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해저 지하수 중 용존유기물질 분포 특성
Distribu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Jeju Island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40 no.2, 2018년, pp.77 - 85  

송진욱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김정현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김태훈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observed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in coastal seawater and groundwater around a volcanic island, Jeju, Korea. The sampling of surface seawater and coastal groundwater was conducted in Woljeongri, Pyoseon, and Kwakgi beach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 6월, 7월, 10월 세 차례에 걸쳐 제주도 연안 중 월정 해수욕장 주변의 경우 제주 동부 하수처리장 부근, 표선해수욕장은 주변 대 단지 육상 양식장 부근, 곽지 해수욕장에서 연안 해수와 지하수를 채수하였다. 10월에는 태풍 차바로 인해 많은 양의 비가 내린 직후 조사를 하여, 강수로 인한 지하수 유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6월 월정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5개, 연안수 1개, 표선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9개, 연안수 1개, 7월 월정해수욕장에서 지하수 5개, 연안수 1개, 표선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6개, 연안수 1개, 곽지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10개, 연안수 1개, 10월에는 월정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10개, 연안수 1개, 표선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9개, 연안수 1개, 곽지 해수욕장에서 지하수 9개, 연안수 1개를 채수하였다.
  • 하지만, 해저 지하수 내에서 용존유기물질의 기원을 알아보기 위한 CDOM 분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 해저 지하수 중 용존유기물질 농도분포를 살펴보고, CDOM을 이용하여 용존유기물질의 기원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존유기물질의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가?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의 약 97%는 용존유기탄소(Dissloved Orgarnic Carbon, DOC)의 형태로 해양에 저장(700 Gt)되어 있다(Williams and Druffel 1987; Emerson and Hedge 1988; Amon and Benner 1996). 해양에 존재하는 DOC는 주로 해양생물에 의한 일차생산활동(autochthonous)에 의해 만들어지고(Michaelis et al.
해양생물에 의한 일차생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DOC는 어떻게 제거되는가? 2004), 대기나 육상으로부터 공급(allochthonous)되기도 한다(Williams and Druffel 1987; Emerson and Hedge 1988; Amon and Benner 1996). 이렇게 생성된 DOC는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작용과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무기형태로 제거된다(Mopper et al. 1991; Kawasaki and Benner 2006).
유색 용존유기물의 형광분석법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유색 용존유기물(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은 광학적으로 잘 반응하여 쉽게 측정 할 수 있는 유기물로서, 유기물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CDOM의 형광분석법은 간단하면서 생물 활동에 영향을 받지만 단시간 내의 혼합 과정에 대한 보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기물의 기원을 추적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Del Castillo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Domestic climate data. http://www.weather.go.kr Accessed 20 Dec 2017 

  2. Special autonomy for Jeju water supply and drainage headquarters (2018) The waterwork quality of water onspection result. http://www.jejuwater.go.kr Accessed 12 May 2018 

  3. Statistics Korea (2018) The current Fishery households by culture type and species. http://www.kostat.go.kr Accessed 12 Mar 2018 

  4. Amon RMW, Benner R (1996) Bacterial utilization of different size class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Limnol Oceanogr 41:41-51 

  5. Burnett WC, Taniguchi M, Oberdorfer J (2001)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of the direct discharge of groundwater into the coastal zone. J Sea Res 46:109-116 

  6. Burnett WC, Bokuniewicz H, Huttel M, Moore WD, Taniguchi M (2003) Groundwater and pore water inputs to the coastal zone. Biogeochemistry 66:3-33 

  7. Burnett WC, Aggarwal PK, Aureli A, Bokuniewicz H, Cable JE, Charette MA, Kontar E, Krupa S, Kulkarni KM, Loveless A (2006) Quantifying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zone via multiple methods. Sci Total Environ 367(2-3):498-543 

  8. Burnett WC, Wattayakorn G, Taniguchi M, Dulaiova H, Sojisuporn P, Rungsupa S, Ishitobi I (2007) Groundwaterderived nutrient inputs to the upper Gulf of Thailand. Cont Shelf Res 27:176-190 

  9. Beck AJ, Tsukamoto Y, Tovar-Sanxhez A, Huertadiaz M, Bokuniewicz HJ, Sanudo-Wilhelmy SA (2007) Importance of geochemical transformatoins in determining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derived trace metal and nutrient fluxes. Appl Geochem 22:477-490 

  10. Carlson CA, Ducklow HW, Michaels AF (1994) Annual flux of dissolved organic carbon from the euphotic zone in the northwestern Sargasso Sea. Nature 371:405-408 

  11. Church TM (1996) An underground route for the water cycle. Nature 380:579-580 

  12. Chen Z, Hu C, Conmy RN, Muller-Karger F, SwarZenski P (2007)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ampa Bay, Florida. Mar Chem 104:98-109 

