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자성 활성탄을 이용한 2,4-디클로로페놀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2,4-Dichlrophenol by Magnetic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4, 2018년, pp.388 - 394  

감상규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민규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자성 활성탄(MAC, magnetic activated carbon)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2,4-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2,4-DCP)을 제거하는 연구하였다. 접촉시간, MAC의 투여량, 용액의 온도, pH 및 2,4-DCP 농도를 변화시켜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등온 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 등온 모델식에 의해 잘 설명되었으며, Langmuir 등온식으로부터 구한 최대 흡착량은 312.5 mg/g이었다. 흡착속도는 유사 2차 속도식에 의해 잘 기술되었으며, 입자 내 확산 모델 자료는 흡착 과정 동안 막 확산과 입자 내 확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해 주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인 ${\Delta}H^o$${\Delta}G^o$는 각각 양의 값과 음의 값을 가지므로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은 자발적이며 흡열반응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착실험을 완료한 후 사용한 MAC는 외부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moval of 2,4-dichlorophenol (2,4-dichlorophenol, 2,4-DCP) in aqueous solution was studied using the magnetic activated carbon (MAC)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2,4-DCP by MAC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contact time, MAC dose, solution temperatur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사 1차 속도식과 유사 2차 속도식에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4-DCP 농도 변화에 따른 영향, MAC의 투입량 변화에 따른 영향, 용액 pH 변화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흡착속도 및 흡착등온해석을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다량 발생하고 있는 농산폐기물인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폐감귤박 활성탄(WCAC, waste citrus peel based activated carbon)을 이용하여 자성 활성탄(MAC, magnetic acti- vated carbon)을 합성하여 2,4-DCP 흡착 실험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을 이용하여 MAC 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중의 2,4-DCP을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감귤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WCAC를 이용하여 선행연구[22]에서와 같이 MAC를 합성하였다.
  • 실험은 회분식으로 수행하였으며, 250 mL 삼각플라스크에 일정 농도의 2,4-DCP 용액 100 mL와 MAC 0.05 g을 넣은 후, 각각의 삼각플 라스크를 수평진탕기(Johnsam, JS-FS-2500)로 180 rpm으로 교반하면서 일정시간 간격마다 시료를 채취한 다음에 원심분리기(Eppendorf, Centrifuge 5415c)로 10,000 rpm에서 5 min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만 채취하여 분광광도계(Shimadzu, UV-1240)로 2,4-DCP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WCAC을 사용하여 합성한 MAC를 흡착제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MAC에 의한 2,4-DCP의 흡착 실험 결과를 Langmuir 등온식과 Freundlich 등온식에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한 후에 분말상의 활성탄을 수용액에서 분리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들 활성탄을 수처리에서 사용할 경우 입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한 후에 분말상의 활성탄을 수용액에서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8], 여과 및 원심 분리와 같은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Schwickardi 등[18]은 활성탄에 자성을 부여한 자성 활성탄을 사용하면 외부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액상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자성 흡착제는 다루기가 용이하고 쉽게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수용액 중에서 염료나 다른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연구가 되고 있다[19-21].
클로로페놀류의 생물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페놀이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2,4-디클로로페놀(2,4-DCP)과 같은 클로로페놀류는 플라스틱, 염료, 농약, 살충제 등의 합성 중간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독성이 크고 암과 기형을 유발하고 소각 처리 시 다이옥신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다[1]. 이러한 물질은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잘되지 않아 환경 내에서 지속적으로 축적되게 되어 수생 생물과 인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2].
활성탄이 흡착제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용액 중의 페놀류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막 여과[3], 생물학적 분해[4], 전기 화학적 산화[5], 광촉매 분해[6], 흡착[1,7]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 방법들 중에서 흡착이 오염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설계 및 운전이 용이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폐수 중에서 오염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데 있어서 흡착제로는 활성탄이 넓은 비표면적과 미세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고 흡착 속도가 빠르고 흡착능이 크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8,9]. 그러나 활성탄을 대규모 수처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산 비용과 처리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 Dabrowski, P. Podkoscielny, Z. Hubicki, and M. Barczak, Adsorption of phenolic compounds by activated carbon - A critical review, Chemosphere, 58, 1049-1070 (2005). 

