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영향개발기법 설계 및 평가를 위한 LIDMOD3 개발
LIDMOD3 Development for Design and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4, 2018년, pp.382 - 390  

전지홍 (국립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성철 (한국환경공단 수생태시설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LIDMOD3 was developed to design and evaluate low impact development (LIDMOD). In the same fashion, the LIDMOD3 employs a curve number (NRCS-CN) method to estimate the surface runoff, infiltration and event mean concentration as applicable to pollutant loads which are based on a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개발된 LIDMOD2의 단점을 보완하여 모의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LIDMOD3를 개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에 따른 유출량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기법을 평가할 수 있는 LIDMOD2를 개선한 LIDMOD3를 개발하고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을 통해서 34%의 비점오염부하량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수질항목별 동일한 저감효과를 보이는 이유는 LID 기술요소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는 저류 후 침투에 의해 이루어지며 기술요소 내 침전/필터에 의한 수질처리효과가 없는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유출량 저감효과와 동일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 2와 같이 4개의 배수구역으로 구분하였다. 아파트단지내 잔디에서의 강우유출수는 별도의 우수배제시설 없이 직접 인도로 유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배수구역 1(DA1)은 잔디의 유출수가 투수블록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옥상유출수의 식생여과대 처리는 하나의 배수구역으로 모의할 수 있으나 원지반의 배수상태에 따라 식생체류지의 처리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배수등급 A, B에 따라 배수구역 2(DA2)와 3(DA3)으로, 그 외 LID 기술요소로 유입되지 않는 불투수면적은 배수구역4(DA4)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시나리오는 옥상에서의 강우유출수를 식생체류지에 유입시키고, 인도에 투수블록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투수블록의 경우 저류용량만큼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면 그 이상의 용량은 우수배제시설로 직접 유출되고 식생체류지의 경우 저류용량 이상의 용량은 침전/필터 효과없이 우수배제시설로 유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투수블록과 식생체류지에서의 수질처리효과 없이 저류 후 침투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 저감 목적의 설계강우량은 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유출수와 함께 대두된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대처는? 최초의 저영향개발기법은 개발지역의 수문학적 상태를 개발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여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PGCo, 1999), 최근 들어서는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을 저감시키거나 비점오염물질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되고 있어 환경학적 측면에서도 주요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제2차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의 도시분야 대책에 저영향개발기법 적용확대를 포함하고 있으며(Prime Minister’s Office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환경영향평가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매뉴얼과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한바 있다(ME, 2016).
저영향개발기법은? 저영향개발기법이란 자연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하여 개발하는 것을 의미(ME, 2013)하거나 홍수 및 수질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의 침투, 저류, 물순환 체계를 고려한 토이이용 기법(MOLIT, 2012)로 정의된다. 최초의 저영향개발기법은 개발지역의 수문학적 상태를 개발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여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PGCo, 1999), 최근 들어서는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을 저감시키거나 비점오염물질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되고 있어 환경학적 측면에서도 주요 관심을 받고 있다.
최초의 저영향개발기법의 목표는? 저영향개발기법이란 자연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하여 개발하는 것을 의미(ME, 2013)하거나 홍수 및 수질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의 침투, 저류, 물순환 체계를 고려한 토이이용 기법(MOLIT, 2012)로 정의된다. 최초의 저영향개발기법은 개발지역의 수문학적 상태를 개발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여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PGCo, 1999), 최근 들어서는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을 저감시키거나 비점오염물질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이 적용되고 있어 환경학적 측면에서도 주요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제2차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의 도시분야 대책에 저영향개발기법 적용확대를 포함하고 있으며(Prime Minister’s Office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환경영향평가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매뉴얼과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한바 있다(ME,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S. J., Kang, M. J., Kwon, H., Lee, J. W., and Kim S. D. (2013).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n Urban Area; Non-point Pollutant Removal Measures using EPA-SWM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466-475. [Korean Literature] 

  2. Desbonnet, A., Pogue, P., Lee, V., and Wolff. N. (1994). Vegetated Buffers in the Coastal Zone: A Summary Review and Bibliography, Coastal Resources Center, University of Rhode Island, RI. 

