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서술의 표현특성 -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 작품을 대상으로 -
A Characteristics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in Garden Design - Focused on the Taehwagang Garden Show 2018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108 - 118  

권진욱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원박람회에서 정원을 감상한다는 것은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과 함께 조형예술로서 정원의 내면에 숨겨진 작가들의 개념과 아이디어들을 감상하는 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정원에 표출된 조형 매체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된 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에 전시된 정원 중 총 20개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에서 전개되는 시각적 서술의 조형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조형 구조가 조형 매체와 조형 언어를 통하여 내용과 형식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정원에 표현된 서사구조로부터 조형 구조인 시각언어와 공간 언어를 통하여 매체의 표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매체 이미지는 다수의 작품이 '도형적 이미지(figure image)'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즉 개념은 매체를 통하여 '실제 대상의 유사성'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른 '의미와 의미작용'을 기대하는 것이다. 둘째, 정원에서 상징성을 보여주기 위한 기호(sign) 특성은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분하여 추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작품은 '도상'과 '상징'을 통하여 이미지와 의미 사이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조형 원리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들은 '주체적(dominant)'인 역할과 '종속적(subordinate)'인 역할의 요소들이 개념전달을 위한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첩에 의한 공간 구성'과 '투명에 의한 공간 구성'을 통하여 개념적 층위를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매체의 공간 점유유형은 중앙홀형, 통로형, 개실형 등이 주를 이루며, 개실형의 경우 특정한 오브제가 아닌 공간 전체영역을 개념화한 특징을 가진다. 동선의 유형은 순회형, 통과형, 회귀형의 순으로 빈도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정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서술의 표현 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개념의 시각적 연출을 위한 공간설계 기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reciating gardens in garden show has its meaning in appreciating concepts and ideas of artists, hidden inside of garden, as formative arts, as well as the beauty of the nature.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intension of artists in visual expression through formative media in the gardens b...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정원박람회와 관련한 정원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전시정원의 경향을 파악하거나[20] 정원스타일에 대한 유형화 연구[18][19]가 주를 이루었으며,오브제의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예술적 가치를 평가한 연구[17] 등 제한적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를 얻기에는 미흡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작가의 해석과 의도를 바탕으로 도출된 매체의 표현 특성과 공간 연출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정원디자인 분야 연구의 차별성을 가진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주제에 대한 작가의 해석과 의도가 내재한 텍스트로부터 시각적으로 도출된 매체의 표현 특성을 고찰하며, 그 매체들이 연출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정원디자인의 의미와 예술적 가치가 외형의 양식에 집착하기보다 메타언어로서 상호텍스트성을 통하여 의미를 부여하며[7], 상호텍스트성이 반영된 매체는 곧 작품에 대한 소통의 형식이며 해석과 판단을 위한 대상이 되는 이유이다.
  • 비선형적 전달구조의 특성은 작가의 의도와 그에 대한 감상자들의 이해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예술적 의도가 내포된 정원의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형 매체에 대한 능동적 주체로서 감상자들의 역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을 이해하기 위한 능동적 사고와 감상에 대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배경을 가지며, 연구의 목적은 주제에 대한 작가의 해석과 의도가 내재한 텍스트로부터 시각적으로 도출된 매체의 표현 특성을 고찰하며, 그 매체들이 연출된 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보편적 해석의 관점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 여기에서 외연은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사물이나 개체들을 의미하며, 내포는 개념이 어떤 대상에 적용되기 위한 대상이 갖추어야 할 특징들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내포의 의미로부터 외연으로 접근하였는데, 정원의 개념으로부터 내포적 속성을 이해하며 그것을 통하여 외연 즉 개념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각 정원이 표방하는 조형적 상징성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작가의 의도와 개념에 대한 연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간구성’과 ‘형태적 측면’에 한정하여, 각 작품의 개념으로부터 2차원적인 ‘형(shape)’과 3차원적인 ‘형태(form)’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 이것은 정원의 결과물로부터 디자인 논리와 디자인 요소를 통한 개연성을 찾는 것이며, 비시각적 구상으로부터 작품의 제목 그리고 매체를 통하여 시각적인 소통과 교감을 가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원에 표출된 조형 매체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된 표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에 전시된 정원 중 총 20개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에서 전개되는 시각적 서술의 조형 구조를 파악하였다. 조형 구조는 조형언어와 조형 매체를 통하여 내용과 형식으로 전달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에서 매체가 입지하는 단위 전시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연계된 동선 구조를 분석하여 종합하였다. 전시공간의 유형은 매체의 입지 성격에 따라 ‘중앙홀형(central hall type)’, ‘복도형(corridor type)’, ‘통로형(passage type)’, ‘개실형(open space type)’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복도형’과 ‘통로형’에 대한 구별은 전시공간과 동선 간의 직접적인 개연성 유(통로형) 무(복도형)를 통하여 판단하였다.
  • 따라서 공간구조에 대한 분석은 조형 원리에 따른 ‘공간구성과 형태’, ‘매체의 전시 및 동선’ 등을 통하여 개념적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정원에서서사적 구조를 구성하는 매체들의 시각적 표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이란 무엇인가? 정원은 일과는 다른 여가활동의 하나로서 우리에게 문화적 자연의 범례로 의미를 가진다. 현대에 접어들어 정원의 모습은 도시 속에서 공공공간의 개념으로 진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책적으로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개정과 더불어 정원문화 확산과 활성화의 시각이 증대되고 있다[1].
정원박람회가 가지는 목적은 무엇인가? 정원박람회는 정원문화에 대한 확산과 정원산업 부흥 그리고 환경 재생적 측면의 목적을 가지고 개최되며, 그 중 방문객들의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전문가들에 의하여 조성되는 주제 정원의 전시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정원박람회가 산업박람회의 성격을 뛰어넘어 자연을 매체로 한 디자인으로 그 시대상을 반영하는 문화의 단편을 보여주며, 흥미로운 유희적 차원의 다양성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
현대에 정원박람회의 명칭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건 언제인가? 현대에 접어들어 정원의 모습은 도시 속에서 공공공간의 개념으로 진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책적으로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개정과 더불어 정원문화 확산과 활성화의 시각이 증대되고 있다[1]. 우리나라에서 대중들에게 정원을 보급하고 소개하는 주요 역할은 일련의 정원박람회가 담당하였는데, 1997년 고양 세계꽃박람회를 기점으로 2010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에 이르러 ‘정원’ 박람회의 명칭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H. W.(2018). A study 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in the Korea.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 Kwon, J. W.(2009). Visual design Interpretation of Garden on Chaumont garden festiv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 69-80. 

