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남윤씨(海南尹氏) 주거건축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eNam Yoon clan's Residential Buildings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7 no.3, 2018년, pp.73 - 82  

최정미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san(孤山) Yun Seon-do is a literary artist and poet, Nogudang House(綠雨堂) is an invisible space composition a ${\Box}$-type of arrangement in Jeollanam-do. The study of related architecture together with Gosan Yun Seon-do has been studied variously ear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 가옥의 안채가 갖는 유사한 공간구성 특징은 무엇인가? 첫째, 평면상으로는 각 가옥의 안채는 유사한 공간구성을 보이지만 실의 쓰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형태적으로 녹우당과 공재고택은 안마당을 가지는 ‘ㄷ’자형의 형태로 같으며, 윤철하 고택은 안채와 별당채를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함께 보며 유사하다. 세 가옥의 평면구성은 본채에 큰 대청공간을 둔 점과 결합부에방과 부엌 공간 형성, 돌출부의 안방과 상부 다락구성을 통해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녹우당의 특이점은 무엇인가? 고산 윤선도는 조선 중기 문인이자 시조 작가이며, 녹우당은 전남지역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ㅁ자형의 배치를 보이는 고택이다. 이 고택은 구례 운조루와 함께 전남지역에 남아있는 대표적인 사대부가이다.
공재고택에는 사라졌던 겹지붕이 윤철하 고택에서 다시 등장하는 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반면 녹우당에는 있었지만 공재고택에는 사라졌던 겹지붕이 윤철하 고택 정면 돌출부에서 다시 등장하는것은 특이하다. 이를 통해 녹우당의 겹지붕 구조가 공재고택에서 변모되어 완성형로 귀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다시 윤철하 고택에서 돌출부의 공간 확장을 위한 방법으로 선대의 건물인 녹우당의 겹지붕 구조를 선택해 사용하였음이 짐작 가능하다. 또한,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회첨 꺾임부 처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최원규, 한말 일제하의 농업경영에 관한 연구-해남윤씨의 사례 , 한국사연구회 논문집, 제50,51호, 1985 

  2. 조정식, 한국남부지방전통주거의공간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1권, 1호, 1995 

  3. 전봉희, 해남 윤씨가의 주택경영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호 11집, 1996. 

  4. 장동국, 영.호남 전통상류주택 공간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11호, 2002 

  5. 이희봉.이향미, 상류 전통주거 해남 녹우당의 해석, 건축역사연구, 제11권, 1호, 2002 

  6. 성종상, 고산 윤선도 원림의 생태적 수경연출기법, 환경논총, 제43권, 2005 

  7. 정윤섭, 조선후기 해남윤씨 가의 맹골도 획득과 경영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논문집, 31호, 2008 

  8. 서효원, 전통목조건축물 중도리 위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장기인, 한국건축대계 목조, 보성각, 1993 

  10. 장기인, 한국건축대계기와, 보성각, 2007 

  11. 전남대학교 박물관, 전남의 전통건축, 1999 

  12. 천득염.전봉희, 한국의 건축문화재-전남편, 기문당, 2002 

  13. 이내옥, 공재 윤두서, 시공사, 2003 

  14. 김동현,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2005 

  15.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19, 2007 

  16.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4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