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가로수 뿌리의 융기특성 연구 - 대전 서구 가로수를 대상으로 -
A Study on Root Damage to Street Pavement from the Roots of Roadside Tre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Roadside Trees in Seo-gu, Daejeo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3, 2018년, pp.58 - 69  

탁승철 (배재대학교 대학원 원예조경학과)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로수 뿌리융기발생의 빈도가 높은 대전시 서구 내 둔산동택지개발 가로수를 대상으로 뿌리 융기상태와 가로시설 현황조사를 통해 가로수와 가로시설간의 융기특성과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6곳의 메타세쿼이아와 양버즘나무로 선정 조사하였으며, 가로수 뿌리 융기 발생 시 가로수 보호틀 파손율(95.3%)이 차도경계석파손율(19.7%)보다 높았다. 또한,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는 포장면 융기현상 발생 확률이 높으며, 식수대면적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보호틀 파손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꼬리형>마운딩형>불규칙형 순이며, 융기방향의 빈도는 차도경계석과 평행을 기준으로 차량진행방향이 $180^{\circ}$ 보도 쪽이 $90^{\circ}$로 기준하였을 때 1방향($0{\sim}44^{\circ}$), 2방향($45{\sim}89^{\circ}$), 3방향($90{\sim}134^{\circ}$)에서 가장 많은 포장면 융기발생이 일어났다. 또한 융기길이는 약 31~60cm에서 융기발생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융기높이는 3~6cm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융기 변형량 결과를 비교해보면 조사 수종이 주수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2주 적음에도 불구하고 양버즘나무의 변형량보다 약 1.3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포장면 융기로 인한 변형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융기길이, 융기너비, 융기높이가 클수록 변형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흉고직경, 보도 폭의 규격, 융기현상의 빈도와 변형량의 관계는 꼭 비례하지 않으며, 토양습도와 식재 기반 등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융기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방향의 개선방안 접근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root damag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roadside trees and street furnitur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oot damage condi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roadside trees and street furniture in Seo-gu, Daejeon City where the occurrence of pavement uplift i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장면에 뿌리융기발생의 빈도가 높은 대전시 서구 내 가로수의 뿌리 융기상태와 가로시설의 현황조사를 통하여 가로수와 가로시설 간의 융기특성 및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대상 가로수종은 뿌리 들뜸 현상의 빈도가 잦고 그로 인한 보도 융기현상이 발생하는 수종인 메타세콰이어와 양버즘나무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융기 연구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가로수관리 및 가로수 식재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뿌리 들뜸으로 인한 가로융기현상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비책을 마련하여 차후 도시미관의 증진과 보행환경개선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가로수 뿌리 들뜸으로 인한 보도 포장면 융기현상의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최초 가로수조성 시 규격 흉고직경 8cm로 식재한 후(경과기간 약 20년 후)에 가로수의 융기특성상태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보도포장면의 변형량에 따른 원인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쾌적한 가로 보행 환경과 가로수 식재환경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대전광역시 서구 일대에 조성된 가로수인 메타세쿼이아와 양버즘나무의 뿌리 들뜸 현상으로 인한 보도 포장면 융기현상이 발생한 곳 6곳을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현장조사 및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가로수의 생육특성과 가로현황 및 융기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 표층에 있는 중경근은 로프형태로 길게 멀리 뻗고 있으며, 다수가 집중적으로 위치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Noburu, 1979). 이런 근계형태로 인하여 가로수로 조성 시 뿌리 들뜸으로 인한 보도 융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근계형상을 고려하여 연구를 하고자 한다(Table 1 참조).
  • , 2012). 이처럼 뿌리는 수목의 생육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인간의 편의와 쾌적함을 위해서 함부로 해서는 안 되며, 가로수 주변 융기현상을 조사하기 앞서 뿌리의 생장특성을 알아보고 수목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Figure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에 미치는 영향은? 7%)보다 높았다. 또한,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는 포장면 융기현상 발생 확률이 높으며, 식수대면적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보호틀 파손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꼬리형>마운딩형>불규칙형 순이며, 융기방향의 빈도는 차도경계석과 평행을 기준으로 차량진행방향이 $180^{\circ}$ 보도 쪽이 $90^{\circ}$로 기준하였을 때 1방향($0{\sim}44^{\circ}$), 2방향($45{\sim}89^{\circ}$), 3방향($90{\sim}134^{\circ}$)에서 가장 많은 포장면 융기발생이 일어났다.
융기 변형량 결과는? 또한 융기길이, 융기너비, 융기높이가 클수록 변형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흉고직경, 보도폭의 규격과 융기현상의 빈도, 변형량의 관계는 꼭 비례하지 않으며, 토양습도와 식재 기반 등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융기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또한,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는 포장면 융기현상 발생 확률이 높으며, 식수대면적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보호틀 파손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꼬리형>마운딩형>불규칙형 순이며, 융기방향의 빈도는 차도경계석과 평행을 기준으로 차량진행방향이 $180^{\circ}$ 보도 쪽이 $90^{\circ}$로 기준하였을 때 1방향($0{\sim}44^{\circ}$), 2방향($45{\sim}89^{\circ}$), 3방향($90{\sim}134^{\circ}$)에서 가장 많은 포장면 융기발생이 일어났다. 또한 융기길이는 약 31~60cm에서 융기발생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융기높이는 3~6cm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S. H.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vement Uplift by Growth of Street Tree. Master's Thesis, Seoul City University. Korea. 

  2. Asan city (2016) Street Tre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rdinance. 

  3. Hong, S. H., S. J. Yang, S. H. Choi, J. B. Baek and S. D. Lee (2012) Growing characteristics of shrub in the planting strip of street, Busan City,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2): 257-263. 

  4. Lee. K. J. (2011) 수목생리학. Seoul Univercity Publisher. 

  5. Noburu karizumi (1979) The Latest Illustrations of Tree Roots. 誠文堂新光社. 

  6. http://www.forest.go.kr 

  7.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3141 

  8. http://map.naver.com 

  9. http://www.namu.wiki 

  10. http://www.nib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