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SNA-based Governance Study Trend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35 - 45  

김나랑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최형림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이태헌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변화에 따라 정부의 정책입안 및 실행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는 포괄적이고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동향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2016년 이후 발간된 거버넌스 관련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된 연구 주제는 협력거버넌스와 로컬거버넌스로 크게 분류 되었다. 거버넌스가 가지는 특징에 맞게 네트워크, 참여, 갈등, 신뢰 등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거버넌스의 대상으로는 도시재생과 환경,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융복합 연구를 위해 로컬거버넌스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버넌스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거버넌스 전체 논문이 아닌 키워드가 제공된 일부 학위 연구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 점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 하고, SNA 분석지표와 함께 통계적으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new governance aimed at efficient policy planning and the implementation thereof by the government has been conducted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Nonetheless, governance is comprehensive and encompasses different meanings; it takes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버넌스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연구에서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연구에 실시된 경우가 있으나 SNA 분석이 이용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분야 전반에 대한 연구 내용 및 주제, 연구대상 및 특징, 융복합 주제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SNA를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NA방법론을 활용하여 최근 3년간 거버넌스 분야에서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 주제 및 연구 대상과 융복합 연구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중심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거버넌스 연구의 중심 키워드는 SNA 방법론의 하위지표인 중심성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거버넌스 연구 동향을 알기 위해, SNA를 이용하여 거버넌스 관련 국내 학위논문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28].
  •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참여하는 연구자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2016년 이후 발간된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9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A방법을 기반으로 키워드 간의 관련성을 분석 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및 특징, 주요 주제 분야 및 연구 대상을 알아보고, 융복합 연구에 있어 주요 키워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이는 통치 또는 통제의 개념을 담고 있는 기존의 거버먼트(Government)라는 개념보다 여러 사회구성원들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거버넌스는 ‘공통문제 해결기제로서의 거버넌스’라는 가장 넓은 정의, ‘정부 관련 공통문제 해결 기제로서의 거버넌스’라는 정의, 그리고 ‘신거버넌스’ 또는 ‘네트워크 거버넌스로서의 거버넌스’라는 협의의 의미 등으로 정의된다[3].
거버넌스라는 개념의 도입이 1990년대 이후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거버넌스라는 개념의 도입은 1990년대 이후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통치 또는 통제의 개념을 담고 있는 기존의 거버먼트(Government)라는 개념보다 여러 사회구성원들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거버넌스는 ‘공통문제 해결기제로서의 거버넌스’라는 가장 넓은 정의, ‘정부 관련 공통문제 해결 기제로서의 거버넌스’라는 정의, 그리고 ‘신거버넌스’ 또는 ‘네트워크 거버넌스로서의 거버넌스’라는 협의의 의미 등으로 정의된다[3].
SNA방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SNA방법은 여러 관계로 이루어진 자료로부터 네트워크의 구조를 시각화하고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여, 그 키워드들이 어떤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7]. 기존의 연구와 달리 SNA방법은 각 연구의 핵심 주제를 구조화 하고 다른 논문의 연구주제들과의 관계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식구조 분석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를 활용한 연구동향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공저자 관계 분석 및 저자와 주제의 관계를 파악, 연구 방향 예측 등 연구 분야의 동향을 확인하는데 이용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N. Choi. (2000). A Study of Governance : Government and NGOs Relationships,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2. Y. M. Kim.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 through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 Focused on the Governance Perspective, Proceedings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54-61. 

  3. M. S. Lee. (2002). Conceptualizing Governance: Governance as Social Coordination, Korean Government Review, 36(4), 185-205. 

  4. J, H. Jang & J. H. Hong. (2010). Governance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 Based on a Classification as Government, Market, and Citize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1(3), 103-133. 

  5. M. K. Ra. (2009). Current Issues on Governance Study, Korean Governance Review, 16(3), 91-108. 

  6. SWasserman & K. Faust.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S. S. Lee. (2012). Network Analysis Methods, Nonhyeong, 5-25. 

  8. J. S. Ryu & Y. J .Kim. (2002). A Study on Analysis of Governance Model in Korean Current Government: Focused on Government Vis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27, 163-196. 

