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토의 골격을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여가 휴양 및 복지 등의 다양한 산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 경관관리 수단이 요구되는 시점에 실제 경관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주체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산지경관 인식을 조사하고,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지불용의성 평가(WTP)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토경관과 산지경관 인식비교 결과, 산지경관은 경관미 3.96, 관리수준 만족도 3.28, 관리의 필요성 4.38로 국토경관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국토경관의 경관미는 만족하나 관리 수준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으로 수려한 산지경관자원이 풍부한 제주(39.0%), 강원(38.6%) 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산지경관의 광활한 스카이라인과 지역의 배경이자 랜드마크를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심미적 특성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개발사업 전산지경관영향검토 수행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86.8%가 찬성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지경관 관리를 위해 지불하고자 하는 1인당 지불의사금액은 3,742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2016년 산악형 국립공원 방문객 수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695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경관은 행정주체의 정책만으로 관리하기에 한계가 있다. 국민의 경관인식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경관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실효적인 정책방향 수립과 산지경관 관리가 추진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conservation of mountainous landscape and compensation for diverse demands for mountain areas such as leisure, recreation and welfare are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the perception of mountainous landscapes by those who view and recognize the land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합리적 이용을 위해 국민이 지닌 국토와 산지의 경관인식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도를 도출하고,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지불용의성 평가를 통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주로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적 전략 수립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공무원, 평가자 등 한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경관의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기에 국민의 경관인식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산지경관의 본격적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 의견을 대표할 수 있는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국토 및 산지경관에 대한 국민들의 경관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관리,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실질적인 체험주체인 국민을 대상으로 경관의식조사를 실시하여 국토 및 산지경관의식에 대한 현황진단과 경제적 가치평가를 통한 보전과 관리의 당위성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토경관 및 산지경관의 인식비교, 거주 지역에 따른 경관인식, 산지경관 관리인식 및 산지경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통한 가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연구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합리적 이용을 위해 국민의 산지경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식조사와 조사에 사용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앞의 정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토경관이 산지경관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산지경관은 국토경관 유형 중 임야와 입목이 생육하는 토지의 경관으로 자연적 요소가 우세한 경관을 주로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인식 조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 국토경관 인식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경관과 국토를 구성하는 산지경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검토함으로써 경관관리의 공감과 합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 2016). 본 연구에서는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객관적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경관관리의 필요성과 재정적 지원의 당위성을 제시할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산림청은 과거 무분별한 개발의 대상이 되었던 산지의 합리적인 경관관리를 위해 산지경관 관리체계 구축연구(Korea Forest Service, 2013-2015)를 수행하였다. 전국 산지경관에 대한 지형, 생태, 심미적 인자 도출을 통한 산지경관 특성도 구축과 산지전용에 따른 경관영향평가 분석기법의 고도화, 사업유형별 경관영향 저감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기초연구를 수립하였다. 또한, 산지경관 영향 검토 활성화를 위해 「산지전용 등에 따른 경관영향 검토」 제도 운영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산지경관 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제도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의견 수렴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Mi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20개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주로 경관과 같은 환경재를 대상으로 한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으로 세금 또는 자발적기부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Willing to Pay: WTP) 추정을 주로 진행하고 있다(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7). 우리나라 20개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여 약 103조 4천억 원의 경제적가치가 있음을 추정하였으며, 서울과 인접하여 이용률이 높은 북한산의 경제적 가치는 약 9조 2천억 원으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Sim et al., 2013).
1년에 1회 이상 산을 방문하는 산행인구는 몇 명 정도 되는가? 최근 일과 삶의 균형, 문화 향유와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름다운 경관과 질 높은 휴식공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과 산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탐방, 등산, 캠핑 등의 다양한 여가활동은 증가세로 1년에 1회 이상 산을 방문하는 산행인구가 국민의 약 77%에 달하는 3천2백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7). 또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면서 과거, 여가와 휴식공간에서 휴양, 산림치유 및 산림복지 등의 공간으로 다변화됨에 따라 국토의 63%에 달하는 쾌적하고 아름다운 산지의 경관 보전과 관리 및 조성이 필요한 시점으로 아름답고 쾌적한 경관형성과 관리를 위해 각 중앙부처별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경관자원에 대한 가치추정 연구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경관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합리적인 정책 도출을 위해 경관자원에 대한 가치추정 연구가 진행되었다. 추상적 가치를 계량 가능한 화폐단위로 추정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를 근거로 정책의 우선순위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주로 경관과 같은 환경재를 대상으로 한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으로 세금 또는 자발적기부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Willing to Pay: WTP) 추정을 주로 진행하고 있다(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2013) A Study on the Landscape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 Korean Cities.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2.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2015) A Study on Establishment of Landscape Policy Plan and Activation of Landscape Agreement.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3.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2016) A Study on Improving the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from the Aspect of Land Management (2). Architecture Urban Research Institute. 

  4. Bahk, H. C., S. C. Lee, S. H. Jeong, S. J. Lee, S. J. Kim and H. J. Park (2010) A study of the shift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urban landscape of Seoul. Seoul Studies 11(4): 33-49. 

  5. Chae, S. I. (2003) Social Scientific Survey Methodology. B &M Books. 

  6. Han, S. H. (2014) Estimating the fluctuation of economic valuation through the change of Haeundae beach’s landscape: Comparing 2009 vs 2013. Journal of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10(1): 117-139. 

  7.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6(3): 332-341. 

  8. Im, S. B. (1991)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9. Im, S. B. (2007)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Bomundang. 

  10. Jang, J. I. and S. Y. Park (2017) The economic benefits of coastal scap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20(4): 209-218. 

  11. Joo, S. H. and G. I. Kim (2012)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88-99. 

  12. Kim, B. G., S. K. Oh and J. M. Lim (2009) Landscape administration by the enforcement of the landscape law in Jap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0(1): 5-20. 

  13. Kim, J. J., C. W. Park and M. J. Kang (2010)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4): 603-610. 

  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7) Building the Environmental Valuation 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5. Korea Forest Service (2013-2015) Establishment of Forest-land Scenery Management System. 

  16. Korea Forest Service (2017) Forest Welfare Promotion Plan. 

  17. Min, S. H., Y. H. Jung, W. Y. Joo and H. J. Jang (2016) A study on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system b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1): 29-39.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A Study on the Economic Value Measurement of Natur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19. Park, S. G., S. C. Lee, G. L. Kang and S. H. Choi (2016) A study about the presumed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miscanthus colonies in Yo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1-13. 

  20. Sim, K. W., H. G. Kwon and S. H. Lee (2013) A study on economic value of national park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ase of 20 national park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33-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