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의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유교정치 연구
Study on Confucian Politics about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rough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253 - 261  

문혜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정책학의 이론적 근거를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사례에서 찾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유교 관련 기사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에 근거한 사례분석이며,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모집단 전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분야, 왕조별특징, 분야별주제, 정책변화, 결정요인을 확인했다. 조선의 유교정책은 제도, 조직, 재정, 애민, 예(禮) 다섯 분야이다. 왕조별특징으로 세종, 성종, 영조, 정조를 중심으로 정치적인 맥이 계승되었다. 분야별주제는 전기는 공자 중심의 예(禮)를, 후기는 주자 중심의 제도를, 위기 시 맹자 중심의 재정이 주된 내용이다. 정책변화는 초기 건국, 전기 정비, 중기 위기, 후기 재건, 말기 몰락 시기로 구분되었다. 결정요인은 빈번히 거론된 공자보다 주자나 정자가 큰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한글과 한자를 병기한 사전을 구축하여 해석과 맥락분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유교정치를 서양의 정책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동양의 정책학 구현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ories of public policy in Confucian politics during Chos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five implications. First, the area of Confucian policy of Choson consisted in authority, organization, financial policy, affection for the peopl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정책도구의 관점에서 보면 현대의 정책학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정책도구의 관점에서 조선왕조실록을 분석해 보겠다. 영국의 정치학자 Hood는 현대 국가를 운영하는 도구를 NATO라 하여 IT기술 기반의 정보 (Nodality), 법제도 기반의 권위(Authority), 조세·기금 기반의 재정(Treasure), 인력체제 기반의 조직 (Organization) 네 가지로 보았다[35].
  • 일반적으로 사례분석은 사료의 유형에 따라 자료를 분류 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한다. 이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해 실록에서 유교에 관련된 모든 기사를 분석한다.
  • 셋째 기존의 빅데이터 기술에서 언어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한 가지 언어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실록에 등장한 한글과 한자 사전을 별도로 구축하여 기초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각 문장의 해석과 맥락분석의 정확성을 높인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를 분석하여 현대 정책학의 이론적인 근거를 동양의 역사와 철학에서 찾는 것이다.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정책학의 이론적 근거를 조선 왕조의 유교정치 사례에서 찾는 것이다. 현재 정부인 대한민국은 수립이 된지 100년도 안 되지만, 한반도에서 우리 민족이 국가의 형태 아래 살아온 것은 기원전 2333년 고조선 시대부터이다.
  • org) 평가에 의하면 조선왕조 실록은 세계에서 가장 상세하고 포괄적인 역사 기록물이다. 이 조선왕조실록의 사료자료를 기반으로 조선의 정책결정사례를 분석하여 정책결정의 이론적인 근거를 찾고, 현대 정책학과의 연관성과 학문적인 이치가 이미 동양에 있었음을 찾아보겠다.
  • 조직은 군사, 공무 원 등 인력을 바탕으로 한 정책도구로 고대로부터 전쟁 국가의 중요한 정책도구이다. 이러한 정책도구의 유형에 따라 조선에서는 유교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사례를 분석해 보겠다.
  • 세계사에서 대부분의 고대국가가 종교 등의 비사실적인 행위로 왕권을 강화해왔다. 이에 비하면 오히려 조상에 뿌리를 두고 예(禮)와 악(樂)이라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왕권강화를 추진해온 것이 조선을 오래 존속시켜 온 요인이 되지 않았을까 질문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역사에서 왕조의 존속기간은 어떠한가? 현재 정부인 대한민국은 수립이 된지 100년도 안 되지만, 한반도에서 우리 민족이 국가의 형태 아래 살아온 것은 기원전 2333년 고조선 시대부터이다. 한국의 역사에서 왕조의 존속기간은 신라 993년, 고구려 705년, 조선 518년, 고려 475년 등 세계사에서도 손에 꼽을 만큼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천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우리나라 이지만, 한국의 학계는 정책결정의 이론적 근거를 모두 서양의 학문을 근거로 교육하고 있다[1][2].
삼국시대에 정치사상으로써 유교가 일반화된 것을 볼 수 있는 기록은 무엇인가? 유교가 한국에 전래된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 이미 삼국시대에 정치사상으로써 유교가 일반화된 것을 여러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3-7]. 고구려의 소수림왕은(서기 372년) 태학(太學)을 설치해 귀족자제를 교육하였다. 백제는 오경박사제도가 있었으며 근초고왕(서기 346년 – 374년)은 아직기와 왕인을 통해 논어와 천자문을 일본에 전달하였다. 신라는 통일 이후 6두품 중심의 유교 문화를 기반으로 한 세력이 증가되었다[5]. 818년 신라 말기 현덕왕 10년에는 왕권 강화를 위해 유학 진흥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신라의 사회개혁을 위해 최치원(서기 857년 – 908년 이후)이 시무10조를 작성하기도 하였다[5].
조선왕조실록은 무엇인가?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들의 정무를 472 년간에 걸쳐 기록한 것으로써, 조선역사에서 임금이 변경될 때마다 편찬한 것이다. 실록에 수록된 내용은 정무의 보고와 결정, 왕실의 주요행사 두 가지가 주를 이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08. 

