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수량계 종류별 성능시험 및 불확도 분석
Performance tests and uncertainty analysis of precipitation type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2 no.7, 2018년, pp.935 - 942  

홍성택 (K-water Convergence Institute) ,  박병돈 (K-water Convergence Institute) ,  김종립 (K-water Convergence Institute) ,  정회경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aicha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확한 강수량의 측정은 댐 및 하천의 운영, 농어촌 및 산림녹화, 안전관리 등 사용분야가 광범위하며, 재난재해를 대비하고 강우발생시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수형 강수량계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통합검증시스템에 의한 강수량계 종류별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도형 강수량계는 0.0041 mm, 무게식 강수량계는 0.0045 mm, 표면장력식 강수량계는 0.0039 mm으로 불확도가 산출되었으며, 강수량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불확도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시험을 통하여 강수량계 종류에 따른 기상관측 및 수문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cipitation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dams and rivers, supply of dranking water for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farming and fishing, forest greening, and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prepare for disasters and to obtain economical effects in c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통형,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등 집수형 강수량계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통합검증시스템에 의한 강수량계 종류별 특성시험을 통한 불확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상관측 및 수문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강수량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불확도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시험을 통하여 강수량계 종류에 따른 기상관측 및 수문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수량계란 무엇인가? 강수(水)량은 비, 눈, 안개, 우박 등이 대기로부터 땅에 떨어지는 양을 뜻하고, 강우(雨)량은 순수하게 비만 내린 것을 측정한 양으로 단위는 ㎜를 사용한다. 강수량계는 비 뿐만 아니라 눈을 포함한 고체형태로 지면에 내리는 공기 중 수증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의미한다.
강수량계를 교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강수량계를 교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계량컵에서 쏟아진 물을 우량승(우량측정 실린더)으로 부피를 측정하여 강우량으로 환산하거나 교정된 자동피펫에 물을 담아 강수량계에 천천히 배출시켜 계량컵의 측정횟수와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물로 교정된 실린더나 자동피펫을 사용하는 것으로 실린더나 자동피펫을 교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강수량계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표 1과 같이 강수량 측정방식에 따라 깊이 측정, 무게 측정, 기타 측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측정 원리에 따라 보통형, 전도형, 무게식, 사이펀식, 레이다식, 압전식, 광학식으로 세분화 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Climate technology roadmap," 2016.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2013. 

  3. Current Status of Precipitation System for Meteorological Observator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4. G. W. Shin, S. T. Hong, J. R. Kim, H. H. Lee, I. H. Kim and G. H. Yo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specifications of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rainfall gauge, K-water, 2017. 

  5. S. T. Hong et al, Surface tension type rain gauge and method for measuring a rainfall, KR Patent 10-1736678,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Daejeon, 2017. 

  6. G. W. Shin and S. T. Hong, "Development of Standard Calibration System for the Rain Gauges by Weighting Method",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vol. 12, no. 8, pp. 818-823, August 2006. 

  7. S. T. Hong, I. H. Kim, H. H. Lee and G. W. Shin, "Integrated Verification System for Rainfall Performance test," in Proc. KICS Summer Conf., pp. 17-18, Jeju Island, Korea, June 2017. 

  8. S. T. Hong and G. W. Shin, "Improving efficiency through the hydrological observation equipment performance test center and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11, pp. 2731-2738, Nov. 2015. 

  9. Dong Jo Kim, Deepa Sharma, "Implementation of Decision Based Fruits Protection System Using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Techniques",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HSST, ISSN : 2508-9080, vol.2, no.4, pp. 23-31, Dec. 2016. 

  10. S. T. Hong, G. W. Shin, J. R. Kim, H. H. Lee, I. H. Kim and G. H. Yoo, Development of new measurement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drological data, K-water, 2016. 

  1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Guidelines for the present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KRISS/SP-2010-105. 

  12. ISO 4373:2008(E), Hydrometry - Water level measuring device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8. 

  13. WMO-No. 8,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8. 

  14. ISO/IEC GUIDE 98-3:2008,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GUM:1995), KRISS/SP-2010-105. 

  15. Kwater Insutitute, Accuracy improvement for water level.rain gauge, KIWE-WFERRC-06-07, Kwater, ch 2, pp. 42-53, 2006. 

  16. I. H. Kim, S. T. Hong, G. H. Yoo and J. R. Kim, "Analysis of Performance test results for Weighted Precipitation," in Proc. KICS Summer Conf., pp. 552-553, Jeju Island, Korea, June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