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브랜드이미지 인식과 소비자 행동 연구
A Study on Perceived City Brand Image and Consumer Behavio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145 - 151  

박귀정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  박소영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도시의 매력을 높이는 요소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도시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설계의 접근방식은 행정기관이나 도시정부관련 내부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의 접근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대표적 외부이해관계자인 소비자입장에서 도시브랜드를 파악 설계하는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브랜드의 대표적 이미지를 도출하고, 이를 근거하여 소비자행동을 규명하여 도시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마케팅전략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달성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도적, 안정적, 유희적 이미지의 3가지 도시브랜드 이미지차원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의 도시에 대한 3개의 시나리오를 실험자극물로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가상의 도시에 대한 전반적 도시브랜드태도, 거주의도, 관광의도는 선도적, 안정적, 유희적 이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특정 도시에 대한 제한적 제언의 한계를 벗어나 도시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보편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study on city brand development which is increasingly interested as a means to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the city. the previous research, the design of city brand identity was an application from the internal stakeholder'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metropolitan government. 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특성항목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성항목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대표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실험물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험설계를 통해 도시브랜드 경쟁전략으로 대표 도시브랜드이미지 창출의중요성을 강조하고, 도시브랜드에 대한 인식 그리고 도시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하지만 브랜드 관점에서 특정 도시브랜드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소비자의 인식 속에 호의적이면서 강력한 포지션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포지셔닝을 위해서는 도시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일관된 이미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관련 선행연구에서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도시브랜드이미지 차원을 중심으로 하나의 대표 도시브랜드이미지를 가지는 가상의 도시에 대한 실험연구를 통해 도시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선도적, 안정적, 유희적 도시브랜드이미지는 도시브랜드태도, 거주의도, 관광의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도시브랜드이미지에 따른 소비자의 행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에서 주된 도시브랜드이미지로 제시되는 선도적 이미지, 안정적 이미지, 유희적 이미지에 대해 각각 하나의 대표 이미지만을 가지는 가상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실험자극물 3개를 제작하였다. 각 피험자들은 하나의 도시브랜드 시나리오에만 노출되었으며, 선도적 이미지의 도시브랜드는 137명, 안정적 이미지의 도시브랜드는 94명, 유희적이미지의 도시브랜드에는 94명이 할당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특성항목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성항목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대표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실험물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험설계를 통해 도시브랜드 경쟁전략으로 대표 도시브랜드이미지 창출의중요성을 강조하고, 도시브랜드에 대한 인식 그리고 도시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특정 도시에 대한 제한적 제언을 뛰어넘는 도시브랜드이미지에 대한 보편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도시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과 소비자 행동, 즉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거주의도, 관광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시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제언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 도시브랜드이미지 차원과 측정항목을 도출하기 위해서 Table 1과 같이 도시브랜드이미지측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였다. 표현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도적 이미지, 안정적 이미지, 유희적 이미지를 대표적인 이미지 차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 하지만 이렇게 도시브랜드이미지를 측정하는 것은 특정도시의 어떠한 이미지차원이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석할 수 있어도 어떤 대표적인 이미지의 도시브랜드가 거주지 혹은 관광지로서 매력적인 경쟁력이 있는지는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력한 대표 도시브랜드이미지를 가지는 가상의 도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도시브랜드이미지의 특성 어휘들을 추출하고 본 연구에 맞게 정제하여 대표적인 차원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대표이미지만을 가지는 가상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실험물을 제작하여 시나리오별로 도시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현상은 도시브랜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브랜드로서의 도시는 도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외에도 투자지, 거주지, 관광지 등 다차원적인관점에서 소비자 행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3, 19]. 하지만 투자지에 대한 조사는 아무래도 실제 투자가능성이 있는 이해관계자로 측정대상이 한정되어야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거주의도, 관광의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특정 도시를 접하면서 느낀 수많은 요소들이 상호 결합하여 나타나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믿음과호감 등의 전반적인 평가이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브랜드이미지가 개인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도시정부가 이해관계자들에게 도시를 소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만들지만 도시브랜드이미지는 사람들이 도시에 대해 가지는 신념, 생각, 인상, 호감 등의 인식으로 도시브랜드의아이덴티티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13, 14]. 즉,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도시정부가 주관적이고 능동적으로 창조하여 이해관계자에게 투사하는 것인데 반해, 도시브랜드이미지는 개별 이해관계자가 도시에 접촉한 결과로 마음속에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별로 다르게형성될 수 있다[15]. 따라서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기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이 공통되게 일관된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랜드 이미지는 무엇인가?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갖는 전체적인 인상을 의미하며, 이는 브랜드와 관련된 여러 연상들이 결합되어 형성된다[20].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를 도시에 적용시켜 체계를 정립한 도시브랜드이미지는 도시마케팅 전략의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다[3].
소비자들의 심리적 동조현상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소비자들은 자신의 자아이미지와 일치하는 브랜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거나 그 브랜드와의 관계형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전이하려는 심리적 동조현상을 보인다[6]. 이러한 현상은 도시브랜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브랜드로서의 도시는 도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외에도 투자지, 거주지, 관광지 등 다차원적인관점에서 소비자 행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3, 19]. 하지만 투자지에 대한 조사는 아무래도 실제 투자가능성이 있는 이해관계자로 측정대상이 한정되어야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거주의도, 관광의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G. Kwon & W. S. Choe. (2012). An Empirical Study on Effective Factor of City Brand Identity Formation by City Image Type.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0(4), 15-26. 

