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T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Chron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Middle and Older Adults According to Gend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403 - 410  

홍민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 장년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35~65세의 중 장년 남성 3,071명, 여성 4,273명 총 7,344명을 최종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나쁨'이 남성은 1.69배(p<0.001), 여성은 1.50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저작불편 '있음'은 남성은 2.01배(p<0.001), 여성은 1.40배((p=0.001)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자는 남성에서는 1.68배(p<0.001), 여성은 2.07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고혈압유병은 정상에 비해 고혈압전단계 군이 남성은 1.44배(p<0.001), 여성은 1.30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비만은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남성은 1.199배(p<0.05), 여성은 1.202배(p<0.05)의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당뇨는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유병군에서 남성은 1.28배(p<0.05), 여성은 1.53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남성은 저작불편, 여성은 흡연이 치주질환에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과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성의 구강건강관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구강질병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in adults and oral health behaviors affecting periodontitis by gender. This study selected 3,071 males aged 35 to 65, 4,273 females, and 7,344 people as the final subjects of the study using the sixth original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만성질환 유병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조사의 목적은 만 35세∼65세 남·여 성인에 따른 건강수준,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성인의 구강건강증진종합 계획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 중·장년층은 건강상태에 따라 구강건강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고, 남·녀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구강습관에 따라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를 살펴보고, 이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주질환은 어떤 질환에서 위험한 요인으로 인정되는가? 치주질환은 심근경색증, 협심증,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이 있는 전신질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더 위험한 요인으로 인정되며,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 우리나라에서도 치주질환과 만성질환은 매우 흔한 질병이 되었으며, 치주질환의 발병 또는 병리기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6].
성인기 구강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성인기는 사회적·정신적·신체적으로 성숙된 시기이고 활발한 사회생활로 경제적으로는 안정되나,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어 구강관리를 소홀히 할 수 있으므로, 구강관리를 위해서는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책임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령기에 발생되었던 치아우식병과 치주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치아상실을 초래한 치아우식병 관리 및 치주병 관리가 중요한 시기이다[1]. 치주질환은 구강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40세 이상 성인에서 높게 나타나며, 치아 발거의 원인이 되고 있다[1].
치주질환의 위험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치주질환은 심근경색증, 협심증,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이 있는 전신질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더 위험한 요인으로 인정되며,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 우리나라에서도 치주질환과 만성질환은 매우 흔한 질병이 되었으며, 치주질환의 발병 또는 병리기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I. S. Kim other 38.. Oral health education. 4th. revision. Edit. Komunsa:Seoul, pp.33-34, 20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013. 

  3.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2014 Statistical Index. 2014. 

  4. A. Sheiham, R. G. Watt, "The Common Risk Factor Approach: a rational basis for promoting or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28, No.6, pp.399-406, 2000. DOI: https://dx.doi.org/10.1034/j.1600-0528.2000.028006399.x 

  5. H. W. Cheon, M. W. Yu, M. H. Choi,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2, No.2, pp.235-249, 2012. DOI: https://dx.doi.org/10.13065/jksdh.2012.12.2.235 

  6. M. Kushiyama, Y. Shimazaki, Y. Yamashita,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Adults",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80, No.10, pp.1610-1615, 2009. DOI: https://dx.doi.org/10.1902/jop.2009.090218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015. 

  8. J. O. Jung,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Vol.2, No.3, pp.24-252, 2012. 

  9. G. R. Persson, R. E. Perss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itis: an update on the associations and risk"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Vol.35, No.s8, pp.362-379, 2008. DOI: https://dx.doi.org/10.1111/j.1600-051X.2008.01281.x 

  10. V. Esfahanian, M. S. Shamami, M. S. Shamami,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Periodontal Disease: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Dentistry of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Vol.9, No.4, pp.256-264, 2012. 

  11. R. B. Ervin,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2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age,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2006", Natl Health Stat Repor, Vol.5, No.13, pp.1-7, 2009. 

  12. M. M. Ameet, H. T. Avneesh, R. P. Babita, P. M. Pramo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s - Hype or Hope?", Journal of Clinical Diagnostic Research, Vol.7, No.4, pp.758-762, 2013. DOI: https://dx.doi.org/10.7860/JCDR/2013/4500.2906 

  13. P. M. Preshaw, A. L. Alba, D. Herrera, S. Jepsen, A. Konstantinidis, K. Makrilakis, R. Taylor, "Periodontitis and diabetes: a two-way relationship" Diabetologia, Vol.55, No.1, pp.21-31, 2012. DOI: https://dx.doi.org/10.1007/s00125-011-2342-y 

  14. J. H. Won, M. N. Ha,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4, No.2, pp.107-113, 2014. 

  15. Y. Khader, B. Khassawnech, B. Obeidat, M. Hammad, K. El-Salem, H. Bawadi, N. Al-akour, "Periodontal Status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Periodontal, Vol.79 No.11, pp.2048-2053, 2008. DOI: https://dx.doi.org/10.1902/jop.2008.080022 

  16. S. Y. Kim, H G. Jang, "Influence of metabolic on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 No.3, pp.399-410, 2015. DOI: https://dx.doi.org/10.13065/jksdh.2015.15.03.399 

  17. L. Nibali, F. D'Aiuto, G. Griffiths, K. Patel, J. Suvan, M. S. Tonetti, "Severe periodontitis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and a dysmetabolic status: a case control study",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Vol.34, No.11, pp.931-937, 2007. DOI: https://dx.doi.org/10.1111/j.1600-051X.2007.01133.x 

  18. M. H. Kim, M. S. Yoon, Y. H. Lim, S. R. Lee, S. Y. Kim, S. J. Park, S. J. Shin,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the Survey Year Using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ouran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7, No.6, pp.487-494, 2017. DOI: https://dx.doi.org/10.17135/jdhs.2017.17.6.487 

  19. J. O. Jung, J. Y. Chun,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3, No.3, pp.481-489, 2013. DOI: https://dx.doi.org/10.13065/jksdh.2013.13.3.481 

  20. K. H. Suh, "Health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 women's cigarette smoking", Women Health., Vol.4. No.1, pp.1-21, 2003. 

  21. Y. J. Jung, M. H. Cho, D. H. Moon, "Influencing factors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Vol.15, No.1, pp.47-54, 2015. DOI: https://dx.doi.org/10.13065/jksdh.2015.15.01.47 

  22. A. L. Pataro, F. O. Costa, S. C. Cortelli, J. R. Cortelli, M. H. N. G. Abreu, J. E. Costa, "Association between severity of body mass index and periodontal condition in women", Clinical Oral Investigations, Vol.16, No.3, pp.727-734, 2012. DOI: https://dx.doi.org/10.1007/s00784-011-0554-7 

  23. J. U. Back, E. M. Noh, "A Study on the Hospitalized Pati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 Vol.35, No.1, pp.45-54, 2009. 

  24. M. H. Hong,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economic workers on oral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4 pp.245-254, 2018.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4.245 

  25. H. J. Kang,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Los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5, No.4, pp.445-456, 2015. DOI: https://dx.doi.org/10.17135/jdhs.2015.15.4.445 

  26. Y. S. Won, C. H. Choi, H. N. Oh,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8, No.3, pp.176-183, 2014. DOI: https://dx.doi.org/10.11149/jkaoh.2014.38.3.176 

  27. M. Kubota, M. Tanno-Nakanishi, S. Yamada, K. Okuda, K. Ishihara, "Effect of smoking on subgingival microflora of patients with periodontitis in Japan", BMC Oral Health, Vol.11, No.1, pp.1-6, 2011. DOI: https://dx.doi.org/10.1186/1472-6831-11-1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