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comparison with land-use and traffic volume in Seoul,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1, 2018년, pp.123 - 138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이상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반경 500m의 원을 포함하는 헥사곤을 기준단위로 하여 서울 전역을 구획화하고 보간법 중 거리반비례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ustainably monitor air pollution in Seoul, the number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by Korea's Ministry of Environment. Although particulate matters(PM), one of the pollutants measured at the stations, have an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body, the concent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서울시 대기오염측정망과 도로변 측정소에서 제공되는 PM10과 PM2.5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 분포도를 제작하고, (2)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을 토지이용과 교통량으로 한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작한 미세먼지 농도 분포도와 비교함으로써, 서울시 미세먼지의 공간적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 5의 농도 분포를 지역별로 측정소 주변 토지이용의 특성과 면적 차이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값의 공간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농도 분포의 변화와 이에 대한 원인으로 교통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농도분포에 영향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2018년 1월 17일과 18일은 미세먼지 대책으로 서울시에서는 대중교통이용을 촉진하고자 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무료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시행한 시점으로 이에 대한 공간분석 자료는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고 판단하였다(Figure 2).
  • 서울시의 미세먼지 관련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나, 미세먼지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공간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를 파악하고, 토지이용형태와 교통량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농도 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정책 추진에 대한 명확한 효과 분석과 저감 효율을 판단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과 자동차 이용을 중심으로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에 따른 공간분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과제로 토지이용의 경우 이용형태를 산업단지와 도로 및 주거지역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제안할 수 있으며, 자동차 이용의 경우에는 자동차가 생성해 내는 미세먼지의 양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세밀한 도로교통과 특성을 비교한 미세먼지 농도의 시간에 따른 분포의 변화연구를 제안하고, 공간정보의 활용 기술개발을 제안한다.
  • 본 연구의 가설은 측정소 주변에서 다양한 형태의 토지이용이 PM10과 PM2.5의 농도 분포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였고, 또한 차량이용이 미세먼지의 발생(Lee, 2008)과 더불어 미세먼지 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 원인은?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 순위는?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IJ, Jo WK, Sin SH. 2016. Evaluation of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5):673-681. 

  2. Duan J, Tan J, Wang S, Hao J, Chai F. 2012. Size distributions and souirces of elements in particulate matter at curbside, urban and rural sites in Beij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4(1):87-94. 

  3. Han SW, Lee SH, Lee HW. 2015.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M distribution in coastal and inland cities correlation and its correl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1513-1523. 

  4. Jeong JC. 2014. A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Time Series Change of PM10 in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61-69. 

  5. Ju JH, Hwang IJ. 2011. A Study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rincipal Pollutants in Daegu Area Using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5):545-557. 

  6. Jung JH, Lee HD, Shon BH. 2012. Assessment of location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ind sector division in Poha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4):1931-1938. 

  7. Jung JH, Choi WJ, Leem HH, Shon BH. 2010.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Pollutants in Poha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7):2719-2726. 

  8. Kim AY and Kwon CH. 2016. Study on optimal location of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s in urban area using GIS:Focused on the case of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2(4):358-365. 

  9. Lee HD, Lee GH, Kim ID, Kang JS, Oh KJ. 2013. The influence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ir pollutants by sea breeze and mist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Clean Technology. 19(2):95-104. 

  10. Lee KS. 2008.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traffic related air pollution.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1(1):59-77. 

  11. Lee YK, Lee KJ, Lee JS, Shin ES. 2012.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M10.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6):666-674. 

  12. ME. 2013. Guidelines for action plan of area air quality regulations. Ministry of Environment. 

  13. NIER. 2013. Planning research on building a management system for advancing Korea's air pollution measurement network.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Republic of Korea. 

  14. Park JK, Choi YJ, Jung WS. 2015., An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concentration and its relation of the death from Asthma in Seoul,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7):961-968. 

  15. Park JK, Choi YJ, Jung WS. 2016. Understa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matter in Seoul -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in borough spatial area and 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6(1):55-65. 

  16. Park MH, Park MS, Kim HD. 2007. Comparative study on the exhaust of air pollution from Daegu-si between 1998 and 2004.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p. 174-178. 

  17. Park NW. 2011. Time-series mapping and uncertainty modeling of environmental variables: a case study of PM10 concentration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3):249-264. 

  18. Samet JM, Dominici F, Curriero FC, Coursac I, Zeger SL. 2000.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20 U.S cities, 1987-1994.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1742-1749. 

  19. Schwartz J. 1994.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 a review and meta analysis. Environmental Research. 64(1):36-52. 

  20. Shen G, Xue M, Chen Y, Yang C, Li W, Shen H, Huang Y, Zhang Y, Chen H, Zhu Y, Wu H, Ding A, Tao S. 2014. Comparison of carbonaceous particulate matter emission factors among different solid fuels burned in residential stoves. Atmospheric Environment. 89:337-345. 

  21. Shin DC. 2007.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2):175-182. 

  22. Sun Y, Zhuang G, Wang Y, Han L, Guo J, Dan M, Zhang W, Wang Z, Hao Z. 2004. The air-borne particulate pollution in Beijing - concentrati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sources. Atmospheric Environment. 38(35):5991-6004. 

  23. Wang S, Zhou C, Wang Z, Feng K, Hubacek K. 2017. The Characteristics and drivers of fine particulate matter(PM2.5) distribution in Chin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42(4):1800-18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