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에 관한 잠재계층분석과 예측요인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A Latent Class Analysis and Predictors of Chronic Diseases -Based 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324 - 333  

김우진 (텍사스 주립대학교 체육학) ,  이송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절염, 갑상선 질환, 우울증, 아토피, 알레르기, 당뇨병 등의 잠재계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와 유형화된 만성질환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한민국 국민으로, 표본추출방법은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표본 수는 총 7,550명이고, 이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1 class 유형은 고혈압, 당뇨 그룹으로 고혈압을 앓고 있을 확률이 78.6%이고 당뇨병을 앓고 있을 확률이 34.6%이었다. 2 class 유형은 아토피, 알레르기 그룹으로 아토피를 앓고 있을 확률이 20.3%이고 알레르기를 앓고 있을 확률이 42.2%이었다. 3 class 유형은 이상지질, 관절염, 갑상선질환, 우울증 그룹으로 이상지질 56.1%, 관절염 50.9%, 갑상선 질환 19.4%, 우울증 28.75%로 나타날 확률을 지닌 집단이었다. 4 class 유형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정상집단으로 나타났다. 준거변수인 4 class와 1 class를 비교하였을 때, 연령, 운동능력, 자기관리, 비만, 고콜레스테롤 유병여부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2 class와 비교하였을 때,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 class와 비교하였을 때, 성별, 연령, 통증 및 불편, 고 콜레스테롤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세 유형 모두 연령은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가 오기 전에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령에 따른 질병의 유병율 발생 시기를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예방적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atent classes and predictor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yslipidemia, arthritis, thyroid disease, depression, atopy, allergy, and diabe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으로 본 연구는 만성질환이 어떤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의 행동 특성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별, 연령, 의료서비스, 건강검진, 운동능력, 자기관리, 통증 및 불편, 교육수준, 음주빈도, 비만, 고 콜레스테롤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복합만성질환에 관한 분류기준과 뚜렷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성질환의 잠재계층을 유형화하고,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만성질환의 잠재계층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다양한 만성질환을 유형화하거나 범주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인 고혈압, 이상지질, 관절염, 갑상선 질환, 우울증, 아토피, 알레르기, 당뇨병 등의 패턴을 범주화하고 유형화하기 위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잠재계층분석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분류하는 작업으로[9], 각 집단으로부터 통일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 또한 잠재계층 분석을 통해 범주화된 만성질환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시도는 기존 변수 중심 접근에서 탈피하여 만성질환을 유형화하고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성과 의의를 지닌다. Lee 등[10]에 의하면 이렇게 확인된 잠재계층과 차별적 영향요인은 하위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즉각적 개입이 필요한 표적 집단의 선별작업과 개입활동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 잠재계층분석은 여러 변인을 유사한 서브그룹(subgroup)으로 분류해주며,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측정된 변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11]. 이러한 분석의 목적은 관측변수를 활용하여 비슷한 유형을 분류하고, 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변수들을 발견하기 위함이며, 개인들을 집단으로 유형화 하고 통계적인 적합지표들을 제시함으로서 잠재 집단의 수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2]. 잠재계층분석의 기본수식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만성질환은 개인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삶에도 큰 영향을 주며, 질환을 완화 시킬 수는 있으나 완치가 불가능하므로, 평생 치료 및 자가 간호를 해야 한다.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삶의 질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 치료를 요구하기 때문에, 의료에 대한 수요와 전체 의료비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현재 한국은 만성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만성질환자의 증가에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 실태는 어떠한가?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삶의 질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 치료를 요구하기 때문에, 의료에 대한 수요와 전체 의료비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현재 한국은 만성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성질환을 관리·감독하여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과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만성질환이란? 8%) 등으로 보고하였는데, 그 중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자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2]. 만성질환이란 질환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유병기간이 긴 질환을 의미한다. 즉, 최소한 질환 발생 후 3개월 이상의 경과 기간을 가지며[3], 심혈관, 호흡기, 내분비, 근골격계 등 다양한 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R. Yoo, S. H. Lee and T. K. Yoo. "Applicability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smoking-cessation intentio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2), pp. 49-61, 2009. 

  2. Statistics Korea. 201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Author; 2017 [cited 2017 May 0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6326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3. H. J. Jang and Y. H. Shi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commitment to a plan for physical exercise among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1), pp. 87-97, 2008. 

  4. Y. H. Jeong, S. J. Ko and E. J. Kim. A study of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jong-si: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orea); 2013 Dec. Report no. : 2013-31-19. 

  5. M. S. Lee.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Health and Social Sciences, 29(11), pp. 1199-1200, 2010. 

