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섭취량을 활용한 우리나라 식이 패턴 분석 - 김치류 및 주류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Dietary Patterns using Food Intake Data - Focusing on Kimchi and Alcoholic Bever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3, 2019년, pp.251 - 262  

김수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최장덕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김신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이준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권유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신춘식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신민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천소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강길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식습관을 분석하고 관리방향을 제안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고, 국내 대표적 식품 분류체계인 식품공전을 반영해서 품목수 839개(세부품목수 1,419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일일 총 식품섭취량은 1,585.77 g/day이고, 그 중 원재료식품은 858.96 g/day(54.2%), 가공식품은 726.81 g/day(45.8%)로 산출되었다. 식품군별 식품섭취량은, 곡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식품섭취량 상위15위 식품군 중 90% 이상의 대상자가 섭취하는 목록으로는 곡류(99.06%), 근채류(95.80%)로 나타났다. 품목별 분석에 의하면 주요 다소비(일일식품섭취량 1%이상 섭취, 158.6 g/day) 및 다빈도(일일평균 국민 25% 이상 섭취, 5,168명)품목은 쌀, 배추김치, 사과, 무, 달걀, 고추, 양파, 밀, 두부, 감자, 오이, 돼지고기로 산출되었다. 섭취빈도 중심의 상위순위 목록은 주로 한식양념 재료들이 포함되었다. 김치류는 배추김치(64.89 g/day)의 섭취량 비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류의 경우 섭취량 및 섭취빈도 모두 상위 5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세부적인 섭취량은 맥주(63.53 g/day), 소주(39.11 g/day), 막걸리(19.70 g/day) 순으로 높았고, 섭취빈도는 소주(11.3%), 맥주(7.2%), 청주(6.6%)순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2010년부터 2015년도 식품섭취량 추이에서 곡류는 꾸준하게 감소하고, 음료류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였다. 주류의 섭취빈도에서는 일부 종류인 막걸리, 와인, 청주, 복분자주에서 년도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김치류도 감소하는 추세였다. 식품 섭취패턴은 체내노출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식품섭취량이 높은 식품과 섭취빈도가 높은 식품 모두 관리가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에 적합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식품 섭취로 인한 유해오염물질의 노출량 관리를 위해서 다소비 식품은 섭취용량과 관련이 높으므로 식품의 오염도 관리 중심으로 다빈도 식품은 섭취기간과 관련이 높으므로 섭취시 장기노출로 인한 체내축적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을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Korean dietary habits with food intak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we proposed a set of management guidelines for future Korean dietary habits. A total of 839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식습관을 분석하고 관리방향을 제안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고, 국내 대표적 식품 분류체계인 식품공전을 반영해서 품목수 839개(세부품목수 1,419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에서 NHNSJ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독일에서는 NEMONIT (German National Nutrition Monitoring)을 통해 영양 및 식품섭취,건강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7). 일본은 NHNSJ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apan)에서 식품섭취량, 영양섭취량 및 건강 조사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8). 미국의 NHANES에서도 마찬가지로 식품섭취량 및 기타 자료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9).
국내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가 실시되고 있는데 매년 몇 개의 지역을 조사하는가? 국내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가 국민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증진법”에 의거하여 1998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매년 192개 지역의 23가구를 확률표본으로 추출하여 만 1세 이상 가구원 약 1만명을 조사하고, 조사분야는 크게 검진조사,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로 분류된다. 이처럼 국내에서도 오랜 기간동안 체계적으로 국민 식이습관검토를 위한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식습관의 전반적 검토로부터, 일부 한국인의 특징적 식품섭취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3년에서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FAO/WHO에서 제시한 인체노출평가의 방법론은 무엇인가? 위해평가는 위험성확인, 위험성결정, 노출평가, 위해도결정의 과정으로 구체화하여 수행되며3), 평가의 과정 중 노출평가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식품섭취량 결과이다. 또한 FAO/WHO에서 제시한 인체노출평가(dietary exposure assessment)의 방법론에 의하면, 오염물질의 농도, 대상식품의 섭취량, 노출대상자의 체중을 통해 노출량을 산출한다4). Jang 등5)의 연구에 의하면, 채소류는 농약을 사용해서 재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섭취에 따른 잔류농약의 노출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섭취량 결과를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rimes, C.A., Szymlek-Gay, E.A., Nicklas, T.A.: Beverage Consumption among U.S. Children Aged 0.24 Month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Nutrients, 9, 264 (2017); doi:10.3390/nu9030264 

