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천 상류부의 수질오염 우려구간 수질특성 및 수질관리방안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Water Quality at the Water Pollution Deterioration Area of the Upper Stream of Gapcheon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5, 2019년, pp.399 - 408  

장유호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손봉호 ((주)지엔에스엔지니어링) ,  저소웅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verage annual water quality at Yongchon Bridge, Bonggok 2 Bridge, and Gasuwon Bridge in upstream of Gapcheon in 2018 was Ib grade (good) in organic matters, including BOD and TOC compared to the local environmental standard in Daejeon. However, their monthly changes for TOC partially exceeded t...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갑천 상류부인 봉곡2교를 중심으로 수질오염 우려구간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선정, 수질 특성 파악,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산정 등을 통해 갑천 상류부의 수질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천 최상류부 지역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갑천 최상류부 지역은 대전광역시에서 중요한 생태하천으로 주민들이 흑석유원지, 장평유원지, 상보원유원지 등을 친 환경 물놀이 지역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은 하수처리구역외 지역이므로 미처리된 오수가 하수관로에 차집되지 않거나, 계룡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두계천을 통해 갑천에 합류되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갑천 상류부 용천교 지점 근처인 서구 평촌동, 용촌동, 매노동 등 일원에 시설용량 6,000m3 /일 규모의 평촌공공폐수처리시 설이 2020년 조성 예정이고(Lim, 2018)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방동저수지의 배출수가 갑천으로 유입되어 향후 수질오염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Chu and Lim, 2018). 최근 갑천 상류부 주요 수질측정망 지점인 봉곡2교 지점은 하류 지점인 가수원교(갑천1) 지점에 비해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계룡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가 제1지류하천인 두계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이 양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갑천 상류부에 유입되어 봉곡2교 등의 수질에 영향 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갑천 최상류부 지역의 특징은? 갑천 최상류부 지역은 대전광역시에서 중요한 생태하천으로 주민들이 흑석유원지, 장평유원지, 상보원유원지 등을 친 환경 물놀이 지역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은 하수처리구역외 지역이므로 미처리된 오수가 하수관로에 차집되지 않거나, 계룡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가 두계천을 통해 갑천에 합류되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봉곡2교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무엇인가? 5배로 높은 경향을 띄고 있다. 봉곡2교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주변지역의 도시화에 의한 영향도 있지만 계룡공공하수 처리시설의 방류수와 두계천의 수질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Lee, 2012). 두계천과 갑천 주요 지점의 5년 간(2013 ~ 2017) 총질소와 총인의 수질변화를 살펴보면 두계천의 경우 갑천의 가수원교에 비해 총질소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총인 농도의 경우는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 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 S. X. and Lim, B. S. (2018).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variation at agricultural bangdong reservoi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Daejeon University), 29(2), 31-38. [Korean Literature] 

  2. Daejeon Metropolitan City. (2014). Environment Basic Ordinance Article 10, Regional Economic Reference Settings. 

  3. Ekka, S. A., Haggard, B. E., Matlock, M. D., and Chaubey, I. (2006). Dissolved phosphorus concentrations and sediment interactions in effluent-dominated Ozark streams, Ecological Engineering, 26(4), 375-371. 

  4. Geumgang Water Management Committee. (2018).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deteriorating water quality of the Gapcheon stream, 1-4. [Korean Literature] 

  5. Lee, E. R. (2008). Assessment of pollution loading in Gab-Cheon water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78-79. [Korean Literature] 

  6. Lee, G. Y. and Seo, D. I. (2015). Analysis on trends and major impact factors of water quality dynamics in the Gab-Cheon river, Daejeo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ing, 37(9), 517-525. [Korean Literature] 

  7. Lee, J. K. (2012). A Study of reduction discharge load for limitation total emisssion volume of water pollutants of sewage treatment plant,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e, 13-15. [Korean Literature] 

  8. Lim, B. S. (2018). Survey and improvement plan of water quality at the water pollution deterioration area of the upper stream of gapcheon, 18-06-02-02-14,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96-100. [Korean Literature] 

  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8). Standard methods of the examination of water pollut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0. Nam, T. K. (2013).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ies of the Daejeon 3 major streams based on Mann-Kendall test,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49-52. [Korean Literature] 

  11. Reddy, K. R. and DeBusk, T. A. (1987). State-of-the-art utilization of aquatic plants in water polution control,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19(10), 61-79. 

  12. Ryu, B. R. (2009). A study of the waterfront environmental survey and echo friendly management in gapcheon stream, 09-2-30-33, Daeje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162-172. [Korean Literature] 

  13. Yoon, H. Y. (2015). Study on the influence of Daejeon Gabcheon upon the Geum river's water quality and Geum river management facility,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41-4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