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T 기반 표고버섯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개발
Development of a smart model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based on ICT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6 no.2, 2018년, pp.125 - 129  

김인엽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  권형일 ((주)소암컨설턴트) ,  황인호 ((주)소암컨설턴트) ,  이원호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  노종현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  최선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  고한규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 기반의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부환경 영향을 감소시킨 재배하우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재배사 내외부에는 재배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환경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제어반을 제작하였다. 표고재배 환경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재배과정 분석을 통해 4가지 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에 따라 환경제어 모듈을 설계하였다.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PC,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재배자가 편리하게 재배환경을 관리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a smart cultivation facility based on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 cultivation house was selected. Sensor devices were installed to monitor any changes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 control panel was construct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data on environ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베디드 컴퓨터(HNS IEC667)에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반은 표고버섯재배 환경인자에 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계측 데이터에 대한 수집 및 서버로의 자료전송, 환경인자 변화감지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 기능 및 계측된 환경인자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냉난방기, 순환팬, 가습기와 같은 환경조절 구동장치와 연동하여 최적의 재배환경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제어반 내부에 제어보드가 있으며, 전면에는 7인치 또는 10인치 터치스크린이 있어 작동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실시간으로 계측된 환경인자 데이터 및 제어설비 가동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서 재배시설내의 환경을 보다 편리하게 모니터링 가능하며, 설치된 여러 센서들을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냄으로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수치화하여 정확한 데이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재배시설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측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모듈은 계측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이력조회의 기능을 내포하며 이를 통해 도출된 자료에 대해 분석이 가능하다.
  • 표고 톱밥재배는 원목을 이용한 재배보다 짧은 재배기간내 집중적인 버섯생산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외부 환경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재배기술과 시설의 변화로 표고재배도 스마트 관리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ICT 기술을 융합한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에 첨단기술(IT, ICT, IOT)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 하는 이유는? 주요 농업선진국들은 부족한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편리성과 농업인의 수익성향상 등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환경관리, 생산비용 절감, 농작물의 품질향상 및 작업 효율 향상 등의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 첨단기술(IT, ICT, IOT)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Yeo et al, 2016). 이러한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은 측정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으로 정밀한 생산관리가 가능한 농장으로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언제어디서나 편리하게 농사 환경을 관측하고 제어할 수 있다.
ICT 기술을 융합한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농업분야에서 스마트팜은 품질과 생산성 그리고 편리성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추구하는 미래농업의 세계적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Yoon et al, 2017). 최근 우리나라의 표고재배는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농장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재배하우스 시설구조와 재배환경제어설비 개선으로 사계절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한 안정적인 연중재배시스템의 실현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표고 톱밥재배는 원목을 이용한 재배보다 짧은 재배기간내 집중적인 버섯생산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외부 환경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재배기술과 시설의 변화로 표고재배도 스마트 관리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ICT 기술을 융합한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의 특징은? 주요 농업선진국들은 부족한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편리성과 농업인의 수익성향상 등에 초점을 맞춘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환경관리, 생산비용 절감, 농작물의 품질향상 및 작업 효율 향상 등의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 첨단기술(IT, ICT, IOT)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Yeo et al, 2016). 이러한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은 측정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으로 정밀한 생산관리가 가능한 농장으로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언제어디서나 편리하게 농사 환경을 관측하고 제어할 수 있다.농업분야에서 스마트팜은 품질과 생산성 그리고 편리성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추구하는 미래농업의 세계적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Yoon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l WS, Son JE. 1999. Analysis of optimum cultivation environment during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 with micro-meterological data. Proc Bio-Env Control. 1:114-117. 

  2. Jhune CS, Kong WS, Park HS, Cho JH, Lee KH. 2014. Mushroom growth and cultivation environment at cutivation house of vinyl bag cultivation shiitake mushroom on high-temperature period. J. Mushrooms 12:263-269. 

  3. Jo WS, Lee SH, Ryu SY, Kang MG, Kim WH, Park CM, Park WW. 2016. Using automated container type culture system Hericium erinaceum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J Mushrooms 14:249-252(in Korean). 

  4. Koo CD, Lee SJ, Lee HY. 2013.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omposition and browning of oak sawdust medium for ground bed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Kor J Mycol 41:85-90(in Korean). 

  5. Lee TS, Ko MK. 1996. Innovation of long-cultivation for Lentinus edodes. J. Bio-Env. Control 14:160-165. 

  6. Lee WH, Kim IY, Go HG, Kim SC, Chol SG, Noh JH, Park HS. 2014.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fruiting body in Lentinula edodes. J. Mushrooms 12:24-28. 

  7. Son JE, Choi WS. 2000.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during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Lentinus edodes(Berk) Sing). J. Bio-Env. Control 9:115-119. 

  8. Son JE, Park KS, Lee BS, Yun NK. 2002. Improvement of quality of oak mushroom by environment control in sawdust culture. J Bio-Env. Control 01:97-100. 

  9. Yeo UH, Lee IB, Kwon KS, Ha TH, Park SJ, Kim RW, Lee SY. 2016. Analysis of reserch trend and core technologies base on ICT to materialize smart-farm. J Protect Horti Plant Fact. 25:30-41. 

  10. Yoon NG, Lee JS, Park KS, Lee JY. 2017. Current state of korean-style smart farm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J Rural Resources 59: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