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lostridium ljungdahlii 배양에서 배지 조성에 따른 균주 성장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대한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Cell Growth and Bioethanol Production in Clostridium ljungdahlii Cultur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4, 2018년, pp.419 - 424  

안보혜 (한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소은 (한경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센터) ,  김영기 (한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기탄소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acetogenic 박테리아인 Clostridium ljungdahlii 발효공정에서 배양 배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 향상을 시도하였다.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지 구성성분으로 yeast extract, fructose, $NH_4Cl$, $K_2HPO_4$를 선정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 기본 배지 농도보다 낮은 0.05 g/L에서 가장 높았다. Fruc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은 증가하였지만 5 g/L을 초과하는 fructose 투입은 에탄올 생산을 감소시켰다. Yeast extract 5 g/L인 조건에서 fructose 5 g/L와 넣었을 때 에탄올 생산농도가 0.297 g/L로 가장 높았으나, fructose를 넣지 않았을 때 매우 낮은 균주 농도로 인해 에탄올 비생산성은 0.281 g/g DCW로 높았다. $NH_4Cl$은 균주 성장이나 에탄올 생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0 g/L 이상 과다 투입하면 성장저해가 나타났다. $K_2HPO_4$에 대해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모두 증가하였다. $NH_4Cl$$K_2HPO_4$를 사용한 경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를 적게 사용한 경우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effect of the culture medium composition o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Clostridium ljungdahlii, which is acetogenic bacteria to product ethanol from synthesis gas, was examined to improve the microbia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Components of the culture medium such as yeast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O, CO2, H2로 구성된 합성가스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acetogenic bacteria인 C. ljungdahlii 배양에서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성에 대한 배지 조성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Yeast extrac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은 향상되지만,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 0.
  •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배지조성과 반응기 설계 최적화 등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11].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의 생물학적 전환을 위한 생체 촉매로 acetogenic 박테리아인 C. ljungdahlii 균주를 사용하여, 배양 배지의 조성에 따른 미생물 성장과 에탄올 생산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배지 성분 중 yeast extract, fructose, NH4Cl, 그리고 K2HPO4의 농도의 변화에 따른 균주의 성장과 에탄올, 아세트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단점은 무엇인가? 옥수수, 사탕수수와 같은 농업 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곡물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은 경제적이며 사용시 오염물질 배출이 적어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에 대한 대책으로 상용화에 성공하였다[2]. 하지만 곡물계 바이오매스의 수확을 위해 큰 규모의 경작지가 필요하고 재배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식량 수급과 가격에 영향을 끼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리그노셀룰로오즈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방법이 제안되어 개발되어져 있다[3].
Clostridium ljungdahlii란 무엇인가? 무기탄소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acetogenic 박테리아인 Clostridium ljungdahlii 발효공정에서 배양 배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 향상을 시도하였다.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지 구성성분으로 yeast extract, fructose, $NH_4Cl$, $K_2HPO_4$를 선정하였다.
gasification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들의 분해 과정에는 리그닌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전체공정의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산 가수분해나 효소 반응과는 달리 gasification은 리그닌을 비롯한 모든 바이오매스 성분을 합성 가스(synthesis gas)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주로 CO, CO2, H2 및 N2로 구성된 합성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어 에탄올 등 바이오연료로 전환 가능하다[5,6]. Clostridium ljungdahlii와 같은 acetogenic 박테리아는 혐기 조건에서 Wood-ljungdahl pathway를 통하여 에탄올과 아세트산 등의 유용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Figure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 Molitor, H. Richter, M. E. Martin, R. O. Jensen, A. Juminaga, C. Mihalcea, and L. T. Angenent, Carbon recovery by fermentation of CO-rich off gases - Turning steel mills into biorefineries, Bioresour. Technol., 215, 386-396 (2016). 

  2. B. D. Yaccobucci, Fuel ethanol: Background and public policy issues, CRS Report for Congress., RL33290, 1-23 (2007). 

  3. P. Maddipati, H. K. Atiyeh, D. D. Bellmer, and R. L. Huhnke, Ethanol production from syngas by Clostridium strain P11 using corn steep liquor as a nutrient replacement to yeast extract, Bioresour. Technol., 102(11), 6494-6501 (2011). 

  4. Y. Sun and J. Cheng, Hydrolysis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for ethanol production: A review, Bioresour Technol., 83(1), 1-11 (2002). 

  5. S. Rajagopalan, R. P. Datar, and R. S. Lewis, Formation of ethanol from carbon monoxide via a new microbial catalyst, Biomass Bioenergy, 23, 487-493 (2002). 

  6. E. Natarajan, A. Nordin, and A. N. Rao, Overview of combustion and gasification of rice husk in fluidized bed reactors, Biomass Bioenergy, 14(5-6), 533-546 (1998). 

  7. F. R. Bengelsdorf, M. Straub, and P. Durre, Bacterial synthesis gas (syngas) fermentation, Environ. Technol., 34, 1639-1651 (2013). 

  8. D. K. Kundiyana, M. R. Wilkins, P. Maddipati, and R. L. Huhnke,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buffer presence on ethanol production from synthesis gas by "Clostridium ragsdalei ", Bioresour. Technol., 102(10), 5794-5799 (2011). 

  9. M. E. Martin, H. Richter, S. Saha, and L. T. Angenent, Traits of selected Clostridium strains for syngas fermentation to ethanol, Biotechnol. Bioeng., 113(3), 531-539 (2016). 

  10. S. Esquivel-Elizondo, A. G. Delgado, B. E. Rittmann, and R. Krajmalnik-Brown, The effects of $CO_2$ and $H_2$ on CO metabolism by pure and mixed microbial cultures, Biotechnol. Biofuels, 220(10), 1-13 (2017). 

  11. Y.-K. Kim, S. E. Park, H. Lee, and J. Y. Yun, Enhancement of bioethanol production in syngas fermentation with Clostridium ljungdahlii using nanoparticles, Bioresour. Technol., 159, 446-450 (2014). 

  12. Y.-K. Kim and H. Lee, Use of magnetic nanoparticles to enhance bioethanol production in syngas fermentation, Bioresour. Technol., 204, 139-144 (2016). 

  13. J. Gao, H. K. Atiyeh, J. R. Phillips, M. R. Wilkins, and R. L. Huhnke, Development of low cost medium for ethanol production from syngas by Clostridium ragsdalei, Bioresour. Technol., 147, 508-515 (2013). 

  14. N. K. Al-Shorgani, A. A. Hamid, W. M. W. Yusoff, and M. S. Kalil, Pre-optimization of medium for biobutanol production by a new isolate of solvent-producing Clostridium, Bioresoures, 8(1), 1420-1430 (2013). 

  15. C. Richmond, B. Han, and T. C. Ezeji, Stimulatory effects of calcuium carbonate on butanol production by solventogenic Clostridium species, Cont. J. Microbiol., 5(1), 18-2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