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
Selecting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for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193 - 204  

이정호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이대성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서영완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  최정기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국유림 내 분포하는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조사된 표준지 80개소의 총 240개 시험구 내 입목정보를 활용하였다. 경쟁지수가 산출된 입목 수는 수종별로 소나무 1126본, 잣나무 4093본, 낙엽송 3399본 이었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을 위하여 흉고단면적 정수, 수고 및 지하고의 각도를 이용하여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기존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Modified Daniels 모델까지 총 6가지 경쟁지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최적 모형 선정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흉고단면적 정수 $4m^2/ha$를 이용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Modified Daniels 경쟁지수 모델이 이용된 모형에서 가장 좋은 상관이 나타나 최종적인 모형으로써 경쟁지수가 산출되었다. 임분특성에 따른 경쟁지수를 파악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모두 간벌강도가 강할수록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경쟁지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according to the competitor selection methods and distant-dependent competition index model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ition indices in terms of thinning intensity and tree density targeting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5. Periodic annual increments of basal area by species in this study. (Unit : cm²/year)
  • ,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생장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최적 모델을 선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림의 경우 거리종속 경쟁지수 활용이 적합하다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Shin, 2001; Shin et al., 2002; Linkevičius et al., 2014),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경쟁지수 산출을 위한 최적 모형을 선정하고 임분여건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파악하였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은 다양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에 따른 경쟁지수와 흉고단면적 정기평균생장량의 상관계수가 가장 좋은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 이 모델들은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수고 등 생장인자의 상대비를 기본으로 한 식으로써 모델에 따라 경쟁목과의 거리, 경쟁목에 대한 본수 등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들을 산점도를 통해 경쟁지수를 살펴보고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여 자연로그 형태의 Modified Daniels 모델을 제안하였다(Table 4).
  • 이에 따라 두 입목간 거리와 수고를 통해 계산된 값을 비교하여 경쟁목을 선발하는 것이 앞선 흉고단면적 정수 방법과의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흉고단면적 정수와 수고 각도 방법들을 이용하여 각 6단계 범주로 변화시킴에 따른 단계별 분석결과를 통해 최적 경쟁목 선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목간의 경쟁은 언제 일어나는가? 입목간의 경쟁은 햇빛, 수분, 영양소 등 자원에 대한 이용가능성이 최적 생장을 위한 요구조건에 미치지 못할 때 개체목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며, 이는 상대적 크기와 차지하는 생육공간의 점유능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Brand and Magnussen, 1988; Linkevičius et al., 2014).
경쟁지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경쟁은 다양한 이론적 방법에 따라 수치화하여 경쟁지수라 일컫는데 이는 임분에서 특정 상태의 입목생장을 파악함으로써 개체목 단위 예측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Pretzsch, 2009). 즉, 경쟁지수는 개체목의 생장을 예측하는 모델에 독립변수로써 이용되는데 모델에 있어 경쟁지수의 역할은 주변 경쟁목들에 대해 중심목의 경쟁상태가 고려되어 향상된 설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Shin et al., 2002).
경쟁지수를 개체목간 거리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경쟁지수를 파악하는 방법은 크게 각 개체목간 거리를 고려하는지 여부에 따라 거리종속 경쟁지수와 거리독립 경쟁지수로 크게 분류된다(Biging and Dobbertin, 1992; 1995; Davis and Johnson, 1987; Holmes and Reed, 1991; Tomé and Burkhart, 1989). 그 중 개체목간의 경쟁 상태는 거리독립 경쟁지수보다 거리종속 경쟁지수가 더 잘 추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단순 인공림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고되었다(Moore et al, 1973; Martin and Ek, 1984). 이에 따라 개체목의 생장예측에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거리종속 경쟁지수가 제안되어 왔다(Bella, 1971; Heygi, 1974; Daniels, 1976; Martin and EK, 1984; Tomé and Burkhart, 1989; MacDonald et al., 1990; Biging and Dobbertin, 1992; Brunner and Nigh, 2000; Radtk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ella, I.E. 1971. A new competition model for individual trees. Forest Science 17(3): 364-372. 

  2. Biging, G.S. and Dobbertin, M. 1992. A comparison of distance-dependent competition measures for height and basal area growth of individual conifer trees. Forest Science 38(3): 695-720. 

  3. Biging, G.S. and Dobbertin, M. 1995. Evaluation of competition indices in individual tree growth models. Forest Science, 41(2): 360-377. 

  4. Brand, D.G. and Magnussen, S. 1988. Asymmetric, two-sided competition in even-aged monocultures of red pin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8(7): 901-910. 

  5. Brunner, A. and Nigh, G. 2000. Light absorption and bole volume growth of individual Douglas-fir trees. Tree Physiology 20(5-6): 323-332. 

  6. Burkhart, H.E. and Tome, M. 2012. Modeling Forest Trees and Stands. Springer, New York, NY, pp 457. 

  7. Choi, H.K., Park, B.B., Sung, J.H. and Shin, M.Y. 2013. Comparison of competition indices by silvicultural system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eongcha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515-521. 

  8. Choi, J.K., Lee, D.S., Seo, Y.W. and Choi, I.H. 2014. Investigation of Thinning Experimental Plots(1),(2) of Korean White Pine Stand(II). Journal of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 1-26. 