  3. Anzai, S.(2000) (Trans) Kim, Y. G. and Choi, J. H.(2005) Politics of Eden: Aesthetics of garden of Landscape Garden. Seoul: SKKUP. 

  4. Ahn, S. H.(2009).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Art o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 119-134. 

  5. Yoon, M. H.(2011). A Study on the Types of Artworks Analysis and Analysis Methods in the Plastic Arts. Art Education Review. 41(-): 115-147. 

  6. Sur, Y. W.(2016). A Case Study of Characteristics on Types of Visual Narrative. Korea Science & Art Forum. 23(-): 189-201. 

  7. Kim, J. Y.(2011). Imagination in Art and Desig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5(-): 81-99. 

  8. Kim, M. O. and Shim, H. J.(2004). A Symbol and Image of the Plastic Arts: Focused on the Gothic image in Architecture.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5(2): 65-73. 

  9. Park, E., Kwon, J. and Kim, K.(2017). Design of the Yoon Dongju Garden at the Goyang International Flower Festival. Journal of the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1(4): 55-66. 

  10. Shin, H. K.(2007). A Study o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6(5): 30-37. 

  11. Kim, S. O.(2009). Discourse and Linguistic analysi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12. Seo, M. K. and Oh, C. S.(2011). A Study on the Concept Words that Appear in Design Discourses: Focusing on the Design Discourses of Korea Since the 1970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3): 449-458. 

  13. Ko, K. H. and Kim, Y. S.(2008). A Study of intertextuality in space art focus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9(2): 3-13. 

  14. Roland, B.(1973). Le Plaisir de texte. Paris: Seuil. 

  15. Kim, Y. M.(2015). Criticism of Landscape Urbanism: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Discour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87-104. 

  16. Shin, H. K.(2006). Study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Literatures and the plastic art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26(-): 415-442. 

  17. Park, E. Y.(2011). A Study on the Artistry of Objects Presented in Gardens: Focused on the Chelsea Flower Show 2010.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2): 215-223. 

  18. Yum, H. L. and Joo, S. H.(2017).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Garden Styles by Analyzing Garden Expo En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36(-): 39-58. 

  19. Kim, D. K., Jun, H. S., Yoo, T. S. and Wang, K. H.(2019). A Study of symbo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ind of garden space: Focusing on the target area of the artist's garden exhibited at the Seoul Garden Fair in 201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40(-): 97-123. 

  20. Yoon, S, J.(2009). A Tendency on Garden Design of Chelsea Flower Show.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 99-117. 

  21. http://www.ulsantaehwaganggarden.com/index_ko.html 

  22. Swann, C.(1991). Language and Typograph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3. Kwon, J. W. and An, B. C.(2018). The Meaning and Signification of the Lexicon "Landscape" that Appears in Landscape Urbanism: Focused on J. Corner & C. Waldheim's Discourses. Journal of the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2(3): 1-12. 

  24. http://www.doopedia.co.kr 

  25. Song, C. W. and Chun, Y. D.(2012). A Study on Symbolic System of the Form in Semio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18(-): 71-79. 

  26. Kim, J. S. and Yoon, J. E.(2019). A Study on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x Culture Space: Focusing on the Semiotics of Peirce.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1): 108-118. 

  27. Park, H. R.(2003).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 Education. Seoul: Sigongsa. 

  28. Kwon, J. W.(2012). Chaumont garden festival and Garden design. Goyang: Namudosi. 

  29. Park, S. E. and Choi, H. C. (1999).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aju: Mijinsa. 

  30. Choi, J. H.(2008).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f circulation path and visitor's behavior in museum exhibition area.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