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이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on Body Imag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317 - 324  

정은 (광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라 (한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자아존중감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J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4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5일부터 3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신체상은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신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beta}=.24$, p<.05), 가족건강성(${\beta}=.19$, p<.05), 성별(${\beta}=.16$, p<.05)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17.9%로 확인되었다(F=11.10, p<.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올바른 신체상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을 강화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in adolescents. The subject of study is 140 adolescents in the three middle schools from the J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March 15 to March 29, 2017.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 대상자가 아동, 학령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상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개인의 내적요인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과 환경요인인 가족건강성의 변인 모두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체상에 대해 살펴 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과 신체상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청소년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청소년의 신체상 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신체상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이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가족건강성, 신체상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이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신체상을 확립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과 신체상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청소년의 신체 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신체상의 확립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상이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측면으로 아동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시기이므로 청소년기의 주요 발달과업 중 하나인 올바른 신체상을 확립해 나가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신체상(Body image)은 개인이 마음속에 형성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모습이며, 신체 외모나 기능에 대해 지니고 있는 느낌이나 태도를 의미한다[1]. 청소년기의 신체상은 대인관계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뿐만아니라 정서적인 긴장을 유발시키거나 성격의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고 자아존중감을 낮게 하여 자아상실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2].
청소년의 신체상에 만족할 경우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청소년기의 신체상은 대인관계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뿐만아니라 정서적인 긴장을 유발시키거나 성격의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고 자아존중감을 낮게 하여 자아상실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2]. 청소년의 신체상에 긍정적으로 만족하면,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며 부정적인 요소의 소외감, 비만, 폭식, 우울 등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4]. 반면, 부정인 신체상을 갖는 청소년은 자기를 수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기 존재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고, 또래집단과의 상호작용 수용 및 타인과의 협동심과 이해심이 낮으며,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5].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상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신체상은 성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행연구에서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신체상을 살펴본 Lee와 Kim[31]과 Kim[4]의 연구결과에서도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신의 신체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Kim[4]은 여학생의 경우에 남학생에 비해 성숙이 빨리 이루어지면서 외모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는 상황에서 외모를 강조하는 루키즘(lookism)적인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결과로 설명하였으며, Compitello[32]는 대중매체나 인터넷 등에 날씬하고 감각적인 외모를 갖춘 자신과 비슷한 또래가 등장하면서 이들을 신체적인 표준으로 삼고서 닮아가려는 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설명하였다. 개인의 내적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신체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G. W. Stuart. (1983).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ST Louis: Mosby Company. 

  2. P. N. Park. (2007). A study for the body imag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related on obes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2), 13-21. 

  3. M. H. Hyun, J. M. You & S. H. Lee. (2002). The effects of obesity,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binge eating on depression in middle school girl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3), 565-580. 

  4. K. H. Kim. (2012).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body image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on the alienat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5), 121-134. 

  5. Y. M. Lee & H. Y. Min. (2009). Adolescents' sense of self-worth according to their body image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6(4), 79-94.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https://yhs.cdc.go.kr/new/pages/main.asp 

  7. K. S. Bang, S. M. Chae, J. Y. Kim & H. J. Kang. (2012).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in late school aged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5(1), 33-38. 

  8. Y. S. Seo & Y. L. Son. (2014).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2), 90-97. http://dx.doi.org/10.15205/kschs.2014.2.2.90 

  9. L. A. Ricciardelli, M. P. Mc Cabe, K. E. Holt & J. Finemore. (2003). A biopsychosocial model for understanding body image and body change strategies among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475-495. http://dx.doi.org/10.1016/S0193-3973(03)00070-4 

  10. M. H. Jang & G. J. Lee. (2013). Body image dissatisfaction as a mediator of association between BMI,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t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gen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2), 165-17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165 

  11. J. W. Suh & Y. T. Jung. (2014). Comparison of influences of variables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youth: Personal capability,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265-292. 

  12. Y. J. Yoo. (2001). Health family studies. Seoul: Gyomoon. 

  13. J. H. Kim & Y. J. Lee.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strength promotion program.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6(2), 189-220. 

  14. Y. R. Choi, H. S. Shin & S. J. Lee. (2014). The 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 and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1), 69-80. 

  15. Y. J. Yun, M. S. Lee & C. A. Jun.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2), 113-126. 

  16. M. Rosenberg.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7. D. H. Kwon & Y. H. Oh. (2004).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perceived by adolescent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1), 115-127. 

  18. S. S. Han & K. M. Kim. (2006). Influencing factors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37-44. 

  19. M. R. Jung & E. Jeong. (2017).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body image in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267-275. http://dx.doi.org/10.14400/JDC.2017.15.8.267 

  20. E. J. Eo & Y. J. Yoo. (1995).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45-156. 

  21.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2. B. K. Mendelson & D. R. White. (1982). Relation between body-esteem and self-esteem of obese and normal children. Perceptual and Moter Skills, 54(3), 899-905. 

  23. J. O. Park. (2004). A Study on obesity-related body image, self-esteem and soci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er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4.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s Korea 2015.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35384 

  25. E. Jeong & M. R. Jung. (2017). Convergenc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on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65-373. http://dx.doi.org/10.14400/JDC.2017.15.9.365 

  26. Y. S. Park, U. C. Kim & B. K. Min. (2002). Longitudinal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2), 63-92. 

  27. H. S. Lee. (2013).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self esteem on stress in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1(2), 121-129. 

  28. H. S. Kim & Y. S. Kim. (2010). Path analysis among healthy family relationship,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eenagers-based on the survey of teenagers in Gwangju.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8(3), 155-171. 

  29. E. S. Cho & J. M. Seo. (2010).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mental health st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1), 57-66. 

  30. T. F. Ter Bogt, S. A. Van Dorsselaer, K. Monshouwer, J. E. Engels & R. C, W. A. Vollebergh. (2006).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perception as risk factors fo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9(1), 27-34. 

  31. A. Y. Lee & J. Y. Kim. (2006). Relationships among meaning of life, body image, self-esteem, altruism, and resilience in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7(2), 159-183. 

  32. V. Compitello. (2003). Through the eye of the needle: The emerging adolescent. In M. Kopala & M. A. Keitel(eds.). Handbook of Counseling Women. London: Sage Press. 

  33. J. M. Kim & S. J. Lee. (2010).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factors towards appearance, body mass index and self-esteem on body imag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1-12. 

  34. J. Y. Ha, H. I. Cho & Y. H. So. (2011).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physical attractiveness, self-esteem,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46(1), 843-8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