAC-PEG400 dope solution and was sinter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적,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두께가 100 µm 이하이고 3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된 마크로기공(macro pore) 구조를 갖고 있어 슈퍼플럭스 거동을 보이는 니켈 모세관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열적,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두께가 100 µm 이하이고 3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된 마크로기공(macro pore) 구조를 갖고 있어 슈퍼플럭스 거동을 보이는 니켈 모세관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때에 소결온도가 지지체의 기공구조, 기계적 강도, 단일기체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지형 분리막을 통한 기체투과는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즉, 분리층과 지지체를 통한 기체이동은 분리층과 지지체층에서의 복합적인 기체 이동 메커니즘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형 분리막을 통한 기체투과는 지지체와 분리층의 미세구조적 특성에 의해서 좌우된다[13]. 따라서 분리층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분리층의 조성과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투과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 투과도가 매우 우수한 슈퍼플럭스 지지체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기체 및 증기 분리용 무기질 분리막의 지지체로써 튜브 형태의 α-알루미나,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지르코니아 등의 특성은 무엇인가? 기체 및 증기 분리용 무기질 분리막의 지지체로써 튜브 형태의 α-알루미나, 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지르코니아 등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체의 단일기체 투과도는 CO2 기체의 경우 수천 GPU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지형 분리막의 CO2 투과도는 지지체 투과도 이하의 값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이플럭스 거동을 보이는 기체 및 증기 분리용 고분자 및 무기 분리막 개발을 위해서는 슈퍼플럭스 거동을 보이는 지지체 개발이 필요하다.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등의 유리질 고분자 분리막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화력발전소 연소 배가스로부터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공정, 반도체 산업에서 발생되는 불화가스를 회수하는 공정 등 분리막을 이용한 대용량 기체분리 공정이 주목받고 있다[1-6]. 기존 기체 분리 분야에서 상업화된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등의 유리질 고분자 분리막은 기체 선택도가 우수한 반면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특징이 있고, 투과도가 증가하면 선택도가 감소하고 선택도가 증가하면 투과도가 감소하는 선택도와 투과도의 trade-off 특성을 보인다[7-9]. 따라서 기존의 고분자 분리막이 위에서 언급한 대용량 기체분리 공정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하이플럭스 분리막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 Yampolskii and B. Freeman, "Membrane Gas Separation," 1st edition, John Wiley & Son Ltd, UK (2010). 

  2. A. Brunetti, F. Scura, G. Barbieri, and E. Drioli., "Membrane technologies for $CO_2$ separatio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359, 115 (2010). 

  3. C. A. Scholes, K. H. Smith, S. E. Kentish, and G. W. Stevens, " $CO_2$ capture from pre-combustion processes - Strategies for membrane gas sepa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4, 739 (2010). 

  4. W. Chi, J. Lee, M. Park, and J. Kim, "Recent research trends of mixed matrix membranes for $CO_2$ separation", Membr. J., 25, 373 (2015). 

  5. S. Nam, A. Park, and Y. Park, "Separation and recovery of F-gases", Membr. J., 23, 189 (2013). 

  6. H. Koh, S. Ha, S. Woo, S. Nam, B. Lee, C. Lee, and W. Choi,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bio gas by hollow fiber gas separation membrane module", Membr. J., 21, 177 (2011). 

  7. P. Bernardo and G. Clarizia, "30 years of membrane technology for gas separation", Chemical engineering transactions, 32, 1999 (2013). 

  8. B. D. Freeman, "Basis of permeability/selectivity tradeoff relations in polymeric gas separation membranes", Macromolecules, 32, 375 (1999). 

  9. L. M. Robeson, "Correlation of separation factor versus permeability for polymeric membranes", J. Membr. Sci., 62, 165 (1991). 

  10. I. Pinnau, J. G. Wikmans, I. Blume, T. Kuroda, and K. V. Peinemann, "Gas permeation through composite membranes", J. Membr. Sci., 37, 81 (1988). 

  11. J. M. S. Henis and M. K. Tripodi, "Multicomponent membranes for gas separations", US Patent, 4230463A (1980). 

  12. J. M. S. Henis and M. K. Tripodi,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The resistance model approach", J. Membr. Sci., 8, 233 (1981). 

  13. I. Blume and I. Pinnau, "Composite membrane,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US Patent, 4963165 (1990). 

  14. S. Lee, I. Choi, S. Myung, J. Park, I. Kim, W. Kim, and K. Le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ckel hollow fiber membrane", Desalination, 233, 32 (2008). 

  15. M. Wang, J. Song, X. Wu, X. Tan, B. Meng, and S. Liu, "Metallic nickel hollow fiber membranes for hydrogen separation at high temperatures", J. Membr. Sci., 509, 156 (2016). 

  16. B. Meng, X. Tan, X. Meng, S. Qiao, and S. Liu, "Porous and dense Ni hollow fiber membranes",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470, 46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