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권 수목에 살포된 살충제 Fenitrothion의 이용자 노출 및 위해성 평가
Visitor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Insecticide Fenitrothion Applied to Tree in Public Living Space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2, 2018년, pp.229 - 236  

권건형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문준관 (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 ,  정윤미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민섭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진흥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근섭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권영대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림, 생활림, 가로수, 도시공원 등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하는 구역이나 장소에 위치한 생활권 수목 식재지에서의 농약 살포는 농약 살포자의 농약 노출 문제뿐만 아니라 농약의 살포 후 생활권 수목과 접촉하는 불특정 시민들도 지속적인 농약 노출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 수목의 관리를 위해 관행적으로 가장 많이 살포되는 살충제인 Fenitrothion을 회양목에 살포하고 일정시간별로 손 노출량, 잎 잔류량, 호흡 노출량을 측정한 뒤, 위해성 평가 수식(MOS: margin of safety)을 이용하여 체중별 안전 노출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살포된 Fenitrothion의 손을 통한 전이량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호흡노출량이 측정되지 않는 48시간 이전까지는 농약노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sticides are widely sprayed by the growers in street trees and planting areas which include urban forests, community forests and city parks to control pests. Spraying pesticides not only affect the people who sprayed but also affect the unspecified citizens who's are exposed to pesticides spray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생활권 수목의 병해충 방제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살충제인 Fenitrothion 유제에 대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자가 아닌 농약이 살포된 후 생활권 수목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농약 노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 노출의 주요한 경로는? 농약 노출(pesticide exposure)이란 입, 코, 피부와 같은 신체 기관을 통한 농약과의 접촉을 말하며(Crosby, 1998), 주요한 노출경로는 피부노출(dermal exposure)과 호흡노출(inhalation exposure)이다(Fenske and Day JR, 2005; Hughes et al., 2008; Chester, 2010).
Fenitrothion은 어떤 작용을 통해 살충효과를 내는가? Fenitrothion은 1959년 일본과 독일에서 개발된 유기인계 살충제로 적용 범위가 넓고 다양한 대상작물에 등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유기인계 살충제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Tomlin, 2009). 국내에서는 벼, 콩, 마늘, 잔디 등의 농작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복숭아, 참나무류, 밤 등의 수목에도 등록되어 있으며 나방류, 풍뎅이류, 노린재류, 나무좀류, 하늘소류 등의 해충에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통해 살충효과를 나타낸다(KCPA, 2017).
생활권 수목이란? 2012년 1월 개정된 산림보호법에서는 산림병해충을 기존의 산림뿐만 아니라 산림이 아닌 지역에 있는 수목(농작물 제외)에 해를 끼치는 병과 해충으로 공간적인 개념을 확대하였으며, 산림보호법 제21조의 3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2조의 3에 따라 수립⋅시행하는 수목진료에 관한 시책에 포함되는 수목진단센터 운영지침에서는 “생활권 수목”을 도시림, 생활림, 가로수 등 국민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구역이나 장소에 식재된 수목으로 산림이 아닌 지역의 수목으로 정의하였다. 생활권 도시림은 일반적으로 도시민들이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시간 및 비용에 대한 부담이 낮고, 실생활에서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는 도시림을 의미하며 1인당 생활권 도시림의 면적은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 J.S. 2012. Tree protection. Korea Tree Health Association (Vol. 17). pp.12-17. 

  2. Capri, E., Alberici, R., Glass, C.R., Minuto, G. and Trevisan, M. 1999. Potential Operator Exposure to Procymidone in Greenhous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7(10): 4443-4449. 

  3. Chester, G. 2010. Worker Exposure:Method and Techniques, ln:Hayes' Handbook of Pesticide Toxicology. edited by W. J. Hayes, pp. 1127-1137, Elsevier. 

  4. Choi, H. 2004.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for Applicator during Treatment of Imidacloprid and Thiophanate-methyl in various Crop Fields. Master Thesi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85. 

  5. Choi, H., Moon, J.K., Liu, K.H., Park, H.W., Ihm, Y.B., Park, B.S., Kim, J.H. 2006. Risk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Cypermethrin during Treatment of Mandarin Fields.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50(3): 437-442. 

  6. Crosby, D.G. 1998.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Chapter 10 Exposure and Risk.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p. 185-204. 

  7. Culver, D., Caplan, P. and Batchelor, G.S. 1956. Studies of human exposure during aerosol application of malathion and chlorthion. A.M.A. Archives of Industrial Health 13(1): 37-50. 

  8. Eaton, D.L. and Klaassen, C.D. 1996. Principles of toxicology. pp. 12-49. Casarett and Doull's Toxicology. 4th ed. Pergamon Press. U.S.A. 

  9. Fenske, R.A. and Day JR, E.W. 2005. Assesssment of Exposure for Pesticide Handlers in Agricultural, Residential and Institution Enviroment. Occupational Residential Exposure Assessment for Pesticide. 11-43. 

  10. Griffiths, J.T., Stearns, C.R. and Thompson, W.L. 1982. Exposure of applicators and Residents to Dichlotvos- Treated Residences, Acs Sym Ser. 273: 253-264. 

  11. Hughes, E.A., Zalts, A., Ojeda, J.J., Flores, A.P., Glass, R.C. and Montserrat, J.M. 2006. Analytical method for assessing potential dermal exposure to captan, using whole body dosimetry, in small vegetable production units in Argentina. Pest Management Science 62(9): 811-818. 

