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수계 죽산보의 식물플랑크톤과 이화학적 변화
The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Water Quality in the Juksan Weir of the Yeongsan River Watershe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4, 2018년, pp.591 - 600  

손미선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정현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박창희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박종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임채홍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김경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 4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영산강 본류에 위치해 있는 죽산보의 상, 하류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기간 동안에 두 지점 모두 평균 수온은 $17.3^{\circ}C$로 기록되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약 $16.3^{\circ}C$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 $17^{\circ}C$로 약 $0.7^{\circ}C$ 상승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총 288 분류군으로 남조류 17 분류군, 규조류 74 분류군, 녹조류 154 분류군 및 기타조류 1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두 지점의 개체군 밀도는 $500{\sim}29,95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으며, Y1지점은 $850{\sim}29,725cells{\cdot}mL^{-1}$, Y2지점은 $500{\sim}29,95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두 지점의 평균 개체군 밀도는 Y1지점이 $8,180cells{\cdot}mL^{-1}$, Y2지점이 $7,530cells{\cdot}mL^{-1}$으로 상류지점의 평균 밀도가 더 높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규조류인 Stephanodiscus속, Aulacoseira속이 높게 나타났으며, Stephanodiscus의 우점 빈도는 59%였고, Aulaocseira 속의 우점빈도는 22%였다. 남조류의 전체속의 우점빈도는 17%였고, Y1지점이 19%로 Y2지점보다 2% 높게 나타났다. 그 중에 Microcystis속의 우점 빈도가 6%였고, Y1지점이 7%로 하류인 Y2지점보다 2%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1지점의 현존량 비율은 규조류가 전체의 52%, 녹조류가 24%, 남조류가 21%였고, Y2지점은 규조류 65%, 녹조류 18%, 남조류 13%로 상류 지점인 Y1지점의 남조류 현존량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현상 및 수질요인들과의 변화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영산강 죽산보의 특성에 대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후 수생태계 변화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phytoplankton and long-term water quality of Juksan-Weir in Yeongsan River that took place between April 2010 and December 2015. The number of species used in this study was 288, which consisted of 6% of Cyanophyta, 26% of Bacillariophy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Y1지점의 현존량 비율은 규조류가 전체의 52%, 녹조류가 24%, 남조류가 21%였고, Y2지점은 규조류 65%, 녹조류 18%, 남조류 13%로 상류 지점인 Y1지점의 남조류 현존량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현상 및 수질요인들과의 변화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영산강 죽산보의 특성에 대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후 수생태계 변화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수계에 위치한 죽산보 2개 지점 에서 2010년 4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유기물량 및 이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계절에 따른 출현 종수, 개체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후 수생태계 변화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 수계는 무엇인가? 영산강 수계는 국내 대형 4대강 중에 하나이며, 총 유역면 적이 약 3,467 km2, 본류의 유로 연장이 129.5 km로, 담양과 광주, 나주를 거쳐 서해로 흘러들어가는 우리나라 주요 강들중 4번째로 큰 강이다 (HRFCO 2013). 영산강 상류에는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나주댐 등 4개의 다목적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Shin et al.
영산강 상류에는 무엇이 건설되어 있는가? 5 km로, 담양과 광주, 나주를 거쳐 서해로 흘러들어가는 우리나라 주요 강들중 4번째로 큰 강이다 (HRFCO 2013). 영산강 상류에는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나주댐 등 4개의 다목적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Shin et al. 2015), 용추봉에서 발원하여 오례강 및 황룡 강과 합류한다.
영산강 본류에 위치해 있는 죽산보의 상, 하류의 수질의 온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2010년 4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영산강 본류에 위치해 있는 죽산보의 상, 하류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기간 동안에 두지점 모두 평균 수온은 17.3°C로 기록되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약 16.3°C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 17°C로 약 0.7°C 상승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총 288 분류군으로 남조류 17 분류군, 규조류 74 분류군, 녹조류 154 분류군 및 기타조류 15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10.3354/ame030263 BergGM , M Balode, I Purina, S Bekere, C Bechemin and SY Maestrini. 2003. 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in relation to availability and uptake of oxidized and reduced nitrogen . Aquat. Microb. Ecol.30:263-274. 

  2. ChoiMK , BH Kim and KC Choi. 1995. Freshwater algae in the upstream of the Yongsan River System (1) - on the drinking water supplying area of Kwangju Districts - . Korean J. Sanitation10:45-65. 

  3. 10.11614/KSL.2016.49.4.375 HanSR , K Cho, JH Yoon, JJ Lee, SA Yoo, IC Choi, HJ Joo, SU Cheon and BJ Lim. 2016.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midstream of Geum River on 2014 and 2015 . Korean J. Ecol. Environ.49:375-384. 

