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질 클레망의 정원관(庭園觀)과 '움직이는 정원'에 대한 연구 - William Robinson의 Wild Garden과의 개념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illes Clement's Garden View and the 'Garden in motion' - Centering on Conceptual Comparison with William Robinson's Wild Garden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2, 2018년, pp.46 - 53  

권진욱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시대에서 요구되는 재생적 환경특성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정원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개념적 바탕과 적용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로빈슨의 자연주의적 가치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클레망의 정원이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며, 클레망의 정원에 구현된 자연주의적 차별특성을 로빈슨의 와일드가든과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클레망에게 있어서 정원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식물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대한 과정의 미학으로 대상지에 정착하여 가는 생태적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움직이는 정원'을 실현한다는 것은 자연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연에 순응하고, 식물들의 종자가 계획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적절한 생육환경을 찾아가도록 허용해야 하는 가능성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둘째, 야생(Wild)에 대한 가치관은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표현특성을 지니는데, 로빈슨의 경우 소규모의 정원으로서 기존 공간에 대한 연화(軟化) 기능을 담당하며 종속적인 특징을 가진다. 반면 클레망의 정원은 공간의 주체로서 거시적 안목에서의 전략이며, 생태적 역할의 중심이 되는 인프라스트럭쳐로서 구체화된 하향식 접근 특성을 가진다. 셋째, 로빈슨과 클레망의 정원에 대한 공간운용 관점은 자연의 자율성과 정원의 야생에 대한 불가분의 관계를 인정하며 자연에 대한 보존이 성립되어질 때 우리가 원하는 삶과 공존할 수 있다는 가치를 전달하며, 그들의 정원은 환경결정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식물이 매체가 된 환경가능론적 논지와 생태학적 입장의 중재로 유추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regenerati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foundations for conceptual grounds and applications in embodying sustainable garden designs demanded in our age. In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have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lement's garde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시대 조경의 계획과 실천의 과제로서 언급되는‘생태적인 정원’, ‘지속가능한 정원’ 등에 대한 맥락과 관계된 정원지형을 바라보기 위한 방법으로 클레망을 고찰하였다. 그러므로 연구의 관점은 로빈슨의 자연주의적 가치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클레망의 정원이론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첫째 목적이며, 나아가 로빈슨 와일드 가든의 특성으로부터 유추 해석하여 클레망의 정원에 구현된 자연주의적 구현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 클레망은 누구인가? 질 클레망(Gilles Clément, 1943-)은 프랑스의 조경가이자, 원예가, 곤충학자이며 소설을 발표한 작가이다. 그의 명성이 국내에 소개된 계기는 프랑스 파리의 앙드레 시트로엥 공원(ParcAndré-Citroën, 1992)의 모습이 소개되면서이다.
와일드 가든에 대한 로빈슨의 주요 개념은? 와일드 가든에 대한 로빈슨의 주요 개념은 정원을 다루는 자세, 공간구성, 관리적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정원은 인간이 관리하고 보살피는 대상이 아닌, 식물 스스로가 원하는 천성대로 성장하기를 허락하는 개념적 모형이며[10], 정원의 구성은 회화적 형태(Picturesque style)를 바탕으로 식물들이 야생의 자연처럼 서로 얽히도록 계획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13]. 이러한 자연에 대한 자세는 정원관리의 개념과도 연계되어 인간의 최소한의 간섭만을 필요로 하는 저비용 정원관리 개념을 도출하였다.
윌리엄 로빈슨의 와일드가든은 어떤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는가? 윌리엄 로빈슨의 와일드가든은 영국의 코티지 가든(Cottage garden)을 기본골격으로 하는데, 산업혁명 이후 사회상의 변화와 빅토리안 시대(1837-1901)로부터 내려온 사치스러움과 과도한 식재에 반대하며[10] 정원을 숲, 바위, 평원 등으로 구성하자는 자연주의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와일드 가든에 대한 실증적 가치는 자연식재로부터 찾을 수 있고, 그 원류가 되었던 자연주의 사상의 시초는 19세기 말 윌리엄 로빈슨으로이해하며, 추진력은 거투르드 제킬(Gertrude Jekyll, 1843-1932)로 대표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lement, G. (1994). Le Jardin en mouvement: De la Vallee au Parc Andre-cittroen. SENS & TONKA. 

  2. Clement. G. (2015). The Planetary Garden and other writing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 Darke, R. (2009). The Wild Garden. Timber Press Inc. 

  4. Clement, G. (1991a). Le Jardin en mouvement. Paris. Pandora. 

  5. Clement, G. (1991b). La Vallee. Paris. Pandora. 

  6. Clement, G. (2007). Le Jardin en mouvement: de la vallee au champ via le parc Andre-Citroen et le jardin planetaire. Paris. Sens et Tonka. 

  7. Rocca, A. (2008). Planetary Gardens: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Gilles Clement. BIRKHAUSER. 

  8. Bisgrove, R. (2008). William Robinson: The Wild Gardener. London: Pavilion Books Ltd. 

  9. Campbell, S. (2009). William Robinson: The Wild Gardener Richard Bisgrove. Garden History. 37(1):125-126. 

  10. Lee, Y. S. (2012).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William Robinson's Wild Garden. Master Thesis. Kyeongnam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1. Park, E. Y. (2013). Emergence of Natural Gardens and Differentiation of Garden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Number 11: 1-9. 

  12. Park, E. Y. and Yoon, S. J. (2013). Inference of the Conceptual Model of Wild Gardens: A Comparative Study of William Robinson and Gertrude Jekyll.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62-69. 

  13. Allan, M. (1982). William Robinson, 1838-1935: father of the English flower garden. Faber and Faber: p. 238-241. 

  14. Clement, G. (2011). Une breve histoire du jardin. Jean-Claude Behar editions. 

  15. Clemen, G. (1985). La friche apprivoisee. Urbanisme, no 209 septembre: p91-95. 

  16. Clement, G. and Jones, L. (2007). Une ecologie humaniste. Aubanel. 

  17. Clement, G. (1999). Le jardin planetaire. Albin Michel. 

  18. Clement, G. (1997b). Les Libres Jardins. Paris, Editions du Chene. 

  19. www.google.co.kr 

  20. Clement, G. (1997a). Identity and Signature. Topos no11. 

  21. Min, B. W. (2012). An Ecological Aesthetic in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38-48. 

  22. Park, E. Y. and Yoo, B. R. (2004). Study on the Method of Gertrude Jekyll's Planting Design.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3): 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