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분밀도관리도를 이용한 편백림의 고사량 및 수확량 예측
Prediction of Mortality and Yield for Chamaecyparis obtusa Using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174 - 183  

박준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박용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김형호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정수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편백 조림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관리 체계 수립을 위해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다. 조사 표본점 216 plots을 활용하여 수확량-임분밀도 관계를 추정하였으며($R^2=0.743$), 추정된 모수를 바탕으로 임분밀도관리도를 구축 하였다. 생장을 예측한 결과, ha당 3,000 본 조림 후 80년간 솎아베기 시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고사 본수는 $12.0{\sim}18.1trees{\cdot}ha^{-1}{\cdot}year^{-1}$로 분석되었고, 임분 재적은 $463.1{\sim}695.4m^3{\cdot}ha^{-1}$, 임분밀도는 $1,555{\sim}2,038trees{\cdot}ha^{-1}$로 나타났다. 향후 임분밀도관리도는 시업 기준과 수확목표 설정 등 산림 경영 계획 수립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make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which is useful for establishing stand density management system in Chamaecyparis obtusa forest. By using 216 sample plots to estimate Yield-Density relationship ($R^2=0.743$),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was model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구조적 임분밀도 관리 모델은 임분관리 체계의 수립과 수확목표 지점에서 예측되는 흉고직경급별 재적과 이용재적 등을 산출하여 임목의 가치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한층 더 발전한 형태로 구조적 임분밀도 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임분 생장 예측 기술과 임목 가치 평가 기술이 결합된 임분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ecision-support system for forest density management)으로 발전하였다 (Newton, 2009; Newton, 201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사용중인 임분밀도관리도 개발 방법을 도입하여 우리나라 편백(Chamaecyparis obtusa) 현실림을 대상으로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함으로써 생장예측 및 고사예측에 의한 정량적 임분밀도 관리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국외에서 활용도가 높고, 이를 이용한 의사결정 프로그램 개발 단계까지 나아가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구조적 임분밀도 관리모델과 임분 관리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임분밀도 관리의 정량적 평가와 그 기준 수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Ando(1962)가 C-D효과와 Y-D효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함수에 자연간벌의 법칙을 개념적 기반으로 하여 일본 중부지역에 분포한 소나무를 대상으로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다. 평방평균 흉고직경과 평균 우세목 수고를 등치선 형태로 임분밀도관리도 상에 표기하여 주어진 벌기령에서 지정된 평방평균흉고직경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솎아베기 일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Ando, 1962). 이후 개체목 및 임목 수확량에 대한 다양한 솎아베기 처리별 결과가 도출되고 관리의 효과에 대한 평가가 임분밀도관리도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C-D 효과의 실증적인 검증을 하였다(Ando, 196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위지수와 고사량의 상관관계는? 220318로 지정하였다. 조림 후 80년이 경과한 시점에 대해 고사량을 예측한 결과, 지위지수가 높을수록 고사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임분 수확량 예측 결과에 따르면 지위지수가 높을수록 임분재적 및 임목크기는 커지며, 임분밀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임분밀도관리도가 주로 개발된 대상은? 임분밀도관리도(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SDMD)는 196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분석 접근법을 적용하여 상업적 가치가 높은 수종을 대상으로 주로 개발되었다(Newton, 1997). 초기에는 개체목 재적과 임분밀도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경쟁-밀도 효과(Competition-Density effect: C-D effect), 임분 재적과 임분밀도 간의 관계를 규정한 수확량-밀도 효과(Yield-Density effect: Y-D effect)와 자연간벌의 법칙(Self-thinning rule)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Kira et al.
초창기 이루어졌던 임분밀도관리도 연구는? 임분밀도관리도(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SDMD)는 196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분석 접근법을 적용하여 상업적 가치가 높은 수종을 대상으로 주로 개발되었다(Newton, 1997). 초기에는 개체목 재적과 임분밀도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경쟁-밀도 효과(Competition-Density effect: C-D effect), 임분 재적과 임분밀도 간의 관계를 규정한 수확량-밀도 효과(Yield-Density effect: Y-D effect)와 자연간벌의 법칙(Self-thinning rule)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Kira et al., 1953; Koyama and Kira, 1956; Shinozaki and Kira, 1956; Yod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o, T. 1962. Growth analysis on the natural stand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db Et Zucc). II. Analysis of stand density and growth. Bulletin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147: 1-77. 

