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Spiritual Mediation and Control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Focused on the Baby Boom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291 - 301  

길태영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류한수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인과관계에서 이들 간 영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는 A시에 거주하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한 베이비 부머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총 50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각 변인 간 가설검증을 위한 매개회귀분석, 영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불안이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 수준에 따라 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삶의 의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을 감소 또는 해소하고, 영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mediating and the control effects of these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baby boomer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or baby boomers born in A City from 1955 to 1963 and used a total of 5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성은 베이비부머에게 있어서 삶의 가치의 재평가, 삶에 대한 만족감과 생활양식을 통한 절대자와의 만남(the infinite), 자아초월의 궁극적인 차원, 각 개인이 삶에서 추구하는 의미의 근원, 삶의 의미와 목적을 제시해주는 핵심적인 요소이다[17-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와 관련성이 있는 요인이며,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20-24]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예측요인인 것으로 밝혀진 영성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은퇴와 노년기 진입을 앞둔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을 다루는 것은 죽음이 삶의 의미에 부여하는 초월성과 가치를 발견하는데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는 것으로[9], 존재로서의 자기실현 및 생애발달을 통한 삶의 의미 증진에 미해결과제를 재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향후 이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풍부한 해석과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은퇴나 사별, 급속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같은 경험으로 인해 삶의 본질적 중요성을 상실할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의미와 관련된 예측요인인 죽음불안과 영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광역시에 거주하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Templer의 죽음불안 척도를 한국판으로 개발한 고효진·최지욱·이홍표[46]의 한국판 죽음불안 척도, 베이비부머에게 적절한 측정도구로 평가되는 Krause[47]의 삶의 의미 척도, 여러 연구에서 중년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적용, 검토된 Ellison[48]의 영적안녕 척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뿐만 아니라 영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모형은 [그림 1][그림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부머란 무엇인가? 베이비부머는 전쟁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한국의 베이비부머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에 걸쳐 태어난 사람들로 2017년 기준 약 713만 명(전체인구의 14.6%)을 차지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에게 영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베이비부머의 안녕과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며 지표인 삶의 의미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이들의 건강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에 따른 삶의 의미의 긍정적 영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영성은 베이비부머에게 있어서 삶의 가치의 재평가, 삶에 대한 만족감과 생활양식을 통한 절대자와의 만남(the infinite), 자아초월의 궁극적인 차원, 각 개인이 삶에서 추구하는 의미의 근원, 삶의 의미와 목적을 제시해주는 핵심적인 요소이다[17-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와 관련성이 있는 요인이며,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20-24]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예측요인인 것으로 밝혀진 영성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이 해소되거나 감소되면 삶의 의미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을 감소 또는 해소시키면 삶의 의미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의미하며, 죽음에 대한 불안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삶의 의미를 유도하여 적극적으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동기가 부여되는 것으로 보고된 한미정·최정윤[48]과 정영미[1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연관성을 다룸으로써 사랑과 관용으로 더욱 성숙되고 내면의 갈등을 최소화시키는 삶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임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독창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3-261, 2013. 

  2. 정숙균, 방희명, "베이비부머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78-187, 2014. 

  3. 길태영, 이진용, "베이비부머의 생산적 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격특성과 행복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4호, pp.103-126, 2017. 

  4. V. E. Frankl, The Will Meaning: Foundation and Applications Logotherapy, New York: The World Publishing Co, 1959. 

  5. N. Mascaro and D. H. Rosen, "The Role of Existential Meaning as a Buffer Against Stres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Vol.46, No.2, pp.168-190, 2006. 

  6. M. F. Steger, P. Frazier, S. Oishi, and M. Kaler,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3, pp.80-93, 2006. 

  7. M. F. Steger, "An Illustration of Issues in Factor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Dimensionality in Psychological Assessment Data,"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86, pp.263-272, 2006. 

  8. K. Cohen and D. Cairns, "Is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Associated with Reduced Subjective Well-Bing? Confirmation and Possible Medi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3, pp.313-331, 2012. 

  9. B. A. Trisel, "Does Death Give Meaning to Life?," Journal of Philosophy of Life, Vol.5, No.2, pp.62-81, 2015. 

  10. H. Rappaport, R. J. Fossler, L. S. Bross, and D. Gilden, "Future Time, Death Anxiety, and Life Purpose Among Older Adults," Death Studies, Vol.17, pp.369-379, 2001. 

  11. 길태영, "베이비부머대상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미래사회복지연구, 제8권, 제1호, pp.69-99, 2017. 

  12. 이상목, 김성연, "삶과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연구," 생명윤리, 제13권, 제2호, pp.1-18, 2012. 

  13. 정영미, "중년여성의 죽음에 대한 인식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 제5권, pp.121-121, 2013. 

  14. W. M. Lamers, "Herman Feifel, the Meaning of Death," Journal of Mortality, Vol.17, No.1, pp.64-78, 2012. 

  15. W. White and P. J. Handal,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ntal Health, Distress,"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22, No.1, pp.13-24, 1991. 

  16. P. T. P. Wong and A. Tomer, "Beyond Terror and Denial: The Positive Psychology of Death Acceptance," Taylor & Francis, Vol.35, No.2, pp.99-106, 2011. 

  17. 박정묘, 심혜숙, "심리기능에 따른 자기효능감, 페르소나, 영성이 중년기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1호, pp.311-328, 2009. 

  18. 여정숙, 김병석, 최희철, "중년기 성인의 영성, 삶의 의미, 상징적 불멸성과 생산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01-120, 2013. 