  12. Hughes, E.A., Flores, A.P., Ramos, L.M., Zalts, A., Glass, R.C. and Montserrat, J.M. 2008. Potential Dermal Exposure to Deltamethrin and Risk Assessment for Manual Sprayers: Influence of Crop Type. Science of The Total Enviroment 391(1): 34-40. 

  13. Jensen, J.K. 1984. The Assumptions used for exposure assessment in Determination and assessment of Pesticide exposure. Edited by M. Siewierski. pp. 147-152, Elsevier. 

  14.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7. Crop protection guideline. pp. 1572. 

  15. Kim, E.H. 2011.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methomyl and benomyl for applicator during treatment on apple orchard. Master Thesi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Kim, E.H., Lee, H.R., Choi, H., Moon, J.K., Hong, S.S., Jeong, M.H., Park, K.H., Lee, H.M. and Kim, J.H. 2011. Methodology for Quantitative Monitoring of Agriculture Worker Exposure to Pesticide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4): 507-528. 

  17. IPCS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1992.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33: Fenitrothion.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8. Kim, E.H., Lee, H.R., Choi, H., Moon, J.K., Hong, S.S., Jeong, M.H., Park, K.H., Lee, H.M., AN, X.H. and Kim, J.H. 2011. Method Validation for Monitoring of Agricultural Worker Exposure to Insecticide Fenth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4): 357-365. 

  19. Kim, E.H., Moon, J.K., Choi, H., Hong, S.M., Lee, D.H., Lee, H.M. and Kim, J.H. 2012.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insecticide methomyl for applicator during Treatment on apple orch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5(1): 95-100. 

  20. Kim, E.H., Lee, J.H., Sung, J.H., Lee, J.H., Shin, Y.H. and Kim, J.H. 2014.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for Operator Exposure to Insecticide Acetamiprid during Water Melon Cultivation in Greenhouse using Whole Body Dosimetry.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8(4): 247-257. 

  21. KFS (Korea Forest Service). 2010. Survey report on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forest disease and pest of life spaces gree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21. (in Korean) 

  22. KFS (Korea Forest Service). 2012. National Urban Forest Present Condition Statistic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81. (in Korean) 

  23. KFS (Korea Forest Service). 2013.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ree management of urban Public Living Space.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24. Kwon, G.H., Lee, M.S., Jung, Y.M., Oh, J.S., Lee, G.S., Kwon, Y.D. and Kim, J.H. 2016. Survey on management of apartment tree planting in Gyeonggi-do. Gyeonggi-do Forestry Environment Research Center. Osan, Korea. pp. 65. (in Korean) 

  25. Lee, J.B., Jeong, M.H., Sung, H.J., Lee, H.K. and Yang, J.S. 2001. Acute toxicity response caused by mixture or tank mix of several insecticide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5(4): 57-61. 

  26. Machado-Neto, J.G. 2001. Determination of Safe Work Time and Exposure Control Need for Pesticide Applicator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67(1): 20-26. 

  27. May, L.L. 1984. Dynamic Risk/Benefit Analysis in Pesticide Regulation: The Case of Toxaphene. Master's Thesis in Economics.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CA. 

  28. Miller, C.S., Hoover, W.L. and Culver, W.H. 1980. Exposure of Pesticide Applicators to Arsenic Acid.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9(3): 281-288. 

  29. Min, K.J. and Cha, C.G. 1999. Photodegradation of some Organophosphorous Pesticid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4(4): 339-345. 

  3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7. Study of Acceptable operator exposure level (AOEL) Setting of pestcide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Jeonju. Korea. pp. 324-337. 

  31. SAS Institute. SAS User's Guide:Statistices. SAS Institute, Cary, NC. 2012. 

  32.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09. Guidelines of Health Risk Assessment on Exposure of Children to Hazardous Substance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ju, Korea. pp. 116. (in Korean) 

  3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6. AOEL Information. http://pis.rda.go.kr/spcltyinfo/agchmSafeInfo/toxctyExpsr/aoel.do(2017. 8. 10.). 

  34. Oliveira, M.L. and Machado-Neto, J.G. 2003. Use of manganese as tracer in the determination of respiratory exposure and relative importance of exposure routes in the safety of pesticide applicators in citrus orchard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70(3): 415-421. 

  35. Ramwell, C.T., Johnson, P.D. and Corns, H. 2006. Transferability of Six Pesticides from Agricultural Sprayer Surface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50(3): 323-329. 

  36. Park, S.H. 1975. Studies on the Stability of Fenitrothion Formulat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2): 381-398. 

  3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Magement of Pesticide used for Safety in Urban Public Park Area(Palace, Park, Roadside tree etc.).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pp. 59. 

  38. Tomlin C. 2009. The Pesticide manual (15th editio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pp. 1457. 

  39. Turnbull, G.L. 1985. Current Trends and Future Needs in Occupational Hazards of Pesticide use edited. Taylor& Francis, London, UK. pp. 99-116. 

  4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exposure test guidelines. OPPTS875. 1000, EPA 712-C-96-261, U.S. EPA, Washington, DC. 

  41. Wojeck, G.A., Price, J.F., Nigg, H.N. and Stamper, J.H. 1983. Worker Exposure to Paraquat and Diquat.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12(1): 65-70. 

  42. You, A.S., Hong, S.S., Lee, J.B., Lee, S.D. and Ihm, Y.B. 2014. Application of Oral Absorption in Establishment of AOEL for Pesticides and Occupational Risk Assessment for farm worker.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8(4): 342-34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