  3. Jeon, J. H., Choi, D. H., Na, E. H., Park, C. G., and Kim, T. D. (2010). LIDMOD2 Development for Evaluation of LID/ BM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3), 432-438. [Korean Literature] 

  4. Jeon, J. H., Kim, J. J., Choi, D. H., Han J. W., and Kim, T. D. (2009). Guideline of LID-IMPs Selection and the Strategy of LID Design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5(6), 886-895. [Korean Literature] 

  5. Jeon, J. H., Park, S. S., Park, C. G., and Kim, T. D. (2014). Evaluating Implementation of EPA SUSTAIN Model for Cost-effective LID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4(2), 135-143. [Korean Literature] 

  6. Jeon, J. H., Seo, S. C., and Park, C. G. (2016). The Effect of Connected Bioretention on Reduction of Surface Runoff in LID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6), 562-569. [Korean Literature] 

  7. Jeon, J. H., Yoon, Y. J., Lee, S. H., Cho, S. H., and Kwon, T. Y. (2015). Analysi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Low Impact Development (LID) Application at Andong City Hall, Proceedings of the 2015 Spring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563-564. [Korean Literature] 

  8. Kang, K. H. and Lee, K. H. (2017). The Development of Land Use Planning Technique Apply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Verifying the Effects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 A Case Study of Sejong City 6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548-553. [Korean Literature] 

  9. Kim, D. H. and Choi, H. S. (2013). The Planning Process and Simulation for Low Impact Development(LID) in Waterfront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2(1), 37-58. [Korean Literature] 

  10. Kim, J. K. and Jeon, J. H. (2015). Study for Reduction of Rainfall Runoff and Pollution Load Using SWMM Model LID Module, Proceedings of the 2015 Spring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539-540. [Korean Literature] 

  11. Kim, J. J., Kim, T., Choi, D., and Jeon, J. H. (2011). Design of Structural BMP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Application and Modelling Its Effect on Reduction of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Application of LIDM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27(5), 580-586. [Korean Literature] 

  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14). Spatial Planning Method and Applic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ion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3. Lee, B. S. (2008).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using Vegetative Filter Strip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4. Lee, J. H., Park, Y. K., Shin, H. S., Kim, J. S., and Kim, S. D. (2013). A Study on Applicability of SUSTAIN in a Korean Urban Catch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6), 730-738. [Korean Literature] 

  15. Liu, Y., Ahablame, L. M., Bralts, V. F., and Engel, B. A. (2015). Enhancing a Rainfall-runoff Model to Assess the Impacts of BMPs and LID Practices on Storm Runoff,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7, 12-23. 

  16.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3). Guidelines for LID Technology Elements, 11-1480000-001272-0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The Guideline of Design of Low Impact Developmen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Guidelines for Preparation of Hydrophilic Zon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19. Prime Minister's Office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nd Comprehensive NPS Management Plan, 11-1480000- 001222-01, Prime Minister's Office and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20. Prince George's County (PGCo). (1999). Low-impact development hydrologic analysis.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ince George's County. 

  21. Sample, D. J., Heaney, J. P., Wright, L. T., and Koustas, R. (200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Urban Storm-water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27(3), 155-161. 

  22. Shoemaker, L., Lahlou, M., Bryer, M., Kumar, D., and Kratt, K. (1997). Compendium of Tools for Watershed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EPA841-B-97-006, United States Envo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20460, USA. pp. 13-14. 

  23. Tetra Tech, Inc. (2005). Mecklengburg County Site Evaluation Tool-User's Manual and Guidance. 

  24. US dept of Agriculture (USDA). (197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Chapter 16, Hydrographs. Soil Conservation Service,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