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A Study on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System b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1, 2016년, pp.29 - 39  

민수희 (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조사본부) ,  정윤희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  주우영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  장효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MLIR official guidelin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전조사는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 유경험자 30인을 대상으로 현재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자유 서술형 응답으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중요도-성취도 조사를 위한 7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7개 항목은 산지영향검토제도에서 향후 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각 부분의 제도가 개선될 실제 산지경관영향검토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을지 예측을 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본 조사는 산지경관영향검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 제도 운용자·검토서 작성자·검토서 검토자만을 대상으로하여 예측 조사에 따른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조사는 산지경관영향검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 제도 운용자·검토서 작성자·검토서 검토자만을 대상으로하여 예측 조사에 따른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 2007). 또한 실제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에 상정된 경관심의 안건의 분석을 통해 경관심의제도의 운영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경관제도의 개선 및 정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Chung et al., 2011). 이와 같이 경관심의 및 협의제도 운영 개선의 필요성에 따라 경관영향 검토제도의 현황과 구체적인 문제점 분석,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분야별로 연구가 이루어져 통합된 국토경관에 대한 심의 및 협의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고, 관련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효율적 운영과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경관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관심이 고조되고, 산지관리에 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현시점에 산지전용 및 산지개발로 훼손되는 산지경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현행 제도의 고찰과 현황분석 및 문제점 도출로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산지경관영향검토서 비교분석, 산지경관에 대한 인식조사,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 및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구체적 관리수단인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고찰과 현황분석을 통해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산지경관의 체계적 관리 및 제도의 효율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할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산지경관의 구체적 관리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경관심의 및 협의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Korea Forest Service(2007)은 산지전용 및 개발사업으로 인한 산지경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하여 산지전용에 따른 시각적 영향 및 산지경관 훼손의 저감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Ministry of Environment(2007)는 자연경관심의제도의 개선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연경관 영향검토기법 및 검토서 작성의 표준화를 위한 매뉴얼 등을 제시하여 제도의 운용을 지원하고자 하였고,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3)에서는 기존 경관보전 및 검토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환경영향평가와의 연계방안 등을 고려한 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산림청은 2007년 산지전용 등에 따른 경관영향 검토 및 운영지침 을 제정하여 산지경관을 관리하고 있다. 산지전용 등에 따른 경관영향 검토 및 운영지침 은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전용 및 산지일시사용, 토석채취로 인한 산지경관 변화를 사전에 파악하고, 경관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아름다운 산지경관 보전 및 합리적, 자연친화적인 산지전용과 토석채취가 이루어지도록 조망분석 및 산지경관 영향 모의실험에 관한 기준, 절차,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여 제도의 운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지전용 등에 따른 경관영향 검토 및 운영지침에 근거한 조망분석 및 산지경관 영향 모의실험의 대상과 규모는 산지전용․일시사용제한지역, 백두대간보호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및 자연휴양림 등에 송전탑, 풍력발전시설의 조성 및 풍력발전시설 진입로를 조성할 경우, 30만m2 이상의 산지전용과 7만m2 이상의 토석 채취 등의 경우에 조망분석,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예상되는 경관영향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개발이 되도록 한다.
  • 또한 본 조사는 산지경관영향검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 제도 운용자·검토서 작성자·검토서 검토자만을 대상으로하여 예측 조사에 따른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시에는 산지경관영향평가 제도 및 사전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첨부하여 설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산지경관영향평가 제도 개선방향 도출의 우선 순위 도출을 위한 대응일치 및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7 참조).
  • 본 연구는 경관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관심이 고조되고, 산지관리에 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현시점에 산지전용 및 산지개발로 훼손되는 산지경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현행 제도의 고찰과 현황분석 및 문제점 도출로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산지경관영향검토서 비교분석, 산지경관에 대한 인식조사,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 및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산림청은 지속적인 산지관리를 위한 산지경관의 개념을 정의함에 있어 인간과 함께 계속 변화되며, 그 시대의 인간, 사회, 문화를 나타내는 경관의 특성(Lim, 2004)을 고려하고, 산지경관의 고유한 산세(山勢)나 능선이 지닌 지형적 특성, 동식물의 이동 및 생태계 연결성 등의 기능을 고려한 생태적 특성, 그리고 경치와 조화성 등의 심미적 특성을 반영하여, ‘산세 및 능선 등 지형적 특징과 산지에 부속된 자연 및 인공요소가 어우러져 심미적․생태적 가치를 지니며, 산지와 인간의 조화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치’로 산지경관의 정의를 재정립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이를 통해 산지경관이 지닌 지형적, 생태적, 심미적 특성을 강조하고, 관련된 구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통합적인 관리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최근에는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2)가 경관법 개정안에 따른 경관심의 운영방안 마련을 위해 심의대상 유형별 경관심의 지침과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경관영향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평가서의 분석, 현장답사를 통해 경관영향에 대한 진단을 통해 환경적인 친화적 평가가 수행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거나(Choi, 2005), 자연경관심의제도 시행에 있어 제도의 운용에 필요한 심의기준 및 검토지침 등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여 법적 시행의 사전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Lee et al., 2007). 또한 실제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에 상정된 경관심의 안건의 분석을 통해 경관심의제도의 운영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경관제도의 개선 및 정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Chu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란? 산지는 산맥이 모여 구성된 기복이 크고, 경사가 가파른 사면을 가진 곳으로, 그 내부는 동식물이 서식하고,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 기반이자, 동식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계의 근원이다. 또한 산지는 산지관리법 제2조제1항은 산지를 ‘입목(立木), 죽(竹)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토지’로 정의하고 있어 유사한 개념의 산림과 달리, 산지는 지형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산지경관영향검토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산지경관영향검토 절차는 사업자가 관련 자료를 작성하여 산지경관 영향 개요, 조망분석, 산지경관영향 모의실험, 산지경관영향 검토, 관련서류 및 자료작성, 검토 및 적정성 판단 순으로 진행되며, 산지경관영향검토는 중앙산지관리위원회 및 지방산지관리위원회 또는 산지전용타당성조사1) 전문기관과 담당공무원에 의해 운영된다.
산지경관의 정의를 재정립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산지의 개념이 유사 개념과 차별화되고, 산지관리의 인식과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제도 및 연구에서는 산지경관을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산지의 자연요소 또는 사물이 어우러진 대상’으로 시각적 관계 및 조망의 대상으로 한정해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산지경관의 다의적 특성 및 구성요소를 내포하지 못하고, 자연경관, 산림경관, 지형경관 등 유사개념과 혼재되어 사용됨에 따라 산지경관 정의의 재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이에 산림청은 지속적인 산지관리를 위한 산지경관의 개념을 정의함에 있어 인간과 함께 계속 변화되며, 그 시대의 인간, 사회, 문화를 나타내는 경관의 특성(Lim, 2004)을 고려하고, 산지경관의 고유한 산세(山勢)나 능선이 지닌 지형적 특성, 동식물의 이동 및 생태계 연결성 등의 기능을 고려한 생태적 특성, 그리고 경치와 조화성 등의 심미적 특성을 반영하여, ‘산세 및 능선 등 지형적 특징과 산지에 부속된 자연 및 인공요소가 어우러져 심미적․생태적 가치를 지니며, 산지와 인간의 조화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치’로 산지경관의 정의를 재정립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G. S., J, W. Ko and D. G. Sung(1999) A study on the making normalization function of landscape component for mountainous-district development landscape estimation and prediction.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30: 15-26. 

