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PM10 공간분포 분석과 시계열 변화
A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Time Series Change of PM10 in Seoul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1, 2014년, pp.61 - 69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서 직경 $10{\mu}m$이하의 미세먼지에 대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PM10은 폐암과 질병에 의한 사망율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PM10의 공간적 분포는 서울의 대기오염에서 중요한 관심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 PM10의 공간적 분포 분석은 2010년과 2011년 서울시 미세먼지의 월 평균자료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PM10의 공간보간은 PM10의 공간분포 특성을 잘 반영하는 IDW 방법을 적용하였고, PM10의 월 평균 공간분포는 서울시의 서부지역(영등포)이 초봄과 겨울철에 서울시의 북부지역 보다 높은 농도의 공간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2010년과 2011년 PM10 농도 분포의 비교에서 2011년 강남구와 송파구의 PM10 농도는 2010년 연평균 공간분포 보다 증가하였다. 서울시 PM10의 공간 분포가 영등포구, 강남구, 청량리 등 특정지역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서 이에 대한 관리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atial analysis of PM10 was performed to Particulate Materials(PM) less than $10{\mu}m$ in diameter in Seoul city. Because PM10 are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mortality rate of lu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patial distribution of PM10 are special interes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PM10의 실시간 측정 자료를 일 평균, 월 평균 자료로 정제하여 서울시 PM10 시공간 분포 지도를 작성하고, 배출원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PM10 측정지점 2km 이내 토지이용에 따라 나타나는 PM10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같이 서울시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측정망 지점에서 측정된 PM10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PM10의 공간상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평가하였다. 그림 2의 서울시 PM10 점 측정망에 의한 PM10의 측정 자료는 일 농도, 월 평균 농도, 연평균 농도 등 시간적 구분에 의해 측정 지역의 PM10 농도를 파악할 수 있지만, 측정점이 분포하지 않는 지역에 대해서는 공간내삽기법을 통해 PM10 농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측정망 지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공간상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특징으로 평가하여 공간보간기법을 통해 서울시 지역별 PM10 농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PM10 자동측정망에서 측정된 PM10 일 농도 자료를 이상치를 제거한 월 평균 자료로 생산하여 측정망 공간분석을 하였다. 서울시 대기환경자동측정망에서 측정되는 PM10 자료는 배출원 인벤토리와 배출 모델을 적용한 배출량 자료와 비교하여 측정점 농도의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PM10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2010년과 2011년의 분기별 비교를 통하여 연간 PM10의 공간적 분포에서 지역별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였다. 특히 7, 8, 9월의 청정한 시기에도 서울시 PM10공간 분포에서 특정지역의 분포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지역적 배출량과 배출원 특성이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10과 미세먼지란 각각 무엇인가? 이는 도로 교통량 증가로 인한 도심지의 미세먼지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에 의한 영향으로 보고되고 있다. PM10은 가늘고 작은 먼지입자로 지름 10㎛ 이하인 먼지를 말하며, 공기 중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상태의 입자 혼합물을 미세먼지라고 한다. 이러한 미세입자들은 자연 배출원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고정배출원이나 이동배출원으로 부터 배출되므로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의 이온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배출원으로 부터 직접 배출되거나 아황산가스나 질소산화물과 같은 가스 상태 물질에 의해 2차적으로 생성된다(Simon et al.
공간보간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공간보간 기법으로 지역 경향면 모형,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RBF(radial basis function), 크리깅(kriging) 방법(Johnston et al., 2001) 중에서 IDW를 사용하여 공간분석을 하였다.
최근 서울시의 PM10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서울시의 PM10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도로 교통량 증가로 인한 도심지의 미세먼지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에 의한 영향으로 보고되고 있다. PM10은 가늘고 작은 먼지입자로 지름 10㎛ 이하인 먼지를 말하며, 공기 중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상태의 입자 혼합물을 미세먼지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H.L. and J.C. Jeong. 2006.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1):29-41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 자료에 대한 공간보간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14(1):29-41). 

  2. Cho, H.L. and J.C. Jeong. 2009.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PM10 in Seoul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8(1):31-39 (조홍래, 정종철. 2009. 공간보간기법에 의한 서울시 미세먼지(PM10)의 분포 분석.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8(1):31-39). 

  3. Fitz, D.R. and C. Bufalino. 2002. Measurement of PM10 emission factors from paved roads using on-board particle sensors. Proceedings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1th International Emission Inventory Conference, Atlanta, GA, April 2002. 

  4. Ghim, Y.S. 2012. Proposal for air quality improvement and green growt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8(2) :109-118. 

  5. Han, S.H. 2006. A study on the real-time measurement fo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aved-road silt loading using the mobile dust monitoring system. Master Thesis, Univ. of Inha, Korea, 76pp. (한세현, 2006. 이동먼지측정시스템을 이용한 포장도로 Silt Loading의 시간적.공간적 변화특성에 관한 실시간 측정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쪽). 

  6. Johnston, K., J.M. Ver Hoef, K. Krivoruchko and N. Lucas. 2001. Using ArcGIS Spatial Analyst. ESRI Press. 

  7. Kim, D.G., H.A. Jin, S.B. Lee, Y.S. Ryu, D.G. Lee, K.H. Kang, J.H. Lim, Y.D. Hong, J.H. Lee, K.M. Lee, S.J. Lee and S.J. Lee.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mission estimate methods for the air pollutants. 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Climate and Air Qualit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NO. 2010-99-1274), 38pp. (김대곤, 진형아, 이수빈, 유영숙, 이대균, 강경희, 임재현, 홍유덕, 이주형, 이경미, 이승준, 이석조. 2010.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산정방법 개선 연구. 기후대기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보고서(NO. 2010-99-1274). 38쪽). 

  8. Park, E.J., M.S. Kang, D.E. You, D.S. Kim, S.D. Yu, K.H. Chung and K.S. Park. 2005.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fine particles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2):179-186 (박은정, 강미선, 유대은, 김대선, 유승도, 정규혁, 박광식. 2005. 서울북부 지역 미세입자에 함유된 유해 중금속의 분석 및 건강위해성평가. 환경독성학회지 20(2):179-186). 

  9. Park, G.H., J.G. Jo and B.S. Ryu. 2010. Evaluation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M2.5 in ambient air in Busan.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154-167 (박기형, 조정구, 류병순. 2010. 부산시 대기 환경에서 PM2.5의 오염 특성과 화학적 조성평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 20(1):154-167). 

  10. Park, J.C. and M.K. Kim.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147-163 (박종철. 김민규. 2013.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자료에서 강수분포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47-163). 

  11. Park, N.W. and D.H. Jang.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6):1002 -101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6(6):1002-1015). 

  12. Simon, H., D.T. Allen and A.E. Wittig. 2008. Fine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inventories: comparisons of emissions estimates with observations from recent field program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8(2):320-343. 

  13. Zerrouqi, Z. M. Sbaa, M. Oujidi, M. Elkharmouz, S. Bengamra and A. Zerrouqi. 2008. Assessment of cement's dust impact on the soil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1):125-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