  2. Ando, T. 1968. Ecological studies on the stand density control in even-aged stand. Bulletin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210: 1-153. 

  3. Drew, T. J. and Flewelling, J. W. 1977. Some recent Japanese theories of yield-density relationships and their application to Monterey pine plantations. Forest Science 23: 517-534. 

  4. Drew, T.J. and Flewelling, J.W. 1979. Stand density management: and alternative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Douglas-fir plantatins.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25(3): 518-532. 

  5.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2012. RYield calculation program. http://www.ffpri.affrc.go.jp/en/ (2012.11.01.) 

  6. Kim, D.K., Kim, J.W., Park, S.K., Oh, M.Y. and Yoo, J.H. 1987. Growth analysis of natural pure young stand of red pine in Korea and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reasonable density.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Korea 34: 32-40. 

  7. Kira, T., Ogawa, H. and Hozumi, K. (1953)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I: Competition-yield- density interrelationship in regularly dispersed populatio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olytechnics, Osaka City University Series D, 4: 1-16. 

  8.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4. Stand volume.biomass & Stand yield table. pp. 261. 

  9. Koyama, H. and Kira, T. 1956.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VIII. Frequency distributions of individual plant weight as affe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plant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olytechnics Osaka City University Series D, 7: 73-94. 

  10. McCarter, J.B. and Long, J.N. 1986. A lodgepole pine density management diagram. West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1: 6-11. 

  11. Nagahama, T. 2003. Preparation of the original stand density control diagram for Sugi plantations in Kagoshima. Bulletin of the Kagoshima Prefectural Forest Experiment Station 8: 1-11. 

  12. Newton, P.F. 1992. Base-age invariant polymorphic site index curves for black spruce and balsam fir within central Newfoundland. Nor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9: 18-22. 

  13. Newton, P.F. and Weetman, G.F. 1994.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managed black spruce stands. The Forestry Chronicle 70(1): 65-74. 

  14. Newton, P.F. 1997.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s: Review of their development and utility in stand-level management planning.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8: 251-265. 

  15. Newton, P.F., Lei, Y. and Zhang, S.Y. 2004. A parameter recoverry model for estimating black spruce diameter distributions within the context fo a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The Forestry Chronicle 80(3): 349-358. 

  16. Newton, P.F., Lei, Y. and Zhang, S.Y. 2004. A parameter recoverry model for estimating black spruce diameter distributions within the context fo a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The Forestry Chronicle 80(3): 349- 358. 

  17. Newton, P.F. 2009.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ecision- support model for density management within jack pine stand-type. Ecological Modelling 220: 3301-3324. 

  18. Newton, P.F. 2012. A decision-support system for forest density management within upland black spruce stand-type.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35: 171-187. 

  19. Park, J.H., Lee, K.S., Yoo, B.O., Park, Y.B. and Jung, S.Y.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3): 342-350. 

  20. Puettmann, K.J., Hibbs, D.E. and Hann, D.W.1992. The dynamics of mixed stands of Alnus rubra and Pseudotsuga menziesii: Extension of size-density analysis to species mixture. Journal of Ecology 80: 449-458. 

  21. Reineke, L.H. 1933. Perfecting a stand-density index for even-aged forests.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46: 627-638. 

  22. Shim, D.S., Park, C.W., Lee, H.K. and Kim, S.I. 1985. A study on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eaiensis) stnad.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Korea 32: 38-48. 

  23. Shim, D.S., Park, C.W., Lee, H.K. and Kim, S.I. 1986. A study on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tnad.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Korea 33: 1-12. 

  24. Shim, D.S., Park, C.W., Lee, H.K. and Kim, S.I. 1987. A study on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of pitch pine (Pinus rigida) stnad. Research Report of Forest Institute Korea 34: 12-21. 

  25. Shinozaki, K. and Kira, T. 1956. Int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VII. Logistic theory of the C-D effect.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olytechnics Osaka City University Series D, 12: 69-82. 

  26. Smith, F.W. and Long J.N. 1987. Elk hiding and thermal cover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lodgepole pine stand density. West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2: 6-10. 

  27. Smith, N.J. 1989. A stand-density control diagram for western red cedar, Thuja plic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7: 330-334. 

  28. Yoda, T. 1963. The pre-estimating of stem yield based on the competition density effect. Bulletin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154: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