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 방어 아동의 먹기에 미치는 효과: 단일 실험 설계 연구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Eating of a Child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6 no.1, 2018년, pp.1 - 13  

김윤성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손초록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방어 아동의 먹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6세의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21일부터 6월 2일까지 총 6주간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 중재를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design) 중 AB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5회기와 중재기간 B(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 10회기로 총 15회기를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먹기 수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였다. 결과 : 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 후 좋아하는 음식을 자발적으로 먹기(GAS 평균값 1.9점)와 싫어하는 음식을 자발적으로 먹기(GAS 평균값 1.7점)가 향상되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방어로 음식섭취에 제한이 있는 아동의 먹기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bined with oral activity on eating of child with sensitive oral senses. Methods : The study subject was 6 years old boy and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experiment period was 1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강활동과 함께 전정-고유 위주의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구강방어가 있는 아동의 먹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목표성취척도를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강 방어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병행한 전정-고유 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실제 먹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제 먹기 수행에서 좋아하는 음식의 먹기는 기초선 기간에는 목표성취척도 점수가 평균 0점에서 중재기간 동안 평균 1.
  • 이는 구강방어가 있는 아동의 구강 내 감각처리의 문제는 감각통합 중재나 구강활동을 따로 시행하기 보다는 두 활동이 동시에 함께 시행될 때 보다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구강방어가 있는 아동의 먹기 수행 증진을 위한 중재법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만 6세에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구강방어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병행한 전정-고유 감각 위주의 감각통합중재가 아동의 먹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목표성취척도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 변화를 개인적 특성에 맞게 목표를 개별화하고 결과를 수량화할 수 있어(Kiresuk, Smith, & Gardillo, 1994;Kiresuk & Sherman, 1968) 실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의 세밀한 측정을 위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아동의 현재 기능을 고려하여 중재 이후 먹기 수행에 대한 세밀한 변화를 파악하고자 목표성취척도를 사용하였다. 중재 이후 구강의 예민함이 감소하면 실제 음식을 먹는 횟수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방어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병행한 전정-고유 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실제 먹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본 연구는 구강 방어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병행한 전정-고유 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실제 먹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제 먹기 수행에서 좋아하는 음식의 먹기는 기초선 기간에는 목표성취척도 점수가 평균 0점에서 중재기간 동안 평균 1.9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추세선도 상향하였다. 또한 싫어하는 음식의 먹기 횟수에서도 목표성취척도 점수가 기초선 기간에 평균 0점에서 중재기간동안 평균 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추세선도 상향하였다.
자세 조절 능력은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에게 다양한 감각들을 제공하며 조절, 통합 그리고 조직화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고유 감각과 전정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 중재는 아동의 자세조절 능력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자세 조절은 먹기, 삼키기, 호흡 활동에 영향을 준다(Ayres,Robbins, & Pediatric, 2005; Bundy, Lane, Murray, &Fisher, 2002; Choi, Jung, & Kim, 2013; Kang & Kim,2010). 그리고 턱, 입술, 볼, 구개, 혀의 움직임으로 구성된구강활동 역시 자세발달, 각성, 심리적 발달, 의사소통, 자세-안구 기술과 실행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목표성취척도란? 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먹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Scale; GAS)를 사용하였다. 목표성취척도는 결과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변화해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평가하는 것으로(Ottenbacher & Cusick, 1993), 각 개인에 대한 민감성을 유지하면서 목표의 개별화, 개별결과의 수량화, 개인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Donnelly & Carswell, 2002).또한 짧은 중재기간동안 적용할 수 있고, 중재 후 작업수행의 기능적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반영하기에 가장 민감한 도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yres, A. J., Robbins, J., & Pediatric, T. N. (2005).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CA: WPS. 

  2. Beckman, C. L., Harris, S. R., Chisholm, J. A., & Monette, A. D. (1997). Single-subject research in rehabilitation: A review of studies using AB, withdrawal, multiple baseline, and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10), 1145-1153. http://dx.doi.org/10.1016/s0003-9993(97)90142-8 

  3. Bundy, A. C., Lane, S., Murray, E. A., & Fisher, A. G. (2002). Sensory integration. Philadelphia: F. A. Davis. 

  4. Case-Smith, J. (2010).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t. Louis: Mosby. 

  5. Case-Smith, J., & Humphry, R. (2001). Feeding intervention. In J. Case-Smith (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453-488). St. Louis, MO: Mosby-Year Book, Inc. 

  6. Chung, O. N. (1996). The effects of behavioral intervention procedures on eating problem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7. Choi, Y. J., & Kim, K. M. (2009). A review on the use of a goal attainment scale as measurement tool for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 of children. The Journal 0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 105-114. 

  8. Choi, Y. W., Jung, H. R., & Kim, K. M. (2013).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reathing and oral diadochokinetic movem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1), 1-9. 

