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rends in Quantitative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470 - 483  

이순민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심우찬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나온 양적실증연구논문 최종 36편을 동향분석을 했다. 동향분석은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그리고 연구대상별 일반적 특성의 분석과 더불어 연구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여성 관련 논문의 출처를 분석한 결과, 탈북여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이었다. 둘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1편에 불과하였던 탈북여성 연구는 그 이후 2010년(8편, 22.2%)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 조사(24편, 66.67%), 2차자료분석(7편, 19.44%), 개입평가연구(3편, 8.33%), 구조화된 면접 조사(2편, 5.56%)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된 양적 자료분석 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계적 분석방법(34편, 94.44%)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내용 분석을 통해, 탈북여성 관련 연구에서 중점이 되는 특정 주제를 범주화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탈북여성의 정신건강 및 심리(17편, 47.22%), 탈북여성의 사회적응(5편, 13.89%), 탈북여성의 취업 및 진로(4편, 11.11%), 탈북여성의 건강(4편, 11.11%), 탈북여성의 성(3편, 8.33%), 탈북여성의 실태(3편, 8.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탈북여성 관련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women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ugust 2017,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uri Media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용 분석은 분석논문들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탈북여성 관련 주제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고 하위범주를 설정한 다음,범주들을 명명하였다. 범주화는 연구자들 간의 하위범주 점검과 재조정의 과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를 반복적으로 공유하고 재조정함으로써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탈북여성에 관해 지금까지 누적된 지식을 정리해 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0년부터 2017년 8월까지 탈북여성 관련 국내 양적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 및 탈북여성 관련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본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방법별 그리고 연구의 내용 분석으로 연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 또한 탈북여성 관련 연구들은 탈북여성의 경험이나 관점에 집중하는 질적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나 정책에 반영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 중에서도 양적 연구에 제한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기로 하였는데, 이는 주요 논문검색 database인 Kiss와 DBpia에서 검색된 탈북여성 관련 연구들 중에서 질적 연구(51편)보다 현저히 적은 양적 연구(36편)의 경향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향후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 활동 및 성과를 좀 더 활성화할 수있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탈북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질적연구를 제외하고, 탈북여성들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제시한 양적 연구들만을 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탈북여성 관련 사회복지 실천현장 및 양적 연구에 활용 가능하고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의 동향을살펴보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의 대상은탈북여성 관련 학술지 게재된 실증적 양적 논문들이다.탈북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실증적인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므로, 비실증적인 문헌고찰, 담론,법적 및 정치적 논평이나 분석은 제외하였다.
  • 박정란, 강동완[2]의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으나, 선행연구들의 내용상 주요 특징들을 정리하는 것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에 따른 연구 동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준인 학술지 및 연도별, 일반적인 특성, 방법별로 탈북여성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탈북여성 관련 연구들은 탈북여성의 경험이나 관점에 집중하는 질적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나 정책에 반영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 본 연구는 탈북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질적연구를 제외하고, 탈북여성들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제시한 양적 연구들만을 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탈북여성 관련 사회복지 실천현장 및 양적 연구에 활용 가능하고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탈북여성에 관한 국내 양적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특성, 방법별, 연구 주제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사회복지 분야에서 탈북여성관련 양적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와 발전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북여성은 입국과정 중 어떤 문제를 겪는가? 탈북여성은 입국과정 중 인신매매나 매춘과 같은 인권침해[3]로 인해 입국 후 심리적 외상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기도 하고[4][5], 북에 두고 온 가족이나 친지에 대한 죄책감 및 그리움으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며[6], 정착과정에서의 경제적 차별 문제[7], 정착 후 지속적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8] 등을 경험한다. 이 외에도, 탈북여성은 탈북에서부터 정착까지의 과정에서 여성으로서의 사회적 차별이나 출산 및 육아[9] 등으로 인한 이중 고충을 경험한다.
탈북여성의 수가 많아지면서 무엇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가? 특히 2002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탈북여성의 수는 탈북남성을 뛰어넘은 지 오래다. 그러므로 탈북여성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다학제적 연구는 이미 활성화되어야 할 시기를 놓쳤다고 볼 수 있으며, 젠더중심적인 관점으로 그들의 복지 및 적응 전반에 관한 연구가 지금이라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탈북여성에 초점을 맞춘연구는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이중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여성에 초점을 맞춘연구들은 탈북여성의 입국이 급증하는 2000년에서부터 시작되어, 사회복지학, 여성학, 심리학, 정책학, 보건학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탈북여성의 정신건강, 사회적응, 취업, 신체적 건강, 실태, 성 등에 관하여 세분화되어 다뤄지고 있다. 탈북여성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확대되고 내용 및 학문영역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여성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연구는 박정란, 강동완[2]이 유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atistics/ 

  2. 박정란, 강동완, "탈북여성 결혼의 젠더구조와 문화적응 고찰: 정체성, 경제, 건강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39-63, 2011. 

  3.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통일문제연구, 제56권, pp.147-193, 2011. 

  4. 김태현, 노치영, "북한이탈 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 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8호, pp.1-17, 2003. 

  5. 이새롬, 북한 이탈 여성의 남한 사회 조기 정학 방안, 민주 평화통일 자문회의 여성분과위원회 회의 자료, 2003. 

  6. 장혜경, 김영란, 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1. 

