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습윤중단 및 온도가 유자 검은점무늬병원균 Diaporthe citri 포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ness, Moisture Interruption, and Temperature on Germination of Diaporthe citri Pycnidiospores on Yuzu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4 no.2, 2018년, pp.132 - 137  

홍성준 (선문대학교 제약생명공학과) ,  윤성철 (선문대학교 제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자 검은점무늬병은 Diaporthe citri가 원인균이며, 과실에 발병하여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병자각으로부터 분생포자가 누출될 때, 습윤은 병원균 감염에 중요한 환경 요소이다. 발아과정 중 병포자가 건조에 처하거나 습윤중단이 발생할 때 발아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건조 처리는 포자현탁액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0-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습윤 중단 처리는 포자현탁액을 습윤에 10시간 먼저 노출한 후, 0-6시간 건조시켜 발아과정에서 습윤을 중단시켰다. 15시간 이상 건조 처리한 포자 발아율은 10% 이하였다. 3시간 이상 습윤 중단 처리된 포자 발아율은 35% 이하였다. 다른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비교하면, D. citri는 건조에 민감한 곰팡이다. 유자 과피 배지 위에 다양한 온도(15, 20, 25, 30, $35^{\circ}C$)별로 습윤 존재시간(3, 6, 9, 12, 15, 18, 24 hr)을 다양하게 처리하여 포자발아율을 측정하였다. 발아율 10%와 50%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 수분존재시간은 각각 4.5시간과 13시간이며, 이 때 적온은 각각 $29.2^{\circ}C$$29.1^{\circ}C$였다. 다양한 온도에서 발아율 10%와 발아율 50% 달성에 요구되는 최소 수분존재시간을 결정하는 추정식은 각각 $Wh_{10%}=0.082{\times}T^2-4.8025{\times}T+74.861$$Wh_{50%}=0.1093{\times}T^2-6.3762{\times}+106.08$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is a serious disease on yuzu fruits. Moisture is the most important to infect after the pycnidiospores are releas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dryness and moisture interruption affect on germination, the conidial suspensions on slide glass were dried for 0-48 h.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저농약 유자 생산을 위한 검은점무늬병 적기방제 방안으로서 일본에서 개발한 MELAN을 우리나라 유자 생산 현장에 적용하고자 국내 균주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건조, 습윤 중단, 온도의 변화에 따른 포자 발아율로 유자 검은점무늬병 감염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병자각으로부터 누출 직후 다양한 건조에 처한 포자가 언제까지 발아력을 유지하는지, 습윤-건조 싸이클에서 습윤중단이 포자 발아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저농약 유자 생산을 위한 검은점무늬병 적기방제 방안으로서 일본에서 개발한 MELAN을 우리나라 유자 생산 현장에 적용하고자 국내 균주를 사용하여 포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건조, 습윤 중단, 온도의 변화에 따른 포자 발아율로 유자 검은점무늬병 감염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병자각으로부터 누출 직후 다양한 건조에 처한 포자가 언제까지 발아력을 유지하는지, 습윤-건조 싸이클에서 습윤중단이 포자 발아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내에서 건조 및 습윤중단 후 검은점무늬병 병원균 포자 발아율을 측정하고, 다양한 온도 및 수분존재시간에서 포자 발아율 10%와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국내 균주의 적온과 최소 수분존재시간을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은점무늬병이 주로 발생하는 곳은? 유자 과실에 나타나는 검은점무늬병 병징은 점들로 보이는 흑점형, 딱지 모양의 니괴형, 흘러내리는 누반형 등 세 가지가 있다(Gopal 등, 2014; Kwon 등, 2003). 이 병은 15년 이상의 노령 유자나무 마른 가지에서 주로 발생하며, 죽은 가지에서 형성된 병자각 속의 병포자가 2차 전염원이 된다(Hur와 Park, 2005a;Park 등, 2014). 병포자 분산은 비바람이 원인인데, 6월 중순부터 8 월 하순 사이의 강우, 소나기, 관수가 중요하며, 특히 강수량과 상대습도가 포자의 분산과 발병을 좌우한다(Hur와 Park,2005b; Kwon 등, 2003; Park 등, 2014).
검은점무늬병과 건조의 상관관계는? 이 모델에 따르면 포자 발아율 10%를 달성하지 못하는 온도와 습윤 조건에서 검은점무늬병은 거의 발병하지 않지만, 발아율 50% 이상을 달성하는 온도와 습윤 조건에서는 발병이 확실하다. 또한 병자각에서 누출된 유자 검은점무늬병 원균 병포자 발아율은 건조가 지속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데(Kuramoto와 Yamada, 1975), 기주 표면에 부착한 병원균 포자는 맑은 날에는 4시간, 흐린 날에는 24시간 이상 건조가 지속되면 발아가 억제된다는 결과(Koizumi, 1980)를 근거로 건조가 지속되는 기주 표면에서 포자 발아율은 시간당 20%씩 감소한다는 논리가 MELAN에 포함되었다.
검은점무늬병이 발병하기 위한 온도와 습윤 조건은? Koizumi (1980)가 개발한 유자 검은점무늬병 예측모델인 MELAN은 포자 비산량을 추정한 후, 입력한 온도 및 습윤 지속기간을 근거로 발아율을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발병을 예측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포자 발아율 10%를 달성하지 못하는 온도와 습윤 조건에서 검은점무늬병은 거의 발병하지 않지만, 발아율 50% 이상을 달성하는 온도와 습윤 조건에서는 발병이 확실하다. 또한 병자각에서 누출된 유자 검은점무늬병 원균 병포자 발아율은 건조가 지속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데(Kuramoto와 Yamada, 1975), 기주 표면에 부착한 병원균 포자는 맑은 날에는 4시간, 흐린 날에는 24시간 이상 건조가 지속되면 발아가 억제된다는 결과(Koizumi, 1980)를 근거로 건조가 지속되는 기주 표면에서 포자 발아율은 시간당 20%씩 감소한다는 논리가 MELAN에 포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auz, L. F. and Sutton, T. B. 1990. Effect of interrupted wetness periods on spore germination and apple infection by Botryosphaeria obtusa. Phytopathology 80: 1218-1220. 

