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및 선호도 변화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Chang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linical Application Experience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in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135 - 140  

장경애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허성은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현경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숙정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 경험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및 선호도에 대한 변화를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와 경상 남 북도 지역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경험이 있을수록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경험은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과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은 디지털 구강스캐너 인지도와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인지도는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선호도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국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이 있을수록 그 인지도 및 선호도가 높아져 치과위생사의 업무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디지털 구강스캐너 관련 지속적인 교육과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a digital intraoral scanner through a convergence study. Data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for dental hygienists in Busan, Gyeongnam and Gyeongbuk were analyzed by SPSS 2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77년 Altschuler와 Young에 의해 구강 내 표면 정보를 디지털화 할 수 있는 방법인 디지털 구강스캐너가 최초로 소개된 이후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활용과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1,8] 이에 치과계는 기존의 인상채득 방법이 아닌 인상채득의 디지털화를 통한 새로운 작업방식으로의 변화로 인상채득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활용과 사용경험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4,5,9].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 임상적용 경험에 따른 인지도와 선호도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업무 효율성 증대 및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치과위생사들의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 경험에 따른 인지도와 선호도의 변화를 파악하여 치과위생사들의 업무 효율성 증대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기술의 치과 기공 과정에의 응용의 장점은 무엇인가? 1977년 최초로 소개된 이후 여러 부분의 보완을 거치면서 발전되고 있는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기존의 아날로그 인상채득과는 다르게 구강스캐너를 통해 얻어진 구강구조의 자료를 3D 이미지로 형성하고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수정 및 검토 작업과 모델 제작 단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1].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치과 기공 과정에의 응용은 아날로그 인상채득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타액 및 혈액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 인상체 및 석고모형의 변형 가능성, 완성된 모형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치과위생사와 치과기공사의 기술과 숙련도 차이에 의한 결과물의 완성도 역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2].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특징은 무엇인가? 1977년 최초로 소개된 이후 여러 부분의 보완을 거치면서 발전되고 있는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기존의 아날로그 인상채득과는 다르게 구강스캐너를 통해 얻어진 구강구조의 자료를 3D 이미지로 형성하고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수정 및 검토 작업과 모델 제작 단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1].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치과 기공 과정에의 응용은 아날로그 인상채득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타액 및 혈액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 인상체 및 석고모형의 변형 가능성, 완성된 모형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향상을 위한 노력에는 무엇이 있는가? 결국,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임상 적용 경험을 통한 반복학습 과정은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로 이어질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치과위생사를 위한 보다 전문적인 교육기관과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인상채득 분야를 담당하는 치과위생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임상 적용과 관련한 업무능력 향상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iu, P-R. (2005). A panorama of dental CAD/CAM restorative systems. Compendium, (26)7, 507-513. 

  2. R. W. Kim, G. W. Jang, Y. R. Heo & M. K. Son. (2014).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Impression in Dentistry. THE KOREA RESEARCH SOCIETY FOR DENTAL MATERIALS, 41(4), 253-261. 

  3. H. R. Jung. (2012). Dental Service Satisfaction of Dental Patients who experienced with Digital Im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nam. 

  4. Y. S. Kim, H. S. Park & I. Y. Ku. (2013).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Digital Denti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6), 909-916. DOI : 10.13065/JKSDH.2013.13.06.909 

  5. H. K. Kang, S. J. Lee, K. A. Jang & S. E. Heo. (2018). Dental hygienists'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5), 69-75. DOI :10.15207/JKCS.2018.9.5.069 

  6. J. W. Choi, B. C. Choi & S. C. Kim. (2017). Marginal fit of the prosthesis fabricated by dental oral scanner and model scanner. THE JOURNAL OF THE KOREA RESEARCH SOCIETY FOR DENTAL MATREIALS, 44(1), 79-86. 

  7. H. R. Park. (2014).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degital intraoral scanners before and after training dental hygienis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Beuer, F., Schweiger, J., & Edelhoff, D. (2008). Digital dentistry: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for CAD/CAM generated restorations. British dental journal, 204(9), 505. DOI : 10.1038/sj.bdj.2008.350 

  9. S. J. Jang.(2016)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university students.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7(2), 69-75. DOI : 10.15207/JKCS.2016.7.2.069 

  10. G. U. Kim & J. H. Kim (2015)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the geriatric oral health.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6(6), 9-15. DOI : 10.15207/JKCS.2015.6.6.009 

  11. J. M. Park, E. J. Park, & S. J. Heo. (2014). Suitable scanning procedures for various prosthodontic treatments and the utilization ofintraoral scanner. The J.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52(6), 354-362. 

  12. H. K. Kang, K. A. Jang, S. E. Heo & Y. L. Kim. (2018). Analysis of the Fusion Differences in Dental Hygiene Process Charts Applying Dental Hygiene Process Between School and Dental Clinic.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1), 223-231. DOI :10.15207/JKCS.2018.9.1.223 

  13. H. I. Yoon, S. M. Lee, & E. J. Park. (2016). Comparison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digital and conventional impression for prosthodontic treatment. The J.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54(4), 379-386. DOI :10.4047/jkap.2016.54.4.379 

  14. Christensen GJ. (2008). Will digital impressions eliminate the current problems with conventional impressions. J.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nd the dental cosmos, 139(6), 761-764. DOI : 10.14219/jada.archive.2008.0258 

  15. J. S. Kim. (2014). Comparison of learning curves between two different intraoral scann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C. H. Kwon, M. S. Lee, K. H. Kang & K. H. Kim. (2017). A Convergence Study on the Necessity of General Hospital Workers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6), 45-54. DOI : 10.15207/JKCS.2017.8.6.045 

  17. C. H. Kim, J. Y. Lee & H. O. Lee. (2001). The Effects of the Medical Service by Service Instruction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J. of Dental Hygiene Science, 1(1), 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