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김치이용음식 섭취 현황: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Consumption Status of Foods Using Kimchi by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4 no.3, 2018년, pp.319 - 326  

최미경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consumption status of foods containing kimchi by Korean adults using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cipes using kimchi. Methods: The food intake survey (24-hour recall...

주제어

참고문헌 (23)

  1. 최지유, 한규상. 요리레시피의 텍스트 구조해석 - 김치찌개 레시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28, no.2, 191-201.

  2. de Klepper, Maurits. Food Pairing Theory: A European Fad. Gastronomica : the Journal of critical food studies, vol.11, no.4, 55-58.

  3. 하애화, 주세영. 한국 성인의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2012~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2, 125-133.

  4. Jain, Anupam, N K, Rakhi, Bagler, Ganesh. Analysis of Food Pairing in Regional Cuisines of India. PloS one, vol.10, no.10, e0139539-.

  5. Enhancing ethnic food acceptance and reducing perceived risk: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cultural familiarity, and menu fra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47, 85-95.

  6. Jo JS. 2016. History of kimchi industry. Food Sci Ind 49(4): 70-81. 

  7. 김보경, 문은경, 김도연, 김영, 박용순, 이해정, 차연수. 김치 및 김치 유래 유산균의 건강 기능성에 대한 연구 동향 조사.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1-13.

  8. Kim, Eun-Kyung, Ha, Ae-Wha, Choi, Eun-Ok, Ju, Se-Young. Analysis of Kimchi,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trends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10, no.2, 188-197.

  9. 김은경, 박유경, 주세영, 최은옥. 한국성인의 김치 섭취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2010~2012) 자료를 이용하여.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0, no.4, 406-412.

  10. Kim EY, Park YH, Jung LH, Jeon ER. 2010. Perception of kimchi and preference of foods using kimchi in school meals: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 25(3):241-250. 

  11. 김현지, 주세영, 박채린, 박유경. 한국 성인의 김치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상관성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ol.22, no.3, 151-162.

  12. Kim JG. 2006. The development policy of traditional food industry. Food Ind Nutr 11(2):29-40. 

  13. 김성혜, 김미정, 김현주, 송영옥.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 개발 및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2, no.7, 1148-1156.

  14. 김순자,, Bae, Ki-hyung,, Hong, Jin-Young,. A Study 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and Export Reinforcement for Korean Kimchi Industry. 유통경영학회지 =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vol.19, no.3, 27-36.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 knhanes/sub03/sub03_01.do. Accessed February 5, 2018.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KCDC, Cheongwon, Korea. pp 3-11. 

  17. Lee YJ. 2010.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 with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 25(5):487-498. 

  18. 이윤경, 김영남. 경북지역 초.중.고.대학생의 채소류 기호도와 섭취빈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9, no.5, 415-424.

  19. Moon JM, Kim HS. 2010.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bout kimchi and development of kimchi as a menu item for meal service. Korean J Food Cult. 25(5):598-606. 

  20. 박진희, 김순자, 배기형. 김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11, 358-368.

  21.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1):169-182. 

  22.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2(5):545-558. 

  23. 송다영, 박종은, 심재은, 이정은.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 및 식품군의 추이 분석: 1998~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46, no.1, 72-8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