  2. K. Kusmierek, M. Szala, and A. Swiatkowski, Adsorption of 2,4-dichlorophenol an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from aqueous solutions on carbonaceous materials obtained by combustion synthesis, J. Taiwan Inst. Chem. Eng., 63, 371-378 (2016). 

  3. S. Das, A. K. Banthia, and B. Adhikari, Porous polyurethane urea membranes for pervaporation separation of phenol and chlorophenols from water, Chem. Eng. J., 138, 215-223 (2008). 

  4. C. C. Wang, C. M. Lee, and C. H. Kuan, Removal of 2,4-dichlorophenol by suspended and immobilized Bacillus insolitus, Chemosphere, 41, 447-452 (2000). 

  5. J. D. Rodgers, W. Jedral, and N. J. Bunce,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chlorinated phenols, Environ. Sci. Technol., 33, 1453-1457 (1999). 

  6. S. P. Devipriya and S. Yesodhara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in water using $TiO_2$ and ZnO, J. Environ. Biol., 31, 247-249 (2010). 

  7. D. M. Nevskaia, A. Santianes, V. Munoz, and A. Guerrero-Ruiz, Interaction of aqueous solutions of phenol with commercial activated carbons: An adsorption and kinetic study, Carbon, 37, 1065-1074 (1999). 

  8. S. L. Wang, Y. M. Tzou, Y. H. Lu, and G. Sheng, Removal of 3-chlorophenol from water using rice-straw-based carbon, J. Hazard. Mater., 147(1-2), 313-318 (2007). 

  9. Q.-S. Liu, T. Zheng, P. Wang, J.-P. Jiang, and N. Li, Adsorption isotherm, kinetic and mechanism studies of some substituted phenols on activated carbon fibers, Chem. Eng. J., 157, 348-356 (2010). 

  10. M. Dias, M. C. M. Alvim-Ferraz, M. F. Almeida, J. Rivera-Utrilla, and M. Sanchez-Polo, Waste materials for activated carbon preparation and its use in aqueous-phase treatment: A review, J. Environ. Manage., 85, 833-846 (2007). 

  11. G. Annadurai, R. S. Juang, and D. J. Lee, Adsorption of heavy metal from water using banana and orange peels, Water Sci. Technol., 47, 185-190 (2002). 

  12. B. H. Hameed, Spent tea leaves: A new non-conventional and low-cost adsorbent for removal of basic dye from aqueous solution, J. Hazard. Mater., 161, 253-259 (2009). 

  13. S. R. Popuri, A. Jammala, K. V. N. Reddy, and K. Abburi, Biosorption of hexavalent chromium using tamarind (Tamarinddus indica) fruit shell - a comparative study, Electron. J. Biotechnol., 3, 358-367 (2007). 

  14. M. Ahmedna, W. E. Marshall, and R. M. Rao, Produc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s from select agricultural by-product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chemical and adsorption properties, Bioresour Technol., 71(2), 113-123 (2000). 

  15. Z. Reddad, C. Gerente, Y. Andres, and P. Lecloirec, Adsorption of several metal ions onto a low cost biosorbent: Kinetic and equilibrium studies, Environ. Sci. Technol., 36, 2067-2073 (2002). 

  16. C. H. Lee, S. K. Kam, and M. G.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2,4-dichlorophenol in aqueous solution with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using response surface modeling approach, Korean Chem. Eng. Res., 55(5), 723-730 (2017). 

  17. S. K. Kam and M. G. Lee, Response surface modeling for the adsorption of dye eosin Y by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Appl. Chem. Eng., 29(3), 270-277 (2018). 

  18. M. Schwickardi, S. Olejnik, E. L. Salabas, W. Schmidt, and F. Schuth, Scalable synthesis of activated carbon with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Chem. Commun., 38, 3987-3989 (2006). 

  19. S. S. Banerjee and D. H. Chen, Fast removal of copper ions by gum arabic modified magnetic nano-adsorbent, J. Hazard. Mater., 147, 792-799 (2007). 