  19. I. C. O. Arrieira, M. B. Thofehrn, V. M. Milbrath, C. R. G. B. Schwonke, D. H. Cardoso, D. H. Cardoso, and J. C. Fripp, "The Meaning of Spirituality in the Transience of Life," Escola Anna Nery, Vol.21, No.1, pp.1-21, 2017. 

  20. P. T. P. Wong, Viktor Frankl's Meaning Seeking Model and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NY: Springer. 2014. 

  21. 박선영, 권석만,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제31권, pp.741-768, 2012. 

  22.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65-480, 2009. 

  23. R. A. Emmons, Personal Goals, Life Meaning, and Virtue: Wellsprings of a Positive Life, In C. L. M. Keyes & J. Haidt(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pp.105-128),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24. N. Mascaro, D. H. Rosen, and L. C. Morey, "The Development,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Spiritual Meaning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7, No.4, pp.845-860, 2004. 

  25. E. H.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Norton, 1994. 

  26. H. R. Moody, "Baby Boomers: From Great Expectations to a Crisis of Meaning," Generations; San Francisco, Vol.41, No.2, pp.95-100, 2017. 

  27. P. T. P. Wong,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 Psychologie Canadienne, Vol.30, pp.516-525, 1989. 

  28. J. Battista and R. Almond,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Psychiatry, Vol.36, pp.409-427, 1973. 

  29. E. B. MacKinlay, The Spiritual Dimension of Ageing,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1. 

  30. S. 1. Takkinen and I. Ruoppila, "Meaning in Lif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Functioning in Ol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53, No.3, pp.211-231, 2001. 

  31. E. Mackinlay and R. Burns, "Spirituality Promotes better Health Outcomes and Lowers Anxiety about Aging: The Importance of Spiritual Dimensions for Baby Boomers as They Enter Older Adulthood," Journal of Religion, Spirituality & Aging, Vol.29, No.4, pp.248-265, 2017. 

  32. J. Marston, "Meaning in Life: A Spiritual Matter-Projected Changes Post-Retirement for Baby Boomers," Journal of Religion, Spirituality and Aging, Vol.22, No.4, pp.329-342, 2010. 

  33. L, Dadfar, "Religiously, Spirituality and Death Anxiety," Austin Journal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Vol.4, No.1, pp.1-5, 2017. 

  34. M. D. Amenta, "Death Anxiety, Purpose in Life and Duration of Service in Hospice Volunteer," Psychological Reports, Vol.54, pp.975-984, 1984. 

  35. M. Y. Yuksel, G. F. Ferit, and C. Akdag, "Investigation of the Death Anxiety and Meaning in Life Levels among Middle-Aged Adults," Spiritual Psychology and Counseling, Vol.2, pp.165-181, 2017. 

  36. P. Wink, "Religiousness, Spirituality, and Death Anxiety in Late Adulthood. Journal of Religion," Spirituality & Aging, Vol.18, No.2, pp.93-110, 2008. 

  37. D. J. Levinson, "A Conception of Adult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41, pp.3-13, 1986. 

  38.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65-480, 2009. 

  39. V. K. Hui and H. H. Fung, "Mortality Anxiety as a Function of Intrinsic Religiosity and Perceived Purpose in Life," Death Studies, Vol.33, No.1, pp.30-50, 2009. 

  40. D. J. Levinson,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NY: Alfred A. Knopf, 1996. 

  41. R. J. Russac, C. Gatliff, M. Reece, and D. Spottswood, "Death Anxiety across the Adult Years: An Examination of Age and Gender Effects," Death Studies, Vol.31, pp.549-561, 2007. 

  42. E. B. MacKinlay, Spiritual Growth and Care in the Fourth Age of Life,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6. 

  43. M. Y. Yuksel, G. F. Ferit, and C. Akdag, "Investigation of the Death Anxiety and Meaning in Life Levels among Middle-Aged Adults," Spiritual Psychology and Counseling, Vol.2, pp.165-181, 2017. 

  44. 전경숙, 한국 중년의 안녕감: 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단 간 비교,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5. P. Ebersole and S. DePaola, "Meaning in Life Categories of Later Life Couples," Journal of Psychology, Vol.121, pp.185-192, 1987. 

  46. 고효진, 최지욱, 이홍표,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p.315-328, 2006. 

  47. N. Krause, "Meaning in Life and Mortalit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4, No.4, pp.517-527, 2009. 

  48. C. W. Ellison, "Spiritual Well-Being: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Vol.11, Vol.4, pp.330-340, 1983. 

  4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0. 한미정, 최정윤, "삶의 의미수준과 죽음불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67-181, 199. 

  51. M. J. Sigrist,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Journal of Philosophical Papers, Vol.24, pp.83-102, 2015. 

  52. K. Setiya, "The Midlife Crisis," Philosopher's Imprint, Vol.14, No.31, pp.1-18, 2014. 

  53. E. R. Canda and H. J. Canda, "Korean Spiritual Philosophies of Human Service: Current State and Prospects," Social Development Issues, Vol.18, No.3, pp.53-70, 1996. 

  54. M. Gray and J. Fook, "The Quest for a Universal Social Work: Some Issues and Implications," Social Work Education, Vol.23, No.5, pp.625-644, 2004. 

  55. M. V. Joseph, "Religion and Social Work Practice," Social Casework, Vol.60, No.7, pp.443-452, 1988. 

  56. J. W. S. J. Sarah and L. A. King, "Work and the Good Life: How Work Contributes to Meaning in Life,"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37, pp.59-82, 2017. 

  57. M. Holloway, "Spiritual Need and the Core Business of Social Work,"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37, No.2, pp.265-28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