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노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in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301 - 308  

김경진 (나사렛대학교 재활스포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노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을 분석하고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색된 전체 177편의 연구 중 본 연구를 위해 선별과정과 필수적인 요소를 갖춘 총 14편의 연구가 선정되었지만, 한 연구 안에 신체활동 효과의 범주가 중복된 경우 개별 연구로 가정하여 총 28개의 효과 크기를 계산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들의 효과 크기와 출간오류 등을 분석하였으며, Hedges'g, funnel plot, forest plot, Egger's regression test, trim-and-fill, fail-safe N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노인에게 신체활동은 효과적이고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기본운동기술, 게임 및 스포츠, 체력운동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장애노인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노인의 심동적 영역은 기본운동기술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가 높았으며, 인지적 영역은 게임 및 스포츠, 정의적 영역은 체력운동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conducted a meta 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14 out of 177 studies, fulfilled the process and requirement, were selected for the Hedges'g, funnel plot, forest plot, Egger's regression test, trim-and-fill, fail-saf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출판오류 분석을 통해 표본의 진실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검증을 통해 표본의 크기 차이, 연구 설계의 차이, 모집단의 차이 등 연구마다 가지는 다른 조건들 속에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메타분석으로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제시하고,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한 객관적 자료 제공과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각 연구는 다른 변인들을 사용하여 소수의 장애노인에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결과 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체 효과를 알아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계량적 검증을 통해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장애노인의 특성에 따라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을 파악하고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크기 및 출간오류 분석을 기반으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연구들을 총체적 및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장애노인 신체활동의 구성 유형과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출판오류 분석을 통해 표본의 진실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연구들을 총체적 및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장애노인 신체활동의 구성 유형과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출판오류 분석을 통해 표본의 진실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검증을 통해 표본의 크기 차이, 연구 설계의 차이, 모집단의 차이 등 연구마다 가지는 다른 조건들 속에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메타분석으로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제시하고,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한 객관적 자료 제공과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연구들을 총체적 및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장애노인 신체활동의 구성 유형과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연구는 다른 변인들을 사용하여 소수의 장애노인에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결과 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체 효과를 알아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객관적 자료를 도출하고자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인구 대비 우리나라의 장애인 비율은?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전체인구의 5% 수준으로 8년 정도 유지하고 있으며, 의학의 발전 등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어 장애노인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를 살펴보면 2000년에는 339만명(7.
장애노인의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주된 이유는? 장애노인의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주된 이유로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이 증가하는 영향이 가장 크다. 또한 사고, 질병 및 신체기능의 약화 등이 장애노인의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3].
장애노인의 복지 서비스 욕구 순위에서 체육활동 보장이 8위로 낮은 순위를 보이는 것이 시사하는 것은? 7%로 8위를 차지해 낮은 순위를 보이고 있다[5]. 이는 장애노인의 건강증진과 질병의 예방을 위해 신체활동 활성화를 교육과 홍보를 통한 인식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linkage.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isability and Health Statistical.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Y. G. Kim. (2014). A Study on the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 with Disability.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3(1), 41-58. 

  4. Y. R. Kim, H. M. Gu & S. S. Cho. (2004).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Physical Activity and Plan for Improving Sport Participation of the Aged.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5(4), 84-9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Survey on Physical Condition of the Disabled.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6. D. H. Kang, H. J. Kim, D. H. Yoon, J. S. Kim & W. Song. (2014). Effects of 12 Weeks High-Speed Elastic Band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and Muscle Strength in Older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4(1), 26-32. 

  7. K. A. Kim & O. S. Kim. (2015). The Effects of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6), 707-717. 

  8. S. J. Kim. (2010). The Effects of Ball Exercise on the Blood Lipid, Stress Hormones and Mental Health among Aged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lderly.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3(4), 105-125. 

  9. S. M. Kim. (2011). A Study on the Change of ADL in the Elderly Disability Women after the Self Rehabilitation Exercise at Bedsid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4), 127-136. 

  10. H. C. Kim & Y. M. Lee. (2017). The Effect of a 12 Week-Yoga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lexibility and Gloom in the visually impaired Elderly.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253-263. 

  11. H. S. Shin. (2011). The Effect of Swiss Ball Exercise on Low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6(2), 119-126. 

  12. T. Y. Sim. (2017). The Effects of Taekwondo Poomsae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in Aged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6(1), 33-45. 

  13. B. J. Oh, B. B. Hwang & S. D. Roh. (2015). Effects Influence of 12 Week-Elastic Band Exercise in Body Composition, Bone Density,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of Disabled Elderly with Brain Les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4(5), 1489-1499. 

  14. B. H. Lee, J. S. Park & N. R. Kim. (2011).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2), 307-328. 

  15. S. A. Lee. (2010). An Effect of Long-Term Park Golf Exercise of the Ag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Stress Hormon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4(2), 23-40. 

  16. S. E. Lee & J. H. Kwon. (2012).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3), 913-922. 

  17. Y. J. Lee & S. M. Kim. (2003).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and ADL of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4), 17-31. 

  18. S. M. Jung. (2012). The Effects of Trunk Exercises on the Balancing Ability of Elderly Hansen's Disease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Dys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of Physical Medicine, 7(1), 77-85. 

  19. J. I. Choi & B. Y. Kim. (2009). Effects of 12 Weeks Aquatic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Muscle Power, Flexibil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Hemiplegia Elderly. Korean Journal of Academy of Kinesiology, 11(3), 85-94. 

  20. Rimmer, J. H. (2005).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in Persons Aging with a Physical Disability.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16(1), 41-56. 

  21. de Vries, N., van Ravensberg, C., Hobbelen, J., Olde Rikkert, M., Staal, J., & Nijhuis-van der Sanden, M. (2012).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Therapy on Mobility, Physical Functioning,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Impaired Mobility, Physical Disability and/or Multi-morbidity: A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11(1), 136-149. 

  22. S. D. Hwang. (2015). Meta-Analysis using R. Seoul : Hakjisa. 

  23. Ulrich, D. A., & Sanford, C. B. (2000).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Examiner's Manual (2nd ed.) Austin, TX: Pro-ed. 

  24. U. S. Kim. (2000). Theory and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oul : Rainbow History. 

  25.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 638-641. 

  2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