  9. S. J. Kim. (2002). Understanding Governance, Daeyoung Culture Publishing. 

  10. J. K. Jung. (2006). A New Understanding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HyeonHyunsa. 

  11. E. Y. Kim. (2011). Local Good Governance: A Research Framework, Korean Political Science, 20(2), 209-234. 

  12. J. M. Bryson, B. C. Crosby & M. M. Stone. (2006).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oss sector collaborations: propositions from the literatur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 44-55. 

  13. M. S. Lee, J. H. Hae & S. J. Yang. (2009). Government's Role in Collaborative Governance: With Emphasis on the Cas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18(4), 145-172. 

  14. K. H. Choi. (2009). Analysis of Governance Network in Daegu Milano project (Textile Industrial Promotion Projec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1(2), 491-520. 

  15. G. D. Seo. (2010). A Study on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Yellow Sea Free Economic Zone-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Governance-,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16. A. Barrat, M. Barthelemy, R. Pastor-Satorras & A. Vespignani. (2004), The architecture of complex weighted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11), 3747-3752. 

  17. G. W. Yang.. (2017). Research Tre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Using SNA-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9(1), 23. 

  18. Y. H. Kim.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3rd ed. Seoul: Pakyoungsa. 

  19. D. W. Son. (2005).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orea: Kun Moon-sa. 

  20. M. C. Yang. (2014). Frames on Migrants Constructed by Korean Media : Focusing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Articles of Korean newspapers (Chosunilbo and The Hankyore),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41, 71-89. 

  21. Y. W. Park & S. Y. Kim. (2017). An Analysis of Arts Management-related Studies"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43, 5-37. 

  22. H. Y. Jung, T. H. Lee & S. G. Hong. (2017). A Copus Analysis of Electronic Petitions For Improving the Responsiveness of Public Services : Forcusing on Busan Petito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1(1), 423-436. 

  23. J. H. Choi, H. S. Kim & N. G. Im. (2011).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echnology Forecast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7(4), 227-240. 

  24. S. D Kim, T. Y. Seong, D. M. Lee & M. H. Lee. (2016). Analysis of Network for Asian Cup Soccer Final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 Based on Centrality Index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205-216. 

  25. H. J. Lee. (2014).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Marketing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Management Review, 43(3), 965-992. 

  26. Y. W. Park & S. Y. Kim. (2017), An Analysis of Arts Management-related Studies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43, 5-37. 

  27. H. Y. Chang & J. G. Heo. (2017). Research Networking in Convergence Relations : A Network Analytic Approach to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49-63. 

  28. J. H. Lee, H. S. Re & H. G. Lee. (2016). Research on Methods for Processing Nonstandard Korean Words on Social Network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1(3), 35-46. 

  29. D. R. Kim, K. S. Kown & S. B. Jung. (2015),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Decision Sciences Institution, 23(1), 111-125. 

  30. Y. H. Kim & Y. J. Kim. (2008). The Structure of Production and Diffusion of Knowledge in Korean Communication Studies, Journal of Korean Communication, 52(1), 117-140. 

  31. J. S. Park & S. G. Hong. (2016). Research of Trends in Busan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Using Text Mining,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1), 1-20. 

  32. L. C. Freeman.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BookSurge, North Charleston, SC. 

  33. K. J. Ku, S. B. Kim & J. H. Ki. (2013). Analysis of Regional Collaborations based on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A Case of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Collaboration Project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7(3), 23-46. 

  34. S. Y. Lee. (2013). A study on community business policy process using a collaborative governance approach. With a focus on the case of Wanju-gun. Journal of Korea Governance, 20(2), 149-168. 

  35. E. J. Park, Y. J. Kim & C. S. Park. (2017). A Comparison of Hospice Care Research Topic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5), 600-612. 

  36. I. W. Lee. (2017). An Exploratory Analysis of Networked Governance: Focusing on the MOU with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Gyeongsangnam-do, Modern society and administration, 27(1), 1-32. 

  37. M. H. Jo & I. S. Kim. (2009). A Empirical Study on Building Coope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Case Study as a Big Deal of Environmental Facilities, Korean Society and Administration Research, 20(2), 215-239. 

  38. C. Ansell & A. Gash.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4), 543-571. 

  39. Raymond E. Miles & Charles C. Snow. (1986). Organizations: New Concepts for New Form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8(3), 62-73. 

  40. J. Y. Lee. (2017). Study on Research Trends in Airline Industr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Journal Articles in Scopu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169-178. 

  41. J. C. Choi. (2018). Big Data Patent Analysi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251-2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