  9. Crapnell, T. L., Woodward, L. J., Rogers, C. E., Inder, T. E., and Pineda, R. G. (2015). Neurodevelopmental profile, growth, and psychosocial environment of preterm infants with difficult feeding behavior at age 2 years. The Journal of pediatrics, 167(6), 1347-1353. http://dx.doi.org/10.1016/j.jpeds.2015.09.022 

  10. Davis, A. M., Bruce, A. S., Khasawneh, R., Schulz, T., Fox, C., & Dunn, W. (2013). Sensory processing issues in young children presenting to an outpatient feeding clinic: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56(2), 156-160. http://dx.doi.org/10.1097/MPG.0b013e3182736e19 

  11. Donnelly, C., & Carswell, A. (2002). Individualized outcome measur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4), 84-94. http://dx.doi.org/10.1177/000841740206900204 

  12. Kang, H. J., & Kim, K. M. (2010). Fee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41-49. 

  13. Kang, H. J., Jang, M. Y., & Kim, K. M. (2011).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41-49. 

  14. Kientz, M. A., & Dunn, W. (1997).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on the sensory profi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7), 530-537. http://dx.doi.org/10.5014/ajot.51.7.530 

  15. Kim, H. R. (2001). The effect of the direct stimulation to oral sensory on the feeding function of children suffering from severe cerebral pals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6. Kim, J. M., & Kim, K. M. (2007).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5(1), 1-13. 

  17. Kim, K. M. (200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eating attitude in the adolescence: Centered in the anorectic eating concerns of the adolescent.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18. Kim. M. H., & Ji. S. Y. (2006).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4(1), 29-36. 

  19. Kiresuk, T. J., Smith, A., & Gardillo, J. E. (1994). Goal attainment scaling: Applications, theory and measurement. Hillsdale, NJ: Erlbaum. 

  20. Kiresuk, T. T., & Sherman, R. E. (1968). Goal attainment scaling: A general method for evaluating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 443-453. http://dx.doi.org/10.1007/bf01530764 

  21. H. R., & Kim, S. J. (2005). The realization of sensory integration. Seoul: Yeongmunsa 

  22. Kwon, Laurie, L. E. (2014). Neuroscience. Seoul: Elsevier Korea. 

  23. Miller, C. K. (2009). Updates on pediatric feeding and swallowing problems. Current Opinion of Otolaryngol Head Neck Surgery, 17(3), 194-199. http://dx.doi.org/10.1097/moo.0b013e32832b3117 

  24. Miller, L. J., Schoen, S. A., James, K., & Schaaf, R. C. (2007). Lessons learned: A pilot study of occupational therapy effectiveness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 161-169. http://dx.doi.org/10.5014/ajot.61.2.161 

  25. Nadon, G., Feldman, D. E., Dunn, W., & Gisel, E. (2011). Mealtime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siblings: A comparison study. Autism, 15(1), 98-113. http://dx.doi.org/10.1177/1362361309348943 

  26. Oetter, P., Richte, E. W., & Frick, S. M. (1995). MORE: Integrating the mouth with sensory and postural function. Hugo, MN: PDP Press Inc. 

  27. Ottenbacher, K., Hicks, J., Roark, A., & Swinea, J. (1983). Oral sensorimotor therapy i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 multiple baseline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7(8), 541-547. http://dx.doi.org/10.5014/ajot.37.8.541 

  28. Ottenbacher, K. J., & Cusick, A. (1993). Discriminative versus evaluative assessment: Some observations on goal attainment scaling.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4), 349-354. http://dx.doi.org/10.5014/ajot.47.4.349 

  29. Park, E. J. (2017). The effects of oral sensory stimulation program on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30. Park, J. H., & Kim, I. S. (2011).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adap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sensory defensiveness: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29-39. 

  31. Park, M. H., & Kim, K. M. (2006).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and the introduct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4(1), 1-12. 

  32. Perske, R., Clifton, A., McClean, B. M., & Stein, J. I. (1977). Mealtimes for severely and profoundly handicapped persons: New concepts and attitudes,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33. Shin, M. K., Yoo, E. Y., Lee, J. Y., & Jung, M. Y. (2017). The effects of an oral sensory stimulation home program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 subject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13. 

  34. Stein, L. I., Polido, J. C., & Cermak, S. A. (2012). Oral care and sensory concerns in autism.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5), e73-e76. http://dx.doi.org/10.5014/ajot.2012.004085 

  35. Twachtman-Reilly, J., Amaral, S. C., & Zebrowski, P. P. (2008). Addressing feeding disorders in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in school based settings: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issues. Language Speech Hearing Association, 39(2), 261-272. http://dx.doi.org/10.1044/0161-1461(2008/025) 

  36. Wilbarger, P. (2007). Sensory defensiveness seminar a comprehensive treatment approach. Seou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37. Yack, E., Aquilla, P., & Sutton, S. (2002). Building bridges through sensory integration. Las Vegas: Sensory resource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