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개가시나무의 유전구조와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Quercus gilva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151 - 157  

김고운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장경수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임형우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김은혜 (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  이계한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에 생육하고 있는 개가시나무(Quercus gilva Blume)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보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데이터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주도 내 5집단 80개체를 대상으로 ISSR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6개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72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하였으며 그 중 67개의 증폭산물이 다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수준에서의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은 93%로 나타났으며, S.I. (Shannon's information index)=0.237, h (Nei's genetic diversity)=0.156로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F_{st}$는 0.169의 값을 보여 집단 간 분화가 큼을 나타냈다. 전체 유전변이의 17%가 집단 간 차이, 나머지 83%는 집단 내 개체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 집단 간의 변이보다 집단 내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가시나무 서식지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생육환경의 개선을 통한 치수의 생장력 강화, 현지 외 유전자원 보전 및 현지 외 개체군과의 환경적 유전적 차이 비교를 통한 보전방안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of Quercus gilva Blume growing in Jeju Island for developing a preservation strategy. We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using 6 ISSR primers and investigated 67 polymorphic ISSR amplicons in 80 trees distributed among five population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01) 이루어졌으나, 분포와 생태에 대한 연구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한경면일대에 한정되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개가시나무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향후 보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데이터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개가시나무 개체는 어디에서 자생하고 있는가? 국내 개가시나무 개체의 대부분은 제주도 일부 저지대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자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서남부지역인 한경면과 안덕면 일대의 상록활엽수림에 집중 분포한다(Kim, 2006). 환경부가 지정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V등급(생태적 환경 등의 이유로 고립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에 해당하며, 서식지가 대규모 개발에 의하여 파괴 되는 등의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감소될 것으로 우려되어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2).
개가시나무가 가구재, 기계재 등 목재자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과 중국, 타이완과 한국의 남부도서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재질이 연하여 신축성과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구재, 기계재, 신탄재 등의 목재자원으로 이용되며, 일본에서는 이미 조경수로 각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잎에 카테민, 티로솔과 같은 항산화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천연 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가진 수종이다(Kang et al., 2013; Moon et al.
개가시나무는 어떤 식물인가? 개가시나무(Quercus gilva Blume.)는 참나무과(Fagaceae) 참나무속(Quercus)에 속하는 상록성 교목으로 수고는 20∼30 m, 직경은 1.5∼2 m까지 자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i, T.B. 2001. Genetic structure and diversity of three oak species (Quercus, Subgen. Cyclobalanopsis) in Ko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for Q. acuta Thunb. ex murray.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89. 

  2. Choi, G.E., Nam, J.I., Kim, Y.M. and Park. J.I. 2015. Genetic diversity of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8(4): 411-418. 

  3. Dolye, J. and Dolye, J.L. 1987. Genomic plant DNA preparation from fresh tissue-CTAB method. Phytochem Bull 19: 11. 

  4. Excoffier, L., Laval, G. and Schneider, S. 2005. Arlequin(ver. 3.0): An integrated software package for population genetics data analysis. Evolutionary Bioinformatics Online. 1: 47-50. 

  5. Felsenstein, J. 1993. PHYLIP v3.5c. Department of Genetic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6. Hong, K.N., Lee, J.W. and Kang, J.T. 2013.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Exochorda serratifolia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122-128. 

  7. Hyun, H.J., Song, K.M., Choi, H.S. and Kim, C.S. 2014.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Quercus gilva Blume popul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4): 385-392. 

  8. Jang, R.H., Kim, H.R. and You, Y.H. 2013.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response of several woody plants, including two endangered speci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6(2): 234-240. 

  9. Jeong, J.H., Kim, K.S., Lee, C.H. and Kim, Z.S. 2007.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structure in populations of Abelia tyaigyon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 667-675. (in Korean) 

  10. Kang, Y.J., Suh, K.M., Son, S.K., Kim. H.J., Shin, H.C., Chae, J.W., You, H.C., Choi, H.S. and Park, J.H. 2013. Study on promising species for warming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SBN 978-89-8176-969-7. 

  11. Karron, J.D. 1991.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nd breeding systems in rare plant species. pp. 87-98. In: D.A. Falk & K.E. Holsinger, eds. Genetics and conservation of rare plant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2. Kim, C.S. 2006.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the endangered wild plants in Jeju Island.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3. Kim, S.Y., Kim, Y.D., Kim, J.S., Yang, B.H., Kim, S.H. and Lee, B.C. 2009.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Pulsatilla tongkangensis as inferred from ISSR marker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3(4): 360-367. (in Korean) 

  14. Kim, S.Y., Kim, Y.D., Kim, J.S., Yang, B.H., Kim, S.H. and Lee, B.C. 2009. Genetic diversity of Forsythia ovata Nakai (Oleaceae) based on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ISSR).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48-54. (in Korean) 

  15. Kim Y.M., Hong, K.N., Lee, J.W. and Yang, B.H. 2014. Genetic variation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ISSR Marke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 182-188. 

