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광통신에서 3-레벨 바이트반전 전송을 이용한 플리커 방지
Flicker Prevention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Three-Level Byte-Inversion Transmission 원문보기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Journal of IKEEE, v.22 no.2, 2018년, pp.316 - 323  

이성호 (Dept. of Electronics and IT Media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통신에서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3-레벨 바이트반전 전송방식을 새로이 소개한다. 가시광 송신부에서는 3-레벨 LED 변조기를 사용하여 원신호와 반전신호를 차례로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LED의 평균광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는다. 가시광 수신부에서는 간단한 비교기를 사용하여 원신호가 쉽게 복구된다. 이 방식에서는 플리커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클럭이나 캐리어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플리커가 없는 실내의 가시광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newly introduce the three-level byte-inversion transmission method for preventing LED flicker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The VLC transmitter sequentially sends the original signal and the inverted signal in byte units using a three-level LED modulator. The average op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통신에서의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클럭전송이나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좀 더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3-레벨 바이트반전 전송방식을 새로이 개발하여 제안한다. 이 방식에서는 송신부에서 1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원신호(original signal)와 반전신호(inverted signal)를 순차적으로 보냄으로써 LED의 평균 광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플리커를 방지하는 구조이다.
  • 본 논문에서는 조명과 통신을 겸하는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하여 3-레벨 바이트반전 전송방식을 새로이 개발하여 소개하였다. 먼저 3-레벨 바이트반전 전송방식을 서술하였고, 전송과정에서 송신부와 수신부에서의 전압파형을 차례로 관측함으로써 3-레벨 전송방식에서의 동작과정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출력의 가시광 발광다이오드는 어느 분야에 활용되는가? 최근에 들어 반도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한 고출력의 가시광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가 다량으로 개발 및 보급되면서 실내조명, 도로 및 건물 주변의 가로등 및 보안등, 자동차 조명, 교통 신호등과 같이 거의 모든 조명시설에서 LED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하여 높은 전력 변환효율을 가지며, 기계적 충격에 강하고, 발광 단면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구조로 배열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조명장치를 쉽게 개발 및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LED의 장점은? 최근에 들어 반도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한 고출력의 가시광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가 다량으로 개발 및 보급되면서 실내조명, 도로 및 건물 주변의 가로등 및 보안등, 자동차 조명, 교통 신호등과 같이 거의 모든 조명시설에서 LED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하여 높은 전력 변환효율을 가지며, 기계적 충격에 강하고, 발광 단면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구조로 배열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조명장치를 쉽게 개발 및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LED는 주입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의 밝기를 비교적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출력광의 변조속도가 빨라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다.
3-레벨의 신호광이 전송된 상태에서 수신부의 광검출기를 통하여 AC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어떤 이점을 가지는가? 이 신호가 비교기를 통과하면서 원신호는 검출되는 반면 반전 신호는 차단되어 송신부에서 보낸 원신호가 수신된다. 이 방식에서는 플리커의 방지를 위하여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동기신호가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반송파가 없는 기저대역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시스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LED 조명을 이용하여 실내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 넓게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T. Komine and M. Nakagawa, "Fundamental analysis for visible-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D lights," IEEE Trans. Consum. Electron., vol.50, no.1, pp. 100-107, 2004. DOI: 10.1109/TCE.2004.1277847 

  2. Y. K. Cheong, X. W. Ng, and W. Y. Chung, "Hazardless biomedical sensing data transmission using VLC," IEEE, Sens. J ., vol. 13, no.9, pp. 3347-3348, 2013. DOI: 10.1109/JSEN.2013.2274329 

  3. S. H. Lee, "A passive transponder for visible light identification using a solar cell," IEEE Sens. J ., vol.15, no.10, pp. 5398-5403, 2015. DOI: 10.1109/JSEN.2015.2440754 

  4. S. Rajagopal, R. D. Roberts, and S. K. Lim, "IEEE 802.15.7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ation schemes and dimming support," IEEE Comm. Mag., vol. 50, no. 3, pp. 72-82, 2012. DOI: 10.1109/MCOM.2012.6163585 

  5. C. Yao, Z. Guo, G. Long, and H. Zhang, "Performance Comparison among ASK, FSK and DPSK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pt. Photon. J ., vol. 6, no. 8B, pp. 150-154, Aug. 2016. DOI: 10.4236/opj.2016.68B0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