  2. Bashi, E. and Rotem, J. 1974. Adaptation of four pathogens to semi-arid habitats as conditioned by penetration rate and germinating spore survival. Phytopathology 64: 1035-1039. 

  3. Gopal, K., Lakshmi, L. M., Sarada, G., Nagalakshmi, T., Sankar, T. G., Gopi, V. et al. 2014. Citrus melanose (Diaporthe citri Wolf): a review. Int. J. Curr. Microbiol. App. Sci. 3: 113-124. 

  4. Grindle, M. and Good, H. M. 1961. Effects of drying on the viablility of germinated and germinating conidia of Monilinia fructicola (Wint.) Honey. T. Brit. Mycol. Soc. 44: 549-558. 

  5. Hur, K. H. and Park, S. K. 2005a. Aspect of occurrence of melanose (Diaporthe citri Wolf) on yuzu trees (Citrus junos sieb) in Jeonnam area, in Korea. Res. Plant Dis. 11: 10-15. (In Korean) 

  6. Hur, K. H. and Park, S. K. 2005b. Sporulation and dissemination of pycnidiospores of Diaporthe citri in yuzu tree (Citrus junos Sieb) in Jeonnam area. Res. Plant Dis. 11: 16-20. (In Korean) 

  7. Kim, K. W., Kim, K. R. and Park, E. W. 2015. Effects of interrupted wetness periods on conidial germination, germ tube elongation and infection periods of Botryosphaeria dothidea causing apple white rot. Plant Pathol. J. 32: 1-7. 

  8. Koizumi, M. 1980. A computer-simulation of prevalence of citrus melanoses and its chemical control. Bull. Fruit Tree Res. Stn. D 2: 39-82. 

  9. Kuhara, S. 1999. The application of the epidemiologic simulation model "MELAN" to control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Faw.) Wolf. Food Fert. Technol. Center Exten. B. 481: 8-16. 

  10. Kuramoto, T. and Yamada, S. L. 1975.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 citrus melanose infection due to Diaporthe citri. Bull. Fruit Tree Res. Stn. B2: 75-86. 

  11. Kwon, H. M., Nam, K. W., Kim, K. S., Kim, D. H., Lee, S. C. and Hyeon, J. W.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causal fungus of citrus melanose, Diaphorthe citri isolated from blighted twigs of citrus in Jeju. Res. Plant Dis. 9: 153-158. (In Korean) 

  12. Mondal, S. N., Vicent, A., Reis, R. F. and Timmer, L. W. 2007. Saprophytic colonization of citrus twigs by Diaporthe citri and factors affecting pycnidial production and conidial survival. J. Plant Dis. 91: 387-392. 

  13. Park, J. S., Cho, W. J. and Kim, W. S. 2014. Selection and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main disease of yuzu (Citrus junos Sieb). Kor. J. Org. Agric. 22: 115-127. (In Korean) 

  14. Park, K. H., Yun, H. J., Ryu, K. Y., Yun, J. C., Kim, S. R., Kim, W. I. et al. 2011.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dauci. Res. Plant Dis. 17: 381-385. (In Korean) 

  15. Yu, H. Y. 1993. Compendium of Fruit Tree Disease with Color Plat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86 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