  16. Laikre, L., Schwartz, M.K., Waples, R.S. and Ryman, N. 2010. Compromising genetic diversity in the wild: Unmonitored large-scale release of plants and animal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5: 520-529. 

  17. Lee, S.W., Kim, Y.M., Kim, W.W. and Chung, J.M. 2002. Genetic variation of ISSR markers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a rare and endangered tree species, Oplopanax elatu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 565-573. 

  1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Sa. pp. 210. Korea. 

  19. Lewis, P.O. and Crawford, D.J. 1995. Pleistocene refugium endimic exhibit greater allozyme diversity than widespread congeners in the genus Polygonella (Polygon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2: 141-149. 

  20. Luan, S., Chiang, T.Y. and Gong, X. 2006. High genetic diversity vs. low genetic differentiation in Nouelia insignis(Asteraceae), a narrowly distributed and endemic species in China, revealed by ISSR fingerprinting. Annals of Botany 98: 583-589. 

  21. Maki, M. and Asada, Y-j. 1998. High genetic variability revealed by allozymic loci in the narrow endemic fern Polystichum otomasui (Dryopteridaceae). Heredity 80: 604-610. 

  22. Millar, C.I. and Libby, W.J. 1991. Strategies for conserving clinal, ecotypic, and disjunct population diversity in widespread species. In D. A. Falk and K. E. Holsinger[eds.], Genetics and conservation of rare plants, pp. 149-170.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http://eng.me.go.kr 

  24. Moon, M.Y., Baik, J.S., Kim, S.S., Jang, W.J., Kim, M.S. and Lee, N.H. 2009.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branches of Quercus gilva Blum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 35. pp. 251-256. 

  25. Momohara, A. 1997. Quercus gilva forest in the middle part of Boso Penisula in the latest Yayoi-earliest Kofun period. Tech Bull Fac Hort China University 51: 127-136. (in Japanese) 

  26. Nei, M. 1973. Analysis of gene diversity in subdivided populat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70: 3321-3323. 

  27. Nei, M. 1978. Estimation of average heterozygosity and genetic distance from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Genetics 89: 583-590. 

  28. Nybom, H. and Bartish, I.V. 2000. Effects of life history traits and sampling strategies on genetic diversity estimates obtained with RAPD markers in plants. Perspectives in Plant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 93-114. 

  29. Primack, R.B.. Lee, S.D., Kang, H.S., Kang, H.J. and Kim, J.G. 201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World Science. pp. 28-29. 

  30. Saghai-Maroof, M.A., Soliman, K.M., Jorgensen, R.A. and Allard, R.W. 1984. Ribosomal DNA spacer-length polymorphisms in barley: Mendelian inheritance, chromosomal location, and population dynamics. Population Biology 81: 8014- 8018.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31.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Illinois (USA). 

  32. Shin, H.C., Park, N.C. and Hwang, J.H. 2006. Korean warm temperate tree spec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30-31. 

  33. Shin, S.K., Song J.H., Lim H.I., Jang K.H., Hong K.N. and Lee J.W. 2014.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Populus koreana Population in Mt. Odae,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 59-64. 

  34. Sneath, P.H.A. and Sokal, R.R. 1973. Numerical Taxonomy, Freeman San Francisco, CA (USA) pp. 573. 

  35. Son, S.W., Choi, K.S., Park, K.T., Kim, E.H. and Park, S.J. 201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 Rare and Endemic Species, Deutzia pdaniculata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5): 619-627. 

  36. Sugiura, N., Kurokochi, H., Tan, E., Asakawa, S., Sato, N., Saito, Y. and Ide, Y. 2014. Development of 13 polymorphic chloroplast DNA markers in Quercus gilva, a regionally endemic species in Japan. Conservation Genet Resource. 6: 961-965. 

  37. Suh, M.H., Koh, K.S., Ku, K.U., Kil, J.H., Choi, T.B., Suh, S.U., Oh, H.K., Lee, I.K., Na, J.G., Hyun, J.O. and Oh, J.G. 2001.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endangered and reserved plants based on the ec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1-48. 

  38. Suh, M.H., Koh, K.S., Ku, K.U., Kil, J.H., Choi, T.B., Suh, S.U., Oh, H.K., Lee, I.K., Na, J.G., Hyun, J.O. and Oh, J.G. 2002.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endangered and reserved plants based on the ec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65-66. 

  39. Ranker, T.A. 1994. Evolution of high genetic variability in the rare Hawaiian fern Adenophorus periens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iological Conservation 70: 19-24. 

  40. Xue, D.W., Ge, X.J., Hao, G. and Zhang, C.Q. 2004. High genetic diversity in a rare, narrowly endemic Primrose species: Primula interjacens by ISSR analysis. Acta Botanica Sinica 46: 1163-1169. 

  41. Yeh, F.C., Yang, R.C. and Boyle, T. 1999. POPGENE version 1.31: Microsoft window-based freeware for population genetic analysis. University of Alberta and Centre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pp. 11-23. Canad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