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한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 제조
Fabrication of PLGA/Dextran Double-Layered Microspheres by Oil-in-Water Solvent Evaporation Method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6, 2005년, pp.543 - 548  

고종태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이재호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이창래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신형식 (전북대학교 공업화학과) ,  육순홍 (한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실) ,  강길선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이종문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생체재료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중층 미립구는 단일층 미립구에 비해서 낮은 초기 방출량과 국소 지항성, 및 약물 방출량 제어 등의 장점 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접 방식이 까다롭고 2단계 이상의 제조 과정이 필요하며 특히 미립구 제조 시 크기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와 덱스트란의 서로 다른 고분자를 초고주파 분쇄 유무에 따른 수중유형(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이중층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또한 PLGA의 농도에 따라 미립구 크기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중층 미립구는 전자주사현미경, 동초점 형광 레이저현미경(CFLM), 캠스코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의 외부층이 매끄러운 구형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시 내부층과 외부층의 형태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이에 외부층과 내부층의 구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플루오르신-5-이소시아네이트-덱스트란(FITC-덱스트란)을 이용해 CFLM을 관찰한 결과 형광을 띠는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내부층과 형광을 띠지 않는 PLGA 외부층을 관찰하였다. 또한 PLGA의 함량에 따른 미립구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수중유형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uble-layered spher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drug delivery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 because of the low initial burst compared with single-layered spheres and targetable delivery to specific organ. But it has drawback in loading drug and controlling size. In this study, we d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약물의 서방화를 위해서 전보의 실험에서 사용하였던 W/O/W의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실험단계에 따른 계의 자유에너지 증가로 인하여야기되는 이중층 미립구의 붕괴를 막고자 내부층으로는 다당류인 덱스트란을, 외부층으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PLGA로 이루어진 이중층 미립구를 초고주파 분쇄의 유무에 따른 두 가지 O/W 용 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O/W 용 매 증발법으로 이중층 미립구를 제조하여 절차를 간소화하고 (2) PLGA가 이중층 미립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PLGA의 함량에 따라 덱스트란을 10, 30, 50, 100, 150, 및 300 w/w%로 변화시켜 이중층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의 크기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동초점 레이저형광 현미경(CLFM) 관찰을 통해 제조한 이중층 미립구의 형성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B. Lee, G. Khang, J. C. Cho, J. M. Rhee, and J. S. Lee, 'Fentanyl-loaded PLGA microspheres for long acting anesthesia', in Controlled Drug Delivery : Designing Technologies for the Furture, ACS Symp. Series 752, K. Park and R. J. Mrsny, Editors, ACS, Washington D.C., pp 385-394 (2000) 

  2. G. Khang, J. K. Jeong, J. M. Rhee, H. C. Shin, and H. B. Lee, 'Solid dispersion in polymeric vehicles for bioavailability improvement of a poorly water-soluble drug', in Biomaterials and Drug Delivery toward New Millenium, K. D. Park, I. C. Kwon, N. Yui, S. Y. Jeong, and K. Park, Editors, Han Rim Won, pp 309-320 (2000) 

  3. G. Khang, J. M. Rhee, J. S. Lee, and H. B. Lee, Polym. Sci. Tech., 12, 4 (2001) 

  4. G. Khang, J. K. Jeong, J. S. Lee, J. M. Rhee, and H. B. Lee, Polym. Sci. Tech., 13, 342 (2002) 

  5. H. B. Lee, D. H. Lee, B. K. Kang, S. Y. Jeung,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2, 241 (2002) 

  6. G. Khang, J. M. Rhee, J. K. Jeong, J. S. Lee, M. S. Kim, S. H. Cho, and H. B. Lee, Macromol. Res., 11, 207 (2003) 

  7. J. C. Cho, D. Yun, G. Khang, J. M. Rhee, Y. S. Kim, J. S. Lee, and H. B. Lee, Biomaterials Res., 4, 136 (2000) 

  8. S. C. Shin, I. J. Oh, and I. B. Koh, J. Kor. Pharm. Sci., 20, 193 (1990) 

  9. K. D. Hong, Y. S. Ahn, J. T. Ko, S. H. Yuk, H. S. Shin, J. M. Rh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60 (2005) 

  10. Y. B. Jun, S. I. Kim, and Y. I. Kim, J. Kor. Pharm. Sci., 20, 99 (1990) 

  11. H. S. Kim, S. K. Lee, S. U. Choi, H. S. Park, H. J. Jeon, and Y. W. Choi, J. Kor. Pharm. Sci., 32, 27 (2002) 

  12. S. Freiberg and X. X. Zhu, Inter. J. Pharm., 282, 1 (2004) 

  13. Y. Y. Yang, M. Shi, S. H. Goh, S. M. Moochala, S. Ng, and J. Heller, J. Control. Rel., 88, 201 (2003) 

  14. M. Shi, Y. Y. Yang, C. S. Chaw, S. H. Goh, S. M. Moochala, S. Ng, and J. Heller, J. Control. Rel., 89,167 (2003) 

  15. Y. Y. Yang, T. S. Chung, X. L. Bai, and W. K. Chan, Chem. Eng. Sci., 96, 101 (2004) 

  16. Y. Yeo and K. Park, J. Control. Rel., 100, 379 (2004) 

  17. C. Berkland, E. Pollauf, D. W. Pack, and K. Kim, J. Control. Rel., 96, 101 (2004) 

  18. Y. Y. Yang, H. H. Chia, and T. S. Chung, J. Control. Rel., 69, 81 (2000) 

  19. K. J. Leach and E. Mathiowitz, Biomaterials, 19, 1973 (1998) 

  20. Y. Yoo and S. Lim, Polymer(Korea), 21, 490 (1997) 

  21. K. J. Leach, S. T. Takahashi, and E. Mathiowitz, Biomaterials, 19, 1981 (1998) 

  22. J. C. Cho, G. Khang, H. S. Choi, J. M. Rhee, and H. B. Lee, Polymer(Korea), 24, 728 (2000) 

  23. W. I. Son, D. I. Yun, G. Khang, Y. S. Kim, B. S. Kim, and H. B. Lee, Biomaterials Res., 4, 92 (2000) 

  24. T. Nakamura, S. Hitomi, S. Watanabe, Y. Shimizu, K. Jamshidi, S. H. Hyon, and Y. lkada, J. Biomed. Mater. Res., 23, 1115 (1989) 

  25. S. S. Shah, Y. Cha, and C. G. Pitt, J. Control. Rel., 18, 261 (1992) 

  26. M. K. Yoon and Y. W. Choi, J. Kor. Pharm. Sci., 34, 1 (2004) 

  27. S. H. Kim, B. H. Kim, D. M. Kim, and D. L. Cho, Polymer(Korea), 26, 77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