  2. S. Y. Park. (2015). The Effects of City Brand Personality on Attitude toward C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26(3), 180-194. 

  3. J. Y. Oh. (2012). The Study on the Dimension of City Brand Image and Consumers'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4(1), 182-217. 

  4. J. L. Nasar. (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Sane Publications, Inc. 

  5. C. J. Yoo, T. G. Hwang & S. H. Lee. (2008).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City characteristic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City Evaluation. Asia Marketing Journal, 10(3), 31-57. 

  6. T. K. Hwang & C. H. Song (2010). A Study of Influence of City-Brand Elements upon City-Brand Personality. Journal of the Korea Regional Economics, 17, 131-152. 

  7. J. H. Kim & H. G. Kim. (2010). The Impact of Culture Resources on City Brand Person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Loyalty in Tourism C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4), 741-752. 

  8. K. S. Lee & J. M. Park. (2012). The Influence of Cultural Heritage City's Brand Personality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commended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27(1), 213-230. 

  9. S. D. Cho & M. H. Kim, (2014). Do Product Types and Brand Personalitie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Self Congruence and Brand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9, 1-21. 

  10. J. L. Aaker, L. S. Fournier & S. A. Brasel. (2004). When Good Brands Do Ba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1), 1-16. 

  11. M. L. Barnett, J. M. Jermier & B. A. Lafferty. (2006). Corporate Reputation: The Definitional Landscape. Corporate Reputation Review, 9, 26-38. 

  12. C. B. Bhattacharya & S. Sen. (2003). Consumer- ompany Identific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nsumers' Relationships with Companies. Journal of Marketing, 67(2), 76-88. 

  13. T. L. Christensen & S. Askegaard. (2001). Corporate Identity and Corporate Image Revisited: A Semiotic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5(3), 292-315. 

  14. M. Omar, R. L. williams & D. Lingelbach. (2009). Global Brand Market-Entry Strategy to Manage Corporate Reputatio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18(3), 177-187. 

  15. H. M. Bae.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16. S. Y. Park. (2016). The Effects of Perceived City Brand Personality on Attitude toward City and Residence Intens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3), 215-226. 

  17. B. Moon & Y. N. Rhee. (2010). Enhancing City Brand Attitude through Brand Pers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2(2), 182-213. 

  18. D. I. Kim & H. S. Kang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partment Brand Image on Occupanc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241-247. 

  19. K. H. Cho & H. S. Bae (2017).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ight meal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n airlin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17-327. 

  20. J. M. Kim (2017). Study on Intention and Attitud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Healthcar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5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