  13. Coble PG (1996) Characterization of 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scopy. Mar Chem 51:325-346 

  14. Coble PG (2007) Marine optical biofeochemistry: the chemistry of ocean color. Chem Rev 107(2):402-418 

  15. Del Castillo CE, Coble PG, Morell JM, Lopez JM, Corredor JE (1999) Analtsis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Orinoco River plume by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Mar Chem 66:35-51 

  16. Emerson S, Hedges JI (1988) Processes controlling the organic carbon content of open ocean sediments. Paleoceanography 3:621-634 

  17. Gao Q, Tao Z, Shem Y, Sun Y, Yi W, Xing C (2002) Riverine organic carbon in the Xijiang River (South China): seasonal variation in content and flux budget. Environ Geol 41:826-832 

  18. Hansell DA, Carlson CA, Suzuki Y (2002) Dissolved organic carbon export with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formation. Global Biogeochem Cy 16(1):7-1-7-8. doi:10.1029/2000GB001361 

  19. Jeong JW, Jim G, Han SH (2012) Influence of trace element fluxes from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on their inventories in coastal waters off volcanic island, Jeju, Korea. Appl Giochem 27(1):37-43 

  20. Kawasaki N, Benner R (2006) Bacterial releas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uring cell growth and decline: molecular origin and composition. Limno Oceanogr 51:2170-2180 

  21. Kim G, Lee K-K, Park KS, Hwang DW, Yang HS (2003) Larg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from a volcanic island. Geophys Res Lett 30:2098. doi:10.1029/2003aGL018378 

  22. Kim G, Ryu JW, Yang HS, Yun ST (2005)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to the Yellow Sea revealed by $^{228}Ra$ and $^{226}Ra$ isotopes: implications for golbal silicate fluxes. Earth Planet Sc Lett 237:156-166 

  23. Kim MC, Jang TW, Han YJ, Kim JS, Harikrishan R, Oh DC, Kim KY, Heo M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quacultural discharging water in Jeju island. J Life Sci 19(7):943-948 

  24. Kim TH, Waska H, Kwo Em IG, Suryaputra N, Kim G (2012) Production, degradation and flux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subterranean estuary of a large tidal flat. Mar Chem 142-144:1-10 

  25. Kim TH, Kwon E, Kim I, Lee SA, Kim G (2013)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subterranean estuary of a volcanic island, Jeju: importance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fluxes to the ocean. J Sea Res 78:18-24 

  26. Koh K (1997)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and hydrogeologic implications of the Seog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25 p 

  27. LaRoche J, Nuzzi R, Waters R, Wyman K, Falkowski P, Wallace D (1997) Brown tid blooms in Long Island's coastal waters linked to interannual variability in groundwater flow. Glob Change Biol 3:397-410 

  28. Lee JM, Kim G (2007) Estimating submarine discharge of fresh groundwater from a volcanic island using a freshwater budget of the coastal water column. Geophys Res Lett 34(11):L11611. doi:11610.11029/12007GL029818 

  29. Meybeck M (1982)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transport by world rivers. Am J Sci 282:401-450 

  30. Michaelis W, Ittekkot V, Degens ET (1986) River inputs into oceans. In: Lasserre P, Martin JM (eds) Biogeochemical processer at the landsea boundary. Elsevier, Amsterdam, pp 37-52 

  31. Moore WS, Sarmiento JL, Key RM (2008)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revealed by $^{228}Ra$ distribution in the upper Atlantic Ocean. Nat Geosci 1:309-311 

  32. Mopper K, Zhous X, Kieber RJ, Kieber DJ, Sikorski RJ, Jones RD (1991)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its impact on the oceanic carbon cycle. Nature 353:60-62 

  33. Park GS (2004) Assessment of the discharge of submarine groundwater and associated chemical constituents from Jeju Island, Korea.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41 p 

  34. Santos IR, Burnett WC, Dittmar T, Suryaputra IGNA, Chanton J (2009) Tidal pumping drives nutrient and dissolved orgranic matter dynamics in a Gulf of Mexico subterranean estuary. Geochim Cosmochim Ac 73:1325-1339 

  35. Swarzenski PW, Orem WG, McPherson BF, Baskaran M, Wan Y (2006) Biogeochemical transport in the Loxahatchee river estuary: the role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Mar Chem 101:248-265 

  36. Taniguchi M, Burnett WC, Cable JE, Tumer JV (2002) Investig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Htdrol Process 16:2115-2129 

  37. Williams PM, Druffel ERM (1987) Radiocarbon in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Ocean. Nature 330:246-248 

  38. Wu Y, Zhang J, Cho KW, Hong GH, Chng CC (2004) Origin and transport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 the Yalujiang estuary, North China. Estuaries 27:583-5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