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재 및 펄프·제지 분야 한국산업표준(KS)의 운영현황과 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n the Management of the Korean Standards (KS): Woods, Pulp and Paper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205 - 217  

신현경 (국립산림과학원 목조건축연구과) ,  최용석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연구과) ,  김건호 (국립산림과학원 목조건축연구과) ,  엄창득 (국립산림과학원 목조건축연구과) ,  박주생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연구과) ,  심국보 (국립산림과학원 목조건축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KS)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참여형 표준운영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목재 및 펄프 제지 산업표준과 관련하여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표준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단계적인 표준 정비방안과 표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림청은 2015년에 목재 및 펄프 제지산업분야 KS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이관 받아 현재는 426종의 관련 표준을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3개 분야 전문위원회(목재 목조건축분야, 목질재료분야, 펄프 제지분야)와 목재 제지 기술심의회를 신설하여 표준의 제 개정 안건을 심의 하도록 하였다. 목재 및 제지 산업분야의 국가표준이 전문 부처에서 관리되는 만큼 기술 경쟁력 향상과 시장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기존 표준의 재정비와 실용적인 표준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 표준 운영에 대한 체계 수립과 전략적인 표준 분석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KS와 국제 표준과의 부합화를 통해 국제 무역에서 표준의 상이성에 따른 기술 장벽이 되지 않도록 하며,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과 표준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육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tandard operation status on wood, pulp and paper industry in Korea according to the industry standardization law which has been revised for strengthening expertise of relevant department and to propose a management strategy of Korean Standards (KS) in figure. Korea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업표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참여형 표준운영 정책에 따라 목재 및 펄프·제지 산업 표준이 산림청으로 이관된 후 해당 산업표준과 관련하여 표준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 이 연구는 개정된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산업표준 운영에 관한 체계를 바탕으로 산림청에서 운용중인 목재 및펄프·제지산업분야의 한국산업표준(KS) 운영현황과 해당 분야의 표준을 분석하여 앞으로 목재 및 펄프·제지 산업분야의 표준화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표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표준이란? 현대 사회가 지식경제 시대로 전환되면서 산업·경제전 분야에 걸쳐 세계적으로 표준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광·공업품에 관한 모든 기술 및 시험 분석, 안전조건 등을 포함한 기준인 산업표준은 기술 개발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하기 때문에 국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hoi와 Ko(2010)는이러한 표준을 통해 품질을 보장하며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호환성 확보에 의한 비용절감을 통해 경제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산업표준의 역할은? 현대 사회가 지식경제 시대로 전환되면서 산업·경제전 분야에 걸쳐 세계적으로 표준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광·공업품에 관한 모든 기술 및 시험 분석, 안전조건 등을 포함한 기준인 산업표준은 기술 개발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하기 때문에 국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hoi와 Ko(2010)는이러한 표준을 통해 품질을 보장하며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호환성 확보에 의한 비용절감을 통해 경제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산업표준이 가져오는 이익은? 특히 광·공업품에 관한 모든 기술 및 시험 분석, 안전조건 등을 포함한 기준인 산업표준은 기술 개발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하기 때문에 국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hoi와 Ko(2010)는이러한 표준을 통해 품질을 보장하며 소비자에게는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호환성 확보에 의한 비용절감을 통해 경제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독일표준협회(DIN,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는 표준의 경제적 효과를 연간 160억 유로로 추산하고 독일 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 1%에 해당한다고 발표하였다(DI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ministrative Regulation of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2015.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No. 143. 

  2.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World Trade Organization. 1995. 

  3. Choi, H.K. 2015. Analysis of industrial standardization. Society for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Spring Conference. Seoul. pp. 28. 

  4. Choi, H.K. and Ko, J.S. 2010. Standard and Competitive advantage - Focus on Growth and International Trade. Korean Industrial Economic Policy. pp. 13-14. 

  5. En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Rule. 2015. No. 26440. 

  6. DIN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2011. The Economic Benefits of Standardization: An update of the study carried out by DIN in 2000. DIN German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Berlin. pp. 18-19. 

  7.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2016. Annual Report 2016. Berlin. pp. 58. 

  8.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Republic of Korea. 2015. No. 13089. 

  9.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Japan. 1949. No. 185. 

  10. Japan's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13. Promotion of the high performance of some JIS. Retrieved from http://www.meti.go.jp/policy/economy/hyojun/jiskou kinou.html 

  11.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Secretariat. 2013. Japan's Standardization Policy 2013. pp. 5-6. 

  12. Jung, B-K. 2007. Standard Policy of Germany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of DIN - Focused on the Organization Structure,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International Standards Strategy of DIN -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25: 37-67. 

  13. Jeong, S-K., Park, W-J. and Park, J-Y. 2008. Chaotic use patterns of building terms in KS and directions for their standardiz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12): 141-148. 

  14. KATS.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nkage Between Policies and Standards. Report. pp. 36. 

  15.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4. Current state of standards activity. KISTEP the Statistics brief. No. 20. pp. 8. 

  16.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3.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on the Statistical legislation. KSA Policy Study 003. pp. 5-9. 

  17.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5.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industrial standardization.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ssue Paper. pp. 6-7. 

  18. KS A 0001 Rules for the drafting and presentation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 2015. 

  19. KS F 1551 Terminology for wood - properties and defects of wood. 2010. 

  20. KS M 1701 Wood preservatives. 2010. 

  21. KS X ISO 704 Terminology work - Principles and methods. 2010. 

  22. Lee, Hyun Joo, Joe, Dong Sung. 2011. The feature of terminology standardization its problems. Korean semantics. 35: 245-283. 

  23. Lee, H.S., Lee, H.J., Yang, H.D. and Choi, D.G. 2011. Establish the General Principles and Development of the Valid Assessment Tool. Society for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Report. Chungbuk. pp. 82-84. 

  24. Restriction banned substances Rule. 2007. Ministry of Environment Directive No. 152. 

  25. Shim, K.B. 2015. Standards and Quality Criteria of Wood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Forestry Policy Issue No. 56, pp. 14. 

  26. Shin, H.K., Park, J.S., Shim, K.B., Choi, Y.S. and Kim, K.H. 2018. Study on Strategy for Unification Process between Korean Standards (KS) and Technical Regulations: Wood-based Industry. Journal of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8(1):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