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매증발법을 이용한 Poly-L-Lactic Acid (PLLA) 마이크로스피어 제조
Preparation of Poly-L-Lactic Acid (PLLA) Microspheres by Solvent-Evaporation Method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6 no.4, 2018년, pp.461 - 468  

김태형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  송기창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L-lactic acid (PLLA)를 출발물질로 하여 용매증발법에 의해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고, 제조 변수가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어의 형상 및 평균 입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VA 수용액의 농도가 1~5 wt%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입경이 $370{\sim}160{\mu}m$으로 감소하다가 7 wt%에서다시 $240{\mu}m$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PVA의첨가부피가 10~50 mL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입경은 $370{\sim}220{\mu}m$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교반속도가 500~1,500 rpm으로 증가함에 따라 평균 입경은 $370{\sim}110{\mu}m$으로 감소하였다. 유기용매로써 dichloromethane과 chloroform을 각각 사용한 경우 평균 입경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dichloromethane을 사용한 경우 표면에서 공극이 확인되었으나 chloroform을 사용한 경우 매끈한 형상의 구형입자가 얻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solvent-evaporation method with Poly-L-lactic acid (PLLA) as a starting material, and the effects of preparation variables on microsphere shape and average particle size were investigated. As the concentration of PVA solution increased from 1 to 5 wt%, the average pa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lactic acid (PLLA)는 락틱산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터로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없으며,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분해기간이 길므로 성형용 필러 및 약물전달용 소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8].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LLA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용매증발법에 의해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으며, 이 과정 중 유화제의 농도 및 첨가 부피, 교반속도, 유기용매 종류 등의 제조 변수가 제조된 마이크로스피어의 형상 및 평균 입경 등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스피어는 무엇인가? 마이크로스피어는 보통 1~1,000 µm의 직경을 갖는 구의 형태를 이루는 물질을 말한다[1]. 마이크로스피어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고분자 벽재(wall material)로 사용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기능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는 방법 중 스프레이 건조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용매증발법은 제조공정이 쉬우므로 널리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비점이 낮은 유기용매 내에 고분자를 용해시킨 후, 이를 유화제가 함유된 수성 용액에 유화시키고 교반을 통해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마이크로스피어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말한다[4]. 반면 스프레이 건조법은 에어로졸 형태의 용액을 분사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공정 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5].
마이크로스피어의 장점은 무엇인가? 마이크로스피어의 입자 크기는 교반기의 교반 속도, 유화제의 농도 등의 제조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마이크로스피어의 장점은 내부 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 벽재로 둘러쌓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벽재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 시기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현재 마이크로스피어에 관한 연구는 화장품, 섬유, 의약 분야 등에서 널리 진행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Saralidze, K., Koole, L. H. and Knetsch, M. L., "Polymeric Microspheres for Medical Applicatinos," Materials, 3(6), 3537(2010). 

  2. Sansdrap, P. and Moes, A. J., "Influence of Manufacturing Parameters on the Size Characteristics and the Release Profiles of Nifedipine from Poly (D,L-Lactide-co-Glycolide) Microspher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98(1-3), 157(1993). 

  3. Park, J. K., Lee, D. H., Lee, C. I., Kang, K. C., Pyo, H. B. and Shin, J. S., "Prepar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s Containing Rosmarinic Acid," Adhesion and Interface, 10(1), 11(2009). 

  4. Kwak, S. H., Hwang, S. J. and Lee, B. C.,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Bupivacaine Microspheres by a Solvent Evaporation Method," Yakhak Hoeji, 44(6), 511(2000). 

  5. Bodmeier, R. and Chen, H.,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lactide Microparticles Using a Spray-Drying Techniques," J. Pharm. Pharmacol, 40, 754(1988). 

  6. Brooks, B. W. and Richmond, H. N., "Dynamics of Liquid-Liquid Phase Inversion Using Non-Ionic Surfactants," Colloids and Surfaces, 58(1-2), 131(1991). 

  7. Lee, M. H., Kim, K. J. and Eom, T. J., "Preparation of Emulsion from Biodegradable Polymer (I)-Preparation of PLA and PBS Emulsions," Journal of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44(6), 28(2012). 

  8. Chaiyasat, P., Chaiyasat, A., Teeka, P., Noppalit, S. and Srinorachun, U., "Preparation of Poly(L-Lactide) Microencapsulated Vitamin E," Energy Procedia, 34, 656(2013). 

  9. Park, S. J., Kim, S. H., Lee, J. R., Lee, H. B. and Hong, S. 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Oxide) Microcapsules Containing Erythromycin," Polymer, 27, 449(2003). 

  10. Kemala, T., Budianto, E. and Soegiyono, B.,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pheres Based on Blend of Poly(Lactic Acid) and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with Poly(Vinyl Alcohol) as Emulsifier," Arabian Journal of Chemistry, 5(1), 103(2012). 

  11. Park, S. J. and Seok, S. J., "Release Behaviors of Poly( ${\varepsilon}$ -Caprolactone)/Poly(Ethyleneimine) Microcapsules Containing Fragrant Oil,"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43(4), 482(2005). 

  12. Hong, Y., Gao, C., Shi, Y. and Shen, J., "Preparation of Porous Polylactide Microspheres by Emulsion-Solvent Evaporation Based on Solution Induced Phase Separation," Polymers for Advanced Technologies, 16(8), 622(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