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로피도그렐 황산수소염 고체분산체의 특성 및 용출률 개선
Characterization and Improved Dissolution Rate of Clopidogrel Solid Dispers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42 no.2, 2018년, pp.275 - 279  

박현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백종선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김다윗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이기원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전하얀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송정은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이순영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  강길선 (전북대학교 BIN융합공학과, 고분자나노공학과, 유기신물질공학과, 고분자융합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허혈성 뇌졸중 및 심근경색 예방에 효과적인 클로피도그렐은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피도그렐 약물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회전증발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PVP K-30을 수용성 담체로 사용하였고, 폴록사머는 계면활성화제로 사용하였다. 클로피도그렐을 포접하는 고체분산체의 물리화학적 분석은 SEM, DSC, XRD, FTIR로 측정하였으며, SEM, DSC, XRD를 통하여 고체분산체가 무정형임을 알 수 있었고, FTIR의 결과로 클로피도그렐과 PVP K-30분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염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고체분산체는 인공위액(pH 1.2)에서 방출을 실험하였으며 HPLC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시판제인 클로피도그렐 황산수소염(이연제약주식회사)과 용출률을 비교한 결과 회전증발을 통한 고체분산체의 용출률이 클로피도그렐 황산수소염(이연제약주식회사)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pidogrel,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is a poorly soluble drug with high crystallinity. In this study, the rotary evaporation method base on the solid dispersion method was used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clopidogrel drug. At this time, PVP K-30 w...

주제어

참고문헌 (25)

  1. CAPRIE Steering Committee, Lancet, 348, 1329 (1996). 

  2. J. S. Hwang, S. H. Kim, S. H. Cho, and K. M. Huh, Polym. Korea, 37, 442 (2013). 

  3. C. Leuner and J. Dressman, Eur. J. Pharm. Biopharm., 50, 47 (2000). 

  4. E. Y. Lee, M. J. Oh, S. Kim, K. Y. Seong, Y. H. Lee, S. J. Kim, H. S. She, D. Lee, and G. Khang, Polym. Korea, 35, 113 (2011). 

  5. G. Khang, S. W. Kim, J. C. Cho, J. M. Rhee, S. C. Yoon,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11, 89 (2001). 

  6. A. Alvarez-Laurena, J. F. Piniella, and E. Carrasco, J. Crystallogr. Spectrosc., 22, 323 (1992). 

  7. D. Horter and J. B. Dressman, Adv. Drug Deliver. Rev., 46, 75 (2001). 

  8. N. Rasenack and B. W. Muller, Pharmaceut. Res., 19, 1894 (2002). 

  9. E. Merisko-Liversidge, G. G. Liversidge, and E. R. Cooper, Eur. J, Pharm. Sci., 18, 113 (2003). 

  10. N. Rasenack, H. Hartenhauer, and B. W. Muller, Int. J. Pharm., 254, 137 (2003). 

  11. D. J. van Drooge, W. L. J. Hinrichs, M. R. Visser, and H. W. Frijlink, Int. J. Pharm., 310, 220 (2006). 

  12. Y. T. Kim, H. J. Park, Y. H. Lee, H. K. Hong, S. Eom, Y. K. Kim, E. Y. Lee, M. G. Choi, J. J. Lee, Y. B. Cho, and G. Khang, Polym. Korea, 33, 596 (2009). 

  13. V. B. Pokharkar, L. P. Mandpe, M. N. Padamwar, A. A. Ambike, K. R. Mahadik, and A. Paradkar, Powder Technol., 167, 20 (2006). 

  14. E. Rodier, H. Lochard, M. Sauceau, J. J. Letourneau, B. Freiss, and J. Fages, Eur. J. Pharm. Sci., 26, 184 (2005). 

  15. T. Vilhelmsen, H. Eliasen, and T. Schaefer, Int. J. Pharm., 303, 132 (2005). 

  16. S. W. Park, J. H. Lee, D. S. Kim, W. Kim, J. H. Park, S. I. Ahn, Y. T. Kim, H. S. Shin,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600 (2008). 

  17. J. S. Park, J. S. Oh, J. M. Oh, Y. T. Kim, J. H. Lee, J. H. Mo, H. B. Lee, and G. Khang, Polym. Korea, 32, 193 (2008). 

  18. H. Agrawal, N. Kaul, A. R. Paradkar, and K. R. Mahadik, Talanta, 61, 581 (2003). 

  19. J. H. Lee, J. W. Yang, J. Y. Park, C. J. Lee, N. K. Jang, J. H. Shin, D. K. Lim, and G. Khang, J. Pharm. Invest., 45, 201 (2015). 

  20. C. J. Lee, S. Y. Kim, H. G. Lee, J. W. Yang, J. Y. Park, S. R. Cha, D. K. Lim, D. W. Lee, and G. Khang, Polym. Korea, 38, 656 (2014). 

  21. C. H. Kim, Y. S. Song, I. N. Choe, D. K. Kim, J. E. Song, N. Tripathy, D. W. Lee, and G. Khang. Inter. J. Tissue Regen., 7, 58 (2016). 

  22. S. Housheh, A. Daoud, S. Trefi, M. Haroun, and M. F. Chehna, IJPSN, 7, 2371 (2014). 

  23. J. K. Lee, K. H. Kim, G. B. Park, M. J. Kim, S. J. Kang, D. W. Lee, and G. Khang, Polym. Korea, 37, 28 (2012). 

  24. Z. Zhang and S. Feng, Biomaterial, 27, 4025 (2006). 

  25. H. Abdelkader, O. Y. Abdalla, and H. Salem, AAPS PharmSciTech., 9, 67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