  2.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3. 

  3.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민족사상, 제3권, 제2호, pp.125-165, 2009. 

  4. 김석근, "[훈요십조] 와 [시무 28 조]: 고려 전기(前期) 정치사상에 관한 소묘(素描)," 아세아연구, 제42권, 제1호, pp.337-369, 1999. 

  5. 박재우, "고려의 정치제도와 권력관계," 한국중세사연구, 제31권, pp.195-228, 2011. 

  6. 장일규, "최치원의 유교적 정치이념과 사회개혁안," 한국고대사연구, 제38권, pp.243-280, 2005. 

  7. 부남철, "준비되지 않은 혁명: 조선 건국기 유교와 정치," 동양문화연구, 제25권, pp.63-92, 2016. 

  8. E. M. Cline, "Justice and confucianism," Philosophy Compass, Vol.9, No.3, pp.165-175, 2014. 

  9. F. Fukuyama, "Confucianism and democracy," Journal of Democracy, Vol.6, No.2, pp.20-33, 1995. 

  10. B. He, "Four mode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democracy,"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ol.37, No.1, pp.18-33, 2010. 

  11. S. P. Huntington, "Democracy's third wave," Journal of democracy, Vol.2, No.2, pp.12-34, 1991. 

  12. L. H. Ling and C. Y. Shih, "Confucianism with a liberal face," The Review of politics, Vol.60, No.1, pp.55-82, 1998. 

  13. S. H. Tan, "Democracy in confucianism," Philosophy Compass, Vol.7, No.5, pp.293-303, 2012. 

  14. 金容郁, "朝鮮朝의 儒敎的政治體系이데올로기 硏究," 한국행정학보, 제18권, 제1호, pp.243-263, 1984. 

  15. 朴丙鍊, "韓國의 儒敎的政治倫理," 정신문화연구, 제14권, 제4호, pp.27-41, 1991. 

  16. 양정하, "선진유가 정치사상의 사회정책적 함의," 한국사회정책, 제22권, 제4호, pp.43-71, 2015. 

  17. 오종록, "유교는 고려와 조선의 통치에 어떤 역할을 하였나?," 내일을 여는 역사, 제16권, pp.285-290, 2004. 

  18. 한석태, "한국행정문화의 유교적 전통요소,"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4호, pp.95-111, 2000. 

  19. 우홍준, "조선시대 향약정착의 한 원인으로서의 유교정치사상,"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pp.103-114, 2001. 

  20. 이진경, "정조의 성리학적 이념과 황로정치적 모색," 도교문화연구, 제46권, pp.265-313, 2017. 

  21. 배병삼,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 정치사상연구, 제11권, 제2호, pp.13-39, 2005. 

  22. 박홍규, "유교적 정치가와 성숙한 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보, 제47권, 제4호, pp.29-49, 2013. 

  23. 유정환, "한국문화와 정치,"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4호, pp.45-68, 1996. 

  24. 이주희, "조선초기 인사정책을 통해서 본 군신관계,"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5권, 제2호, pp.223-244, 2006. 

  25. 부남철, "유교적 학자군주 정조의 종교정책," 한국정치학회보, 제37권, 제2호, pp.47-65, 2003. 

  26. 윤대식, "맹자의 왕정에 나타난 사회보장정책,"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4권, 제2호, pp.215-229, 2005. 

  27. 이봉춘, "조선 성종조(成宗朝)의 유교정치와 배불정책(排佛政策)," 불교학보, 제28권, pp.259-290, 1991. 

  28. 김훈식, "朝鮮初期의 정치적 변화와 士林派의 등장," 한국학논집, 제45권, pp.25-54, 2011. 

  29. 배병삼, "전통한국의 '정치'의 의미변화에 대한 연구," 21 세기정치학회보, 제11권, 제2호, pp.47-71, 2001. 

  30. 이영찬, "최근 한국 사회과학계의 유교연구 현황: 1997-2006," 한국학논집, 제37권, pp.319-340, 2008. 

  31. 강문식, "[조선왕조실록] 연구의 현황," 조선시대사학보, 제74권, pp.215-245, 2015. 

  32. 김학용, 김학봉, "조선왕조실록 네트워크의 동적변화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529-537, 2014. 

  33. 정진수, 김학용,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 인명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474-480, 2011. 

  34. 한용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분석," 민족문화연구, 제74권, pp.357-380, 2017. 

  35. Hood, Christopher, The Tools of Government, Mac millan, pp.4-18, 1983. 

  36. Alexander L. George and Andrew Bennett, The Method of Structured, Focused Comparison in Case studies and theory development in the social sciences, MIT Press, 2005. 

  37. V. Wouter Hendrick Atteveldt, Semantic network analysis, BookSurge Publishers, pp.18-23, 2008. 

  38. H. J. Moon and S. K. Kim, "Study on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Gambling related News in Korea,"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22, No.4, pp.438-447, 2017. 

  39. 성백효, 논어집주,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7. 

  40. 윤무학, "중국유학사상: 중국 논리학사에 있어서 공자의 위치," 유교사상연구, 제6권, pp.73-96, 1993. 

  41. M. Douglas and Aaron Wildavsky, Risk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