  7. 김엘리, 북한이탈여성주민 생활실태 조사결과 보고서. 북한이탈 여성주민 생활실태 조사결과 발표와 지원 방안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병설 한국여성평화 연구원, 1999. 

  8.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한국사회정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학연구, 제5권, 제2호, pp.119-143, 2009. 

  9. 박정란, 강동완, "탈북여성 결혼의 젠더구조와 문화적응 고찰: 정체성, 경제, 건강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39-63, 2011. 

  10. 이기영, 성향숙,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7권, 제11호, pp.243-271, 2001. 

  11. 박신순, 탈북여성의 가족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북한-중국-한국에서의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 박미석, 이종남, "탈북가족의 남한사회 적응 시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 통일논총, 제17권, pp.3-73, 1999. 

  13. 안연진,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가족문화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장혜경, 김영람, 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1. 

  15. 길태영, "죽음준비교육관련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2호, pp.267-301, 2017. 

  16. 이경현, 이지연, "국내 장애아 상담연구동향 분석: 2002-2012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31-52, 2013. 

  17. J. W. Creswell and C. Plano,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shing, 2011. 

  18. A. Rubin and E. Babbie,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4th Ed.), Belmont, CA: Wadsworth, 2001. 

  19. 김희경,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방어기제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3호, pp.311-329, 2010a. 

  20. 김희경, 오수성,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1호, pp.1-20, 2010. 

  21. 김희경, 전진용, "탈북 여성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정신과 내원군과 정상 대조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9권, 제2호, pp.335-353, 2010. 

  22. 김희경, 최빛내,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1호, pp.195-212, 2011. 

  23. 손영미, 강숙정, 박정열,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유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1호, pp.19-44, 2014. 

  24. 강차연, "재중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0권, 제1호, pp.61-80, 2005. 

  25. 김재엽, 류원정, 김지민, "탈북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46권, pp.85-107, 2014. 

  26.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황현주,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2호, pp.33-56, 2013. 

  27. 김희경,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7권, 제4호, pp.535-558, 2012. 

  28. 이민지, 장혜인, 전진용,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1권, 제3호, pp.459-481, 2016. 

  29. 강숙정, 김은미, 손영미,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37-149, 2016. 

  30. 김승현, 최빛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4호, pp.533-548, 2013. 

  31. 조하나, 최연실,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327-1345, 2013. 

  32. 김희경,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1호, pp.155-173, 2010b. 

  33. 정유진, 최빛내,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BPSI-NKR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1호, pp.47-67, 2017. 

  34. 조영아, 김연희,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제15권, 제3호, pp.509-527, 2010. 

  35. 이인숙, 양윤미,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273-284, 2015. 

  36. 손상희, 정진화, 김정은, 박종옥, "여성 북한이 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45권, 제3호, pp.329-357, 2014. 

  37. 송미영, "결혼이주여성과 북한이탈여성의 멤버십(Membership)에 관한 비교연구-충남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3권, pp.217-247, 2012. 

  38.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제45권, 제1호, pp.191-234, 2006. 

  39. 이순배, 김정훈,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인권과 한국 사회적응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균형발전연구, 제3권, 제2호, pp.21-43, 2012. 

  40. 조화성, "특집 : 변화하는 한국사회와 여성 ; 북한이탈 여성주민의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성원권의 시각을 중심으로," 민족연구, 제45권, pp.91-113, 2011. 

  41. 전연숙, 강혜영, "탈북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남한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4권, 제3호, pp.409-425, 2009. 

  42. 전연숙, 강혜영, "탈북여성의 진로장벽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제11권, 제4호, pp.1483-1500, 2010a. 

  43. 전연숙, 강혜영,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3호, pp.469-487, 2010b. 

  44. 정진화, 손상희, 이주관,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교육훈련과 취업," 통일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267-296, 2013. 

  45. 문가을, 박보라, 이은실, 최규연, 이정재, 이임순, 이준환, "탈북여성 및 결혼이주여성 건강 실태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3-109, 2015. 

  46. 안선영, 류성혁, 김석배, "원저: 기타-일반내과 ; 단일 3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탈북자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제89권, 제1호, pp.54-63, 2015. 

  47. 김현경, 김희숙, 김석주, "북한이탈 여성의 월경규칙성에 따른 외상경험 차이,"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20권, 제1호, pp.43-53, 2016. 

  48. 서성혁, 신승환, 유병욱, "새터민 여성의 건강관련 체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11-321, 2015. 

  49. 김재엽, 김희진, 조영시, "탈북여성의 유홍업소 및 성매매 유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1호, pp.76-113, 2013. 

  50.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0권, 제2호, pp.55-69, 2013. 

  51. 한인영, 구현자, 오선경,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1호, pp.87-102, 2010. 

  52. 김재엽, 류원정, "탈북여성의 아동학대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배우자 폭력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2권, pp.375-399, 2016. 

  53. 문숙재, 김지희, 이명근, "북한 여성들의 탈북동기와 생활실태 -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38권, 제5호, pp.137-152, 2000. 

  54. 전연숙,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실태 분석: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제11권, pp.5-32, 2012. 

  55. 송미영, 류진석, 주소희, 2010년 제 2기 충청남도 지역사회복지계획, 충청남도,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10. 

  56. 김영주, 2009년도 충남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분석,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10. 

  57. 통일부, 남북하나재단,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업무매뉴얼, pp.6-7,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