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시행된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IPITAL 원문보기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v.14 no.1, 2018년, pp.1 - 6  

이형직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조안나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 ,  김은정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김지연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 anesthesia is an effective behavior management method for disabled patients or uncooperative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coop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analyze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Pusan National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 치과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전신마취 하에 치과치료를 하게 된 환자들의 성별, 연령, 전신마취를 선택하게 된 이유, 치료 내용, 기관 내 삽관 방법 및 전신마취 약물, 마취시간 및 치료시간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장애아동 및 소아, 청소년의 치과치료에 대한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별한 행동조절법은 누구에게 필요한가? 치과 치료에서 행동조절방법은 심리적 방법, 신체적 억제법, 약물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요법, 그리고 전신마취 등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통상적인 행동조절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 치료가 어려운 장애인, 치과적 공포가 심한 환자,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한 어린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특별한 행동조절법이 요구된다. 과거에는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임시적인 응급치료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신체속박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최후의 수단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치과 치료에서 행동조절방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치과 치료에서 행동조절방법은 심리적 방법, 신체적 억제법, 약물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요법, 그리고 전신마취 등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통상적인 행동조절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방법만으로 치료가 어려운 장애인, 치과적 공포가 심한 환자,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한 어린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특별한 행동조절법이 요구된다.
치과 치료에서 전신마취는 어떤 태도를 유도할 수 있는가? 전신마취는 환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치과치료를 진행하기 때문에 환자의 협조도와 상관없이 양질의 치과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환자에게 필요한 모든 치료를 한번에 시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치료가 진행되기 때문에 치과적 공포를 유발하지 않게 되어 향후의 치과치료에서 긍정적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 Nelson 등3)에 의하면 전신마취는 환자의 발달 중인 심리상태를 보호하고 장기간에 걸친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방향으로 치과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eaver JM : Special considerations concerning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handicapped patients. Anesthesia progress, 42:93-94, 1995. 

  2. Grimes CE, Bowman KG, Dodgion CM, Lavy CB :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surgical care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World J Surg, 35:941-950, 2011. 

  3. Nelson T : The continuum of behavior guidance. Dent Clin North Am, 57:129-143, 2013. 

  4. Messieha Z : Risks of general anesthesia for the special needs dental patient. Spec Care Dentist, 29:21-25, 2009. 

  5. Pirwitz B, Schlender M, Enders A, Knauer O : Risks and complications anesthesia with intub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Rev Stomatol Chir Maxillofac, 98:387-389, 1998. 

  6. Dougherty N : The dental patient with special needs: a review of indications for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Spec Care Dentist, 29:17-20, 2009. 

  7. Glassman P, Caputo A, Romer M, et al. : Special Care Dentistry Association consensus statement on sedation, anesthesia, and alternative techniques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Spec Care Dentist, 29:2-8, 2009. 

  8. Hulland S, Sigal MJ : Hospital-based dental ca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study of patient selection criteria. Spec Care Dentist, 20:131-138, 2000. 

  9. Seo KS : General anesthesia and deep sedation for the special need dental patients. J Korean Assoc Dis Oral Health, 6:77-83, 2010. 

  10. Kim MS, Seo KS, Chang J, et al. : Analysis of telephone follow-up data of out-patient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disability patients. J Korean Dent Soc Anesthesiol, 12:93-97, 2012. 

  11. Kum JE, Noh HS, Kim JM, Jeong TS : A survey of general anesthesia in pediatric dental clinic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Dis Oral Health, 3:11-16, 2007. 

  12. Kim HN, Baik BJ, Yang YM, et al. : A survey of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3:317-322, 2006. 

  13. Lee KH, Jung YJ : A statistical study of the dental treatment of handicapped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303-312, 1992. 

  14. Lee JH, Son HK, Kim JH : A study on the treatment of dentally handicapped patients under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24:581-589, 1997. 

  15. Lee DW, Song JS, Lee JH, et al. : A survey of dental treatment under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clinic for disabled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65-72, 2010. 

  16. Mirakhur RK : Induction characteristics of propofol in children: comparison with thiopentone. Anaesthesia, 43:593-598, 1988. 

  17. Taylor RH, Lerman J : Induction, maintenance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of desflurane in infants and children. Can J Anaesth, 39:6-13, 1992. 

  18. Amin MS, Harrison RL, Weinstein P : A qualitative look at parents’ experience of their child’s dental general anaesthesia. Int J Paediatr Dent, 16:309-319, 2006. 

  19. Anderson HK, Drummond BK, Thomson WM : Changes in aspects of children’s ora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aesthesia. Int J Paediatr Dent, 14:317-325, 2004. 

  20. Klaassen MA, Veerkamp JS, Hoogstraten J : Young children'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ntal fear after treatment under general anaesthes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Oral Sci, 117:273-278, 2009. 

  21. Thomson WM, Malden PE : Assessing change in the family impact of caries in young children after treatment under general anaesthesia. Acta Odontol Scand, 69:257-262, 2011. 

  22. Peerbhay FBM : Compliance with preventive care following dental treatment of children under general anaesthesia. SADJ, 64:442-445, 2009. 

  23. Kum JE, Lee SJ, Jeong TS, et al. : Critical Pathway on general anesthesia for disabled children. J Korean Dis Oral Health, 3:80-8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