  6. J. E. Park, S. R. Park, C. K. Hwang, P. H. Jung, S. B. Joo, C. H. Yim, et al. The association of hypertention and dyslipidemia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Circulation. 29(11):1195-1200 1999. DOI: https://doi.org/10.4070/kcj.1999.29.11.1195 

  7. I. J. Hwang, H. C. Jung, G. D. Shi, J. H. Yoon, J. H. Choi, H. .Song, et al.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patients with unexplained chronic cough.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13(1), pp. 15-20, 2007. 

  8. D. H. Lee, Y. D. Jeon, S. H. Lee, G. S. Mun, S. S. Na and H. H. Cha. "Prevalence of hypothyroidism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81(3), pp. 334-33, 2011. 

  9. K. J. Song, K. K. Seo and B. J. A.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Segmentation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2), pp. 386-394, 2011. 

  10. S. G. Lee, G. H. Chung and J. P. Yoo.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2), pp. 477-510, 2015.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477 

  11. G. Christian. Data analysis with Mplus. 1st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32-268 2010. 

  12. B. G. Kim and A. M. Ch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dropouts: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Studies on Korean Youth, 24(3), pp. 5-31, 2013. 

  13. A. H. Jacques, L. M. Allan. Applied Latent Class Analysus. 1st ed. New York: The Cambridge Press; 56-85 2002. 

  14. M. T. Rosenstein, J. J. Collins and C. J. De Luca. "A practical method for calculating largest Lyapunov exponents from small data sets," Physical D: Nonlinear Phenomena, 65(1-2), pp. 117-134, 1993. DOI: https://doi.org/10.1016/0167-2789(93)90009-P 

  15. Y. Lo, N. Mendell, D. Rubin.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767-778 2001. DOI: https://doi.org/10.1093/biomet/88.3.767 

  16. M. J. Kim, J.S. Eum, H. D. Park, S. H. Kim, S. M. Kim, M. A. Jo, et al. "Effects of antioxidant supplementation on action of lipid-lowering drug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13(4), pp. 363-368, 2003. 

  17. J. K. Yoon, C. S. Sim, S. W. Choi, I. B. Oh, J. H. Lee and Y. H. Kim. "Prevalence of atopic and allergic disorders in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Ulsan,"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31(2), pp. 105-115, 2011. 

  18. J. D. Davis and Tremont G. "Neuropsychiatric aspects of hypothyroidism and treatment reversibility," Minerva endocrinologica, 32(1), pp. 49-65, 2007. 

  19. B. V. Lim. Athyria, "Depression and exercis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tudies. 71, pp. 123-128, 2014. 

  20. S. H. Hyun and Y. M. Kang. "Thyroid Disorders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7(2), pp. 112-119, 2000. 

  21. T. Diekman, P. J. Lansberg, J. P. Kastelein and W. M. Wiersinga. "Prevalence and Correction of Hypothyroidism in a large cohort of patients refferred for dyslipidemia," Arch Intern Medicine, 155(14), pp. 1490-5, 1995. DOI: https://doi.org/10.1001/archinte.155.14.1490 

  22. F. F. Becker. "Restoration of liver mass following partial hepatectomy," Surgical Hepartrophy, 43(3), pp. 497-510, 1963. 

  23. P. J. Gergen, P. C. Turkeltaub and M. G. Kovar. "The prevalence of allergic skin tests reactivity to eight common aeroallergens in the U.S. population: results from the seco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 80, pp. 669-79, 1987. DOI: https://doi.org/10.1016/0091-6749(87)90286-7 

  24. J. O. Baek, S. Hong, D. K. Son, J. R. Lee, J. Y. Roh and H. J. Kwon.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atopic using an ISAAC questionnaire in 8,750 Korean children,"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162, pp. 79-85 , 2013. DOI: https://doi.org/10.1159/000351403 

  25. M. Suh, H. H. Kim, M. H. Sohn, K. E. Kim, Kim C and D. C. Shin.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mong Korean school-age children: A Nationwide Cross-Setional Questionnaire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 pp. 332-338, 2011. DOI: https://doi.org/10.3346/jkms.2011.26.3.332 

  26. D. Y. Leung and T. Bieber. "Atopic dermatitis," Lancet, 361, pp. 150-60, 2003.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2193-9 

  27. H. C. Williams, D. P. Strachan and R. J. Hay. "Childhood eczema: disease of the advantaged?," BMJ, 308, pp. 1132-1135, 1994. DOI: https://doi.org/10.1136/bmj.308.6937.1132 

  28. J. H. Suk, T. Y. Kim, M. K. Kim, W. B. Kim, H. K. Kim, J. S. Heon, et al. "Prevalence of ultrasonographically-detected thyroid nodules in adults without previous history of thyroid disease," Journal of Korean Edocrine society. 21(5), pp. 389-393, 2006. 

  29. H. S. Le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9(5): 479-489 2014. DOI: https://doi.org/10.5720/kjcn.2014.19.5.4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