  20. C. F. Chang, P. H. Lin, and W. Holl, Aluminum-type superparamagnetic adsorbents: synthesis and application on fluoride removal, Colloids Surf., 280, 194-202 (2006). 

  21. N. Yang, S. Zhu, D. Zhang, and S. Xu, Synthesis and properties of magnetic $Fe_3O_4$ activated carbon nanocomposite particles for dye removal, Mater. Lett., 62, 645-647 (2008). 

  22. J. S. Shon, D. B. Kim, T. I. Kim, E. J. Kim, C. H. Lee, S. K. Kam, and M. G. Lee, Adsorption of 2,4-dichlrophenol by magnetic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Jeju-waste citrus peel, Proceedings of 2016 Annual Conf. of the Korean Soc. Environ. Sci., Nov. 3-5, Daegu Univ., Korea (2016). 

  23. F. W. Shaarani and B. H. Hameed, Ammonia-modified activated carbon for the adsorption of 2,4-dichlorophenol, Chem. Eng. J., 169, 180-185 (2011). 

  24. M. Sathishkumar, A. R. Binupriya, D. Kavitha, R. Selvakumar, R. Jayabalan, J. G. Choi, and S. E. Yun, Adsorption potential of maize cob carbon for 2,4-dichlorophenol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Equilibrium, kinetics and thermodynamics modeling, Chem. Eng. J., 147, 265-271 (2009). 

  25. B. H. Hameed, L. H. Chin, and S. Rengaraj, Adsorption of 4-chlorophenol onto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rattan sawdust, Desalination, 225, 185-198 (2008). 

  26. C. H. Lee, J. M. Park, and M. G. Lee, Competitive adsorption in binary solution with different mole ratio of Sr and Cs by zeolite A :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s, J. Environ. Sci. Int., 24, 151-162 (2015). 

  27. S. Lagergren, About the theory of so-called adsorption of soluble substances, Kunglia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24, 1-39 (1898). 

  28. Y. S. Ho and G. McKay, Psuedo-second order model for sorption processes, Process Biochem., 34(5), 451-465 (1999). 

  29. J. P. Wang, H. M. Feng, and H. Q. Yu, Analysis o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2,4-dichlorophenol from aqueous solutions by activated carbon fiber, J. Hazard. Mater., 144(1-2), 200-207 (2007). 

  30. W. J. Weber and J. C. Morris, Kinetics of adsorption on carbon from solution, J. Sanit. Eng. Div., 89, 31-60 (1963). 

  31. F. W. Shaarani and B. H. Hameed, Batch adsorption of 2,4-dichlorophenol onto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agricultural waste, Desalination, 255, 159-164 (2010). 

  32. V. C. Srivastava, M. M. Swamy, I. D. Mall, B. Prasad, and I. M. Mishra, Adsorptive removal of phenol by bagasse fly ash and activated carbon: Equilibrium, kinetics and thermodynamics. Colloids Surf. A, 272, 89-104 (2006). 

  33. I. Langmuir, The adsorption od gases on plane surface of glass, mica and platinum, J. Am. Chem. Soc., 40, 1361-140 (1918). 

  34. H. M. F. Freundlich, Over the adsorption in solution, J. Phys. Chem., 57, 385-470 (1906). 

  35. M. Sathishkumar, K. Vijayaraghavan, A. R. Binupriya, A. M. Stephan, J. G. Choi, and S. E. Yun, Porogen effect on characteristics of banana pith carbon and the sorption of dichlorophenols, J. Colloid Interface Sci., 320(1), 22-29 (2008). 

  36. A. Bhatnagar and A. K. Minocha, Adsorptive removal of 2,4-dichlorophenol from water utilizing Punica granatum peel waste and stabilization with cement, J. Hazard. Mater., 168, 1111-1117 (2009). 

  37. M. Z., A. Alam, S. A. Muyibi, and J. Toramae, Statistical optimization of adsorption processes for removal of 2,4-dichlorophenol by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oil palm empty fruit bunches, J. Environ. Sci., 19, 674-677 (2007). 

  38. A. A. M. Daifullah and B. S. Girgis, Removal of some substituted phenols by activated phenols by activated carbon obtained from agricultural waste, Water Res., 32, 1169-117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