  4. HRFCO. 2013.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5. 10.11614/KSL.2014.47.4.273 JeongB , Y Kim, SW Jung, H Lee and Y Shin. 2014. Temporal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Centric Diatom, Stephanodiscus spp. during winter-spring blooms in the YeongsanRiver . Korean J. Ecol. Environ.47:273-281. 

  6. JeongEJ , JE Na, GM Kim, SS Shim and HY Lee. 2010.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 Yongsan River, Korea . Korean J. Environ. Biol.28:56-63. 

  7. 10.1080/02705060.2011.553927 JungSW , HM Joo, YO Kim, JH Lee and MS Han. 2011. Effects of temperature and nutrient depletion and reintroduction on growth of Stephanodiscus hantzschii (Bacillariophyceae): implication for the blooming mechanism . J. Freshw. Ecol.26:115-121. 

  8. KangSA and KG An. 2006. Spatio-temporal variatio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 Riverwatershed . Korean J. Limnol.39:73-84. 

  9. KimGY and JI Choi. 1988.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n Lake Yongsan . Algae3:183-192. 

  10. 10.4490/ALGAE.2003.18.3.207 KimYJ . 2003.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Youngsan River . Algae18:207-215. 

  11. KoDG , JW Choi, BJ Lim, JH Park and KG An. 2012. Fish distribution, compositions and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s during Juksan-Weir construc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 Korean J. Ecol. Environ.26:892-901. 

  12. K-water. 2012. Development of methods for optimal algae control reflecting the algae growth characteristics of weirs in four major rivers.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ME. 2017. Standard method for water and wastewater.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3. 10.14249/eia.2015.24.3.278 NohS , Y Shin, H Choi, J Lee, J Lee and D Rhew. 2015.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 J. Environ. Impact Assess.24:278-286. 

  14. 10.5322/JESI.2014.23.8.1513 ParkCS and KG An. 2014. Fish passage assessments in the fishway of Juksan Weir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area of Youngsan River watershed . J. Environ. Sci. Int.23:1513-1522. 

  15. ParkCS , JW Choi, JH Lee, BJ Lim, JH Park and KG An. 2013. Fish composition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 of Seungchon Weir . J. Korean Soc. Water Environ.29:196-203. 

  16. ParmerM. 1962. Algae in water supplies: an illustrated manual on the identification, significance, and control of algae in water supplie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Division of water supply and pollution control. 

  17. 10.15681/KSWE.2016.32.1.52 RyuHS , HK Park, HJ Lee, RY Shin and SU Cheon. 2016. Occurrence and succession pattern of cyanobacteria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actors influencing Aphanizomenon Bloom . J. Korean Soc. Water Environ.32: 52-59. 

  18. SeoKA , JE Na, HS Ryu and K Kim. 2018. Characteristics of nitro-nutrients and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eongsan River after weir construction . J. Korean Soc. Water Environ.34:424-431. 

  19. 10.11614/KSL.2016.49.4.320 ShinJK , BK Kang and SJ Hwang. 2016. Limnological study on spring-bloom of a green algae, Eudorina elegans and weirwater pulsed-flows in the midstream (Seungchon weir pool) of the Yeongsan River, Korea . Korean J. Ecol. Environ.49: 320-333. 

  20. 10.11614/KSL.2015.48.4.238 ShinY , H Yu, H Lee, D Lee and G Park. 2015. The change in patterns and conditions of algal blooms resulting from construction of weirs in the Youngsan River: long-term data analysis . Korean J. Ecol. Environ.48:238-252. 

  21. 10.11626/KJEB.2013.31.2.105 SonM , JH Park, C Lim, S Kim and BJ Lim. 2013.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Yeongsan River watershed . Korean J. Environ. Biol.31: 105-112. 

  22. SongE , S Jeon, E Lee, D Park and Y Shin. 2012. Long-term trend analysis of chlorophyll-a and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 River . Korean J. Limnol.45:302-313. 

  23. 10.1016/j.jher.2010.06.003 WooH. 2010. Trends of ecological river engineering in Korea. J. Hydro- Environ. Res.4:269-278. 

  24. WuiIS . 1974. The biological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evels on the benthos fauna of the Yeong-san River . Korean J. Ecol. Environ.7:29-43. 

  25. 10.11614/KSL.2014.47.4.247 YuJJ , HJ Lee, KL Lee, HS Lyu, JW Whang, LY Shin and SU Chen. 2014.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 Korean J. Ecol. Environ.47:547-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