  2. Kathy, M., Shafagh, F., Marianne O'Shea. et al.: Assessment of Intakes and Patterns of Cooked Oatmeal Consumption in the U.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Nutrients, 8, 503 (2016); doi:10.3390/nu8080503 

  3.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Statement of Principle Relating to the Role of Food Safety Risk Assessment. 2007 

  4. FAO/WHO (1997) Food consump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Report of a FAO/WHO consultation. 

  5. Jang, M.R., Moon, H.K., Kim, T.R. et al.: Dietary Exposure Assessment by Ages due to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Kor. j. pesti. sci., 2012.16.1.021 

  6. Daniela, M., Wolfgang, M., Michael, P. et al.: Dietary exposure to non-dioxin-like PCBs of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Austria. Chemosphere, 126, 53-59 (2015) 

  7. Maria, G., Carolin, K., Thorsten, H. et al.: Trends in food consumption and nutrient intake in Germany between 2006 and 2012: results of the German National Nutrition Monitoring(NEMONIT). Br. J. Nutri., 115, 1498.1507 (2016) 

  8.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2014)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Japan, 2012 

  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yattsville, MD, USA, Available online: https://wwwn.cdc.gov/nchs/nhanes/Default.aspx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Code, 3(2016-153) (2017)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Food intake calculation and Pollution monitoring. 2018 

  12.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Guidelines for using raw materials (KNHANES VII-1), 20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Park, B.J., Gil, K.H., Son, K.A., et al.: Acute and chronic exposure assessment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through the consumption of fruit vegetables. Kor. J. Pesti. Sci., 18(2), 06, 95-103 (2014). 

  14. Tomoaki, T., Rieko, M., Toshihiko, Y. et al.: Dietary intake of dioxins in Japan in 2016 with time trends since 1998. Food Add. & Contam.: Part A, 35(8), 1553-1564 (2018) 

  15. Bui, T., Le, D., Do, H. et al.: Dietary exposure to aflatoxin B1, ochratoxin A and fuminisins of adults in Lao Cai province, Viet Nam: A total dietary study approach. Food Chem. Toxicol. 98, 127e133 (2016) 

  16. Yu, X., Abler, D.: Matching food with mouths, A statistical explanation to the abnormal decline of per capita food consumption in rural China. Food Policy 63, 36-43 (2016) 

  17. Kaur, N., Sangha. J.K.,: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t Risk Coronary Heart Patients. J. Human Ecol., 19(2), 125-130 (2006) 

  18. Libuda, L., Alexy, U., Kersting, M. et al.: Time trends in dietary fat intake in a sample of German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2000 and 2010: not quantity, but quality is the issue. Br. J. Nutri., 111, 141-150 (2014). 

  19. Rose, M., Baxter, M., Brereton, N. et al.: Dietary exposure to metals and other elements in the 2006 UK Total Diet Study and some trends over the last 30 years. Food Addi. Contam., 27(10), 1380-1404 (2010). 

  20. Sandrine, L., Carine, D., Ariane, D., et al.: Trends in food intake in French children from 1999 to 2007: results from the INCA (etude Individuelle Nationale des Consommations Alimentaires) dietary surveys. Br. J. Nutri., 103, 585-601. (2010). 

  21. Ginevra L., Altero, A., Marsilio, C. et al.: Total-diet study:dietary intakes of macro elements and trace elements in Italy. Br. J. Nutri., 90, 1117-1121 (2003). 

  22. Dagrun, E., Dag, H., Lena, M. et al.: Dietary patterns and whole grain cereals in the Scandinavian countrie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e HELGA project. Public Health Nutrition: 18(5), 905-915 (2014). 

  23. Avegliano, R., Maihara, V., Silva, F. et al.: A Brazilian Total Diet Study: Evaluation of essential elements. J. Food Composit. and Analysis 24, 1009-1016 (2011). 

  24. Ociel, M., Jose, M., Macarena, A. et al.: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cadmium, lead, mercury, and arsenic by the population of Santiago (Chile) using a Total Diet Study. Food Chem. Toxicol., 43 1647-1655 (2005). 

  25. Kim, J.S., Ahn, S.H., Son, S.M.: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Intake of White Rice and Kimchi in Korean Adults: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Kor. J. Commun. Nutr., 23(6), 525-537 (2018) 

  26. Pedro, M., Eirini, R., Fred, P. et al.: Dietary Intake according to Gender and Education: A Twenty-Year Trend in a Swiss Adult Population. Nutrients 2015, 7, 9558.9572;doi:10.3390/nu71154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