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Attachment to Infant-Toddler -Focusing on Infant-Toddler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231 - 239  

황영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모아상호작용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영유아기의 자녀가 있는 어머니 21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 그리고 애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집단간 평균비교,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의 특성 중 성별(t=3.200, p<.002), 연령(t=4.037, p<.001)과 기질(F=4.614, p<.011)에 따라, 어머니의 특성 중 연령(F=18.028, p<.001)과 학력(F=4.241, p<.016)에 따라 애착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애착은 사회적 지지(r=.507, p<.001) 및 모아상호작용(r=.57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아상호작용(${\beta}=0.361$, p<.001), 사회적 지지(${\beta}=0.309$, p<.001), 연령(30세미만)(${\beta}=-0.370$, p<.001) 그리고 결혼 기간(10년 미만)(${\beta}=-0.179$, p<.033)이었다. 애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모아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toddler and mother, social suppor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n mother-child attachment. A descriptive study was implemented, and data were gathered from March 1 to September 30, 2016. The subjects were 215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것은 모아애착과 모아상호작용을 주 양육자의 개인적 문제로 제한하지 않고, 사회적 지지 체계의 역동적 문제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모아애착과 모아상호작용에 영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아니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요인을 함께 분석하여, 바람직한 모아애착과 모아상호작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착이란 무엇인가? 애착(attachment)이란 강렬한 정서적 유대관계이며 애정적 결속으로, 인간의 발달단계 중 영유아 시기는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1]. 이 시기에는 영유아가 보내는 신호에 변함없이 반응을 보이는 대상인 주 양육자가 애착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주 양육자인 어머니는 안정적인 애착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다[2].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 양육자의 개인적 특성이 있다. 주 양육자의 특성인 양육자의 양육행동, 성격, 애착유형, 민감성, 어린 시절 원부모와의 경험 등이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영유아의 애착에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애착(attachment)이란 강렬한 정서적 유대관계이며 애정적 결속으로, 인간의 발달단계 중 영유아 시기는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1]. 이 시기에는 영유아가 보내는 신호에 변함없이 반응을 보이는 대상인 주 양육자가 애착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주 양육자인 어머니는 안정적인 애착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다[2]. 어머니와 형성한 애착의 질이 영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머니와 영유아 자녀의 애착은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인 동시에 이후 발달을 예측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Bowlby,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vol. 39, no. 35, pp. 350-373, 1958. 

  2. M. Ainsworth, M. Blehar, E. Waters, S. Wall.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y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pp. M1-417. New York: Psychology Press; 1978. 

  3. U. I. Park, "A developmental contextualism approach to young children's attachment developmen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18, pp. 197-222, 1999. 

  4. M. H. Song, Y. S. Song, Y. J. Kim.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elf-Efficacy in Early Childhood Mothers",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2, no. 5, pp. 165-183, 2007. 

  5. S. K. Nam, J. H. Kim, "A research trend on carer variable of attachment study in Korea",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22, no. 1, pp. 131-149, 2015. DOI: http://dx.doi.org/G704-SER000009521.2015.22.1.001 

  6. M. H. Klaus, J. H. Kennell, Parent-Infant bonding, pp. 1-326, Saint Louis: The C.V. Mosby Company; 1981. 

  7. J. K. Whitt, P. H. Casey,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The effect of pediatric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vol. 53, no. 4, pp. 948-956. 1982. DOI: https://doi.org/10.2307/1129133 

  8. M. H. Lim,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and toddler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11, no. 2, pp. 67-94, 2011. 

  9. H. J. Hwang, Y. B. Jung,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13 no. 3, pp. 57-78, 2006. 

  10. M. R. Chung, J. Y. Kwon, S. K. Park, "The effects of attachment security and sensitivity of maternal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12-month-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5, no. 6, pp. 335-352, 2011. 

  11. Y. S. Kim, N. R. Shin,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9 no. 5, pp. 229-249, 2013. DOI: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229 

  12. J. W. Park,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85. 

  13. K. E, Barnard, The nursing child satellite training series, nursing child assessment satellite training, Learning Resource Manual. Seattle: NCAST, University of Washington; 1978. 

  14. S. B. Im, "An effect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the chil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5, pp. 1133-1144, 20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0.30.5.1133 

  15. M. D. Ainsworth, R. S. Marvin, "On the shaping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An interview with Mary D. S. Ainsworth. In E. Waters, B. E. Vaughn, G. Posada, & K. Kondo-Ikemura(eds.) caregiving, cultural, and cognitive perspectives on secure-base behavior and working models: new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 60, pp. 3-21, 1995. 

  16. E. H. Lee, A study on the pregnancy experience of the primiparous couple: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5. 

  17. H. J. Yoon, A 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ontact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18. S. Y. Lee, I. S. Kwon, "A comparative study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infant's feeding meth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2, pp. 231-239, 2006. 

  19. G. Kochanska, "Mother-child relationship, child fearfulness, and emerging attachmen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34, no. 3, pp. 480-490, 1998. DOI: https://doi.org/10.1037/0012-1649.34.3.480 

  20. Y. S. Yang, The effects of infant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and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000. 

  21. H. C. Hong, H. J. Moon, "The influence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An examin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mediating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18, no. 4, pp. 125-145, 2011. 

  22. J. H. Chai, Y. J. Park,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to infants: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23, no. 4, pp. 101-120, 2016. DOI: https://doi.org/10.15284/kjhd.2016.23.4.101 

  23. H. Y. Lee, M. G. Kwon,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infants in relation to mothers' related variable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 26, no. 1, pp. 329-344, 2007. 

  24. H. J. Bea, D. Y. Kim, "Father's childhood attachment, support of spo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thering practices",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7, no. 4, pp. 147-164, 2015. 

  25. Y. H. Song,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type, attachment behaviors of mother related variables, and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vol. 3, no. 1, pp. 81-93, 2011. 

  26. J. Y. Ahn, S. Y. Park,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0, no. 1, pp. 53-68, 2002. 

  27. H. S. Kim, K. S. Oh, Y. H. Shin, T. I. Kim, H. N. Yoo, M. K. Sim, K. H. Chung,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11, no. 3, pp. 290-300, 2005. 

  28. M. A. Brent, J. S. Sarah, R. R. Thomas, "Child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involvement; father versus mothe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64, pp. 9987-1011, 2002. 

  29. L. F. Halem, K. L. Brand, A. F. Malon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very-low-birth weight(VLBW) and full-term infant; a function of infa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hild-rearing attitude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 26, no. 2, pp. 93-104. 2001. DOI: https://doi.org/10.1093/jpepsy/26.2.93 

  30. B. W. Cho. Study on dependence of preschooler' emotional intelligence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verbal control styl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9, no. 2, pp. 133-15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