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융합 기반 NCS 홈페이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플렁크 활용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ig Data Convergence-based NCS Homepage : focusing on the Use of Splunk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107 - 116  

박성택 (충북대학교 경영대학) ,  이재덕 (한국산업인력공단) ,  김태웅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CS는 지식, 스킬, 태도 등과 같은 역량 구성요소들을 시스템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레벨의 역량을 키우고 이에 부합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NCS는 또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와 업무현장평가를 위한 스펙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CS 관련 서비스 혁신을 위해 스플렁크라는 빅데이터분석시스템을 도입 운영 중이다. 스플렁크는 사용자가 손쉽게 폭넓은 데이터를 검색, 수집, 조직화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데이터베이스 운영체계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플렁크의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기존에는 불가능하였던 NCS 관련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운영적 인텔리젼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NCS 홈페이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플렁크을 활용한 NCS 관련 서비스 및 축적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 전략과 대시보드 설계 그리고 다양한 통계적 분석기능 및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한 실무적인 차원에서의 활용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key mission is to develop and prompte the us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hich is defined to be the systemization of competencies(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duties at the workplace by the nation for each industrial sector and level. This provides the basis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분석시스템의 구성도, 통계분석을 위한 메뉴별·기능별 구조, 대시보드 화면의 구성도 및 스플렁크 활용을 통한 정책적 기대효과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운영하는 NCS 홈페이지에 대한 빅데이터 도입사례를 간략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NCS 홈페이지를 스플렁크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NCS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 품질을 위해 현재의 NCS 홈페이지를 분석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스플렁크를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 중인 NCS 홈페이지의 빅데이터 분석사례의 기본 틀을 탐색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분석 플랫폼은 스플렁크이며, 10여년전부터 국내외에서 빅데이터 분석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목적은 무엇인가? NCS는 지식, 스킬, 태도 등과 같은 역량 구성요소들을 시스템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레벨의 역량을 키우고 이에 부합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NCS는 또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와 업무현장평가를 위한 스펙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스플렁크는 무엇인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CS 관련 서비스 혁신을 위해 스플렁크라는 빅데이터분석시스템을 도입 운영 중이다. 스플렁크는 사용자가 손쉽게 폭넓은 데이터를 검색, 수집, 조직화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데이터베이스 운영체계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플렁크의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기존에는 불가능하였던 NCS 관련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운영적 인텔리젼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1986년 영국에서 마련된 NOS 직무능력표준사업이 가진 한계점은 무엇인가? 국민들의 일 관련 역량제고를 도모하기 위한 영국정부의 정책적 비전은 의미 있었지만, NOS를 통한 실제적인 성과는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계와 학계의 이론과 실무의 균형화된 커리큘럼을 일 또는 현업위주의 평가 표준으로 대체함으로써 직업교육 및 훈련의 질을 저하시키고, 직무성과의 최저수준에 매달리게 된다는 비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또한 직무능력표준 자체로는 최고등급의 역할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결국 더구나 NOS와 VET 관련 표준을 혁신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지속적으로 존재했으나 정부의 NOS 사업에 대한 지원 중단과 관련 위원회의 사업 중단은 NOS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의 문제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Yealry Employement Trend 2018. 

  2. D. K. Kim & C. B. Kim. (2015). Interactive Evaluation Model for Gab Analysis of NCS Competence Element and Curriculum Using R and Shiny. Journal of KIIT, 13(10), 171-179. 

  3. S. J. Kang & M. A. Jeon. (2015).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NCS-based Job Qualifications, and Jobseekers' Understanding on Them.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5(2), 130-152. 

  4. K. Y. Kim. (2017). A Study on the Suatainable NCS Use and Diffusion Structur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5. S. Lester & J. Religa. (2017). "Competence" and occupational standards: observations from six European countries. Education+Training, 59(2), 201-214. 

  6. H. N. Moon, D. Y. Kim, J. Y. Kim, M. W. Leek & J. H. Hyun. (2016). Trend Analysis of Policy related to NCS System in Major Countries, KRIVET. 

  7. Y. J. Lim & D. M. Son. (2016).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Korea throughou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Education, 41(2), 48-68. 

  8. K. S. Noh, S. T. Park & K. H. Park. (2015).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55-63. 

  9. E. M. Choi, H. J. Lee, O. N. Kim & Y. H. Choi. (2015).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13(7), 229-238. 

  10. H. K. Shin.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tional Competencies Related to Coffee-Related Private Certificates on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tention - Survey For Coffee-Related Industry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21. 

  11. B. L. Perry & G. H. Tor. (2009). Understanding educational transfer: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onceptual frameworks. Prospects, 38(4), 509-526. 

  12. H. D. Kim.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raining Based on NCS and Educational Transfer.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6), 1569-1592. 

  13. S. J. Jeong, M. H. Woo & S. J. Kang. (2016). A Meta-Analysis on the Employment Effect Sizes of Vocational Training Courses Apply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5), 51-74. 

  14. H. C. Song. (2017).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N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51-156. 

  15. S. K. Lee & Y. S. Ra.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n the Operation of Vocational Training Course. Busines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Study, 19(2), 57-80. 

  16. K. I. Ko. (2015). A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69-82. 

  17. M. K. K. Lee, J. D. Lee & S. T. Park. (2018). A Case Study on the Personalized Online Recruitment Services : Focusing on Worldjob+'s Use of Splunk.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241-250. 

  18. J. R. Jung. (2017). Analysis of the competition between SSM's and Small and Medium sized Distributor on System Thinking.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15(2), 37-43. 

  19. J. D. Lee, M. K. K. Rhee & M. R. Kim. (2018). Experiencing with Splunk, a Platform for AnalyzingMachine Data, for Improving Recruitment Support Services in WorldJob+.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201-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