  9. Choi, J.K., Seo, Y.W. and Lee, D.S. 2015. Investigation of thinning experimental plots(4-10) of Korean white pine plantation(III). Journal of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5: 49-102. 

  10. Chung, D.J. and Lee, J.L. 1998. A study on competition status in mix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by using the competition indices.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1(1): 50-60. 

  11. Daniels, R.F. 1976. Simple competition indic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annual loblolly pine tree growth. Forest Science 22(4): 454-456. 

  12. Daniels, R.F., Burkhart, H.E. and Clason, T.R. 1986. A comparison of competition measures for predicting growth of loblolly pine tre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6(6): 1230-1237. 

  13. Davis, L.S. and Johnson, K.N. 1987. Forest Management. McGraw-Hill Inc., New York, NY, pp. 790. 

  14. Doyle, T.W. 1983. Competition and growth relationships in a mixed-aged, mixed-species forest communit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USA. 

  15. Hegyi, F. 1974. A simulation model for managing jack-pine stands. In: Fries, J. (Ed.). Growth Models for Tree and Stand Simulation, Royal College of Forestry, Stockholm, Sweden, pp. 74-90. 

  16. Holmes, M.J. and Reed, D.D. 1991. Competition indices for mixed species northern hardwoods. Forest Science 37(5): 1338-1349. 

  17. Kwon, S.D., Lee, K.H., Kim, H.H. and Chung, J.S. 2003. Development of individual-tree/distance-independent growth- and-mortality prediction equations for Pinus koraiensis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6): 590-597. 

  18. Kwon, S.D., Kim, S.Y., Chung, J.S. and Kim, H.H. 2007. Development of thinning effect analysis model (TEAM) using individual-tree distance-independent growth model of Pinus koraiensis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6): 742-749. 

  19. Lee, W.K. 1996a. Estimating the competition indices and diameter growth of individual trees through position- dependent stand surve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5(3): 539-551. 

  20. Lee, W.K. 1996b. Methodological approach of forest management plan I. Forest survey and growth model. Natural Resources Research of Korea University 4: 29-48. 

  21. Lee, W.K., Doko, S.J. and Byun, W.H. 1998. Development of a forest information analysis system (FIAS1.5) for position dependent forest survey.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1(1): 37-49. 

  22. Lee, W.K., Seo J.H., Hwang, J.W. and Kim, Z.S. 1999. DBH-growth model by competition index for Pinus koraiensis.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2(1): 21-30. 

  23. Lee, D. and Choi, J. 2014. A study 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in north central region of Gangwon province. Journal of Forest Science 30(1): 101-106. 

  24. Lee, D.S. 2015. Studies on growth models for Larix kaempferi, Pinus koraiensis, and Pinus densiflora in Korea.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5. Lee, D., Seo, Y. and Choi, J. 2017.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stem volume equations for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3(2): 77-82. 

  26. Linkevicius, E., Kuliesis, A., Rohle, H., Schroder, J. and Aleinikovas, M. 2014. The impact of competition for growing space on diameter, Basal area and height growth in pine trees. Baltic Forestry 20(2): 301-313. 

  27. MacDonald, B., Morris, D.M. and Marshall, P.L. 1990. Assessing components of competition indices for young boreal plantation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7): 1060-1068. 

  28. Martin, G.L. and Ek, A.R. 1984. A Comparison of competition measures and growth models for predicting plantation red pine diameter and height growth. Forest Science 30(3): 731-743. 

  29. Moore, J.A., Budelsky, C.A. and Schlesinger, R.C. 1973. A new index representing individual tree competitive statu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4): 495-500. 

  30. Pretzsch, H. 2009. Forest Dynamics, Growth and Yield. Heidelberg, Springer, Berlin, pp. 664. 

  31. Pukkala, T. and Kolstrom, T. 1987. Competition indices and the prediction of radial growth in Scots pine. Silva Fennica 21(1): 55-67. 

  32. Radtke, P.J., Westfall, J.A. and Burkhart, H.E. 2003. Conditioning a distance-dependent competition index to indicate the onset of inter-tree competi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5(1-3): 17-30. 

  33. Seo, J.H. Son, Y.M., Lee, K.H. and Lee, W.K. 2005. The optimum competition index and the development of single tree growth model for Pinus densiflora stands in Anmyun-Island.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8: 125-135. 

  34. Shin, M.Y. 1999. A study on the competition status of deciduous species in natural mixed stand -Comparison of a distance dependent competition index model with a distance independent competition index model-. Forest Science of Kookmin University 11: 67-78. 

  35. Shin, M.Y. 2001. Selection of the best competition index model based on the stand types. Forest Science of Kookmin University 13: 47-61. 

  36. Shin, M.Y., Chung, D.J. and Kim, J.H. 200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competition index for young stand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1(1): 59-70. 

  37. Shin, M.Y., Lee, M.J. and An, H.S. 2003. Development of individual tree mortality equations for four coniferous species by using distance-independent competition index.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6): 581-589. 

  38. Shin, M.Y. and Han, S.H. 2004.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optimal competition index.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5): 339-348. 

  39. Tome, M. and Burkhart, H.E. 1989. Distance-dependent competition measures for predicting growth of individual trees. Forest Science 35(3): 816-8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