  2. Choi, H. S.(2005) A study on improvements of landscape impact assessment - EIA and PER in priority -.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 Restoration Technology 8(4): 68-80. 

  3. Chung, S. J., H. J. Hwang, D. Y. Jung and K. R. Choi(2005) Improvement schemes of the landscape design review system - Focused on the projects reviewed by the Incheon Landscape Committe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4): 137-154 

  4. Han, S. G.(2011) Busan building height regulations for the management of mountain landscape : Focused on the skyline of Hwangreung mountain.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2(2): 970-978. 

  5. Huh, J., D. S. Kim, S. H. Joo, C. S. Kim and M. J. Lee(2007)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75-84. 

  6. Lim, S. A.(2004) The Representative Scene of the Gangneung City in Travel Vrochure. MS Dissertation.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Korea. 

  7. Kang, Y. J., Y. C. Cha and M. S. Cha(2008) Geographical structure of view point in the landscape experience on mountain in Yangs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75-84. 

  8. Kim, C. S., J. Y. Lee and Y. M. Kim(2011) A study on the methods of multiple sight surface and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for the forest scape management around the Myeong-hwal fortr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78-86. 

  9. Kim, S. W.(2012) User's evaluation on the ecological trail in Gunsan reservoir area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9(3): 319-325. 

  10.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3) Trend Analysi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Natural Landscape Ration System. 

  11. Korea Forest Service(2007) Improvement Mountainous Land Converxion System for Mountainous Landscape Maintenance. 

  12. Korea Forest Service(2013) Establishment of Forest-Land Scenery Management System. 

  13. Lee, S. M., H. S. Choi, C. S. Park, S. H. Joo and J. H. Shin(2007) A legal approach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landsca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3): 23-32. 

  14. Ministry of Land(2012) Landscape Design Review System Operation and Research Ways to Internal Stability Pla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 Ministry of Environment(2007) Development Natural Landscape Assessment Technique and Natural Landscape Rating System Manual. 

  16. Sohn, H. G., H. N. Jeong, S. Choi, D. G. Lee and C. W. Seo(2010) Policy directions for rational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land by considering the mountain ridge and valley network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7. Prato, T. and D. Fagre(2007) Achieving ecosystem sustainability. In T. Prato and D. Fagre (Eds.), Sustaining Rocky Mountain Landscapes: Science, Policy and Management of the Crown of the Continent Ecosystem. RFF Press. pp. 302-311. 

  18. Taylor, L. and A. Ryall(2004)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Management in Mountain Areas. The Banff Cent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