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Real Time RT-PCR을 이용한 Flavivirus 감염조사(2017)
Mosquito Distribution and Detection of Flavivirus Using Real Time RT-PCR in Jeju Island, 2017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7 no.3, 2018년, pp.177 - 183  

이제욱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  황규계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온난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환경적으로 다른 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시의 국제공항, 항만구역과 축사 그리고 서귀포 도심지의 11지점을 선정하여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2회씩 Black light trap과 BG sentinel trap을 이용하여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는 5속 7종. 6,042마리였으며, 이 중 빨간집모기(Culex pipiens)가 4,159마리(68.8%)로 우점종이었으며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1,348마리(24.4%)였다. Black light trap를 이용한 채집에서 중앙동주민센터는 트랩당 72.8마리를 채집하여 모기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국제공항은 트랩당 1.4마리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G sentinel trap을 이용한 채집에서는 항만에서 트랩당 71.7마리로 가장 많았고 도심지의 걸매생태공원에서 28.3마리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로 모기의 밀도는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1,156마리(19.1%)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암컷모기를 종별, 시기별, 지점별로 나누어 pool당 50마리 이하로 설정하여 총 364 pools에서 flavivirus 존재여부를 real time RT-PCR로 검사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easonal, regional distribution of mosquito vectors related with disease vectors in the Jeju. From March to November, sample were collected from 11 points in four environmentally different sites in Jeju Island.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a month using a black-light trap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해외감염성질환의 유입가능성이 증대되고 있어 체계적 조사감시를 통해 매개체 전파질환의 유입 및 확산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감염병 매개체와 병원체를 감시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에 따른 질병발생을 관리하기 위한 감염병의 감시모델링 등의 연구 개발하는 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기매개질병의 원인체 중 하나인 Flavivirus의 특징은? , 1998). Flavivirus는 자연계 매개모기와 그러한 매개모기의 습성에 따라 서식지역이 결정되고 질병의 발생규모 또한 이러한 서식지역의 매개모기 밀도에 비례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와 교통의 발달에 따른 국제적 교류의 증가는 국가별 서식 매개체에 대한 매개질환 전파가 더욱 가능해졌으며 이로 인해 해외유입질병 토착화에 대한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매개체 감염병이란? 매개체 감염병(vector-borne infection)은 인간과 모기, 진드기, 물 등 미생물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말한다. 모기는 환경요인에 민감하여 기후온난화 현상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여행 및 무역 등의 국제적 교류에 의해 발생경향과 서식지 등이 달라지고 있다(Reiter, 2001).
모기매개질병의 종류와 그 원인체는? 모기는 환경요인에 민감하여 기후온난화 현상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여행 및 무역 등의 국제적 교류에 의해 발생경향과 서식지 등이 달라지고 있다(Reiter, 2001). 모기매개질병 중 일본뇌염, 뎅기열, 황열, 서나일열, 지카열의 원인체는 Flaviviridae과 Flavivirus 속으로 ssRNA 바이러스이다(Kuno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C.Y., Oh, H., Song, J., Hur, M., Suh, J.H., Jheong, W.H,, Kim, J.T., Oh, H.S., Park, J.H., 2016. First detection of West Nile Virus in domestic pigeon in Korea. J. Vet. Sci. 17, 587-589. 

  2. Kim, H., Cha, G.W., Jeong, Y.E., Lee, W.G., Chang, K.S., Roh, J.Y., Yang, S.C., Park, M.Y., Park, C., Shin, E.H., 2015. Detec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genotype V in Culex orientalis and Culex pipiens (Diptera: Culicidae) in Korea. PLoS. One. 10, doi: 10.1371/journal.pone.0116547. 

  3. Kim, H.C., Klein, T.A., Takhampunya, R., Evans, B.P., Mingmongkolchai, S., Kengluecha, A., Grieco, J., Masuoka, P., Kim, M.S., Chong, S.T., Lee, J.K., Lee, W.J., 2011.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culicine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collected at Daeseongdong, a vill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f the Republic of Korea. J. Med. Entomol. 48, 1250-1256. 

  4. Kim, H.C., Wilkerson, R.C., Pecor, J.E., Lee, W.J., Lee, J.S., O'Guinn, M.L., Klein, T.A., 2005. New records and reference collection of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o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Entomol. Res. 35, 55-66 

  5. Kuno, G., Chang, G.J., Tsuchiya, K.R., Karabatsos, N., Cropp, C.B., 1998. Phylogeny of the genus Flavivirus. J. Virol. 72, 73-83. 

  6. Kutsuna, S., Kato, Y., Moi, M.L., Kotaki, A., Ota, M., Shinohara, K., Kobayashi, T., Yamamoto, K., Fujiya, Y., Mawatari, M., Sato, T., Kunimatsu, J., Takeshita, N., Hayakawa, K., Kanagawa, S., Takasaki, T., Ohmagari, N., 2015. Autochthonous dengue fever, Tokyo, Japan, 2014. Emerg. Infect. Dis. 21, 517-520. 

  7. Lee, D.K., 2017.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v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60, 458-467. 

  8. Lee, S.H., Nam, K.W., Jeong, J.Y., Yoo, S.J., Koh, Y.S., Lee, S., Heo, S.T., Seong, S.Y., Lee, K.H., 2013.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globalization on mosquito vectors: evidence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on the potential for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nfluxes and survival from Vietnam rather than Japan. PLoS. One. 8, e68512. 

  9. Murdock, C.C., Paaijmans, K.P., Cox-Foster, D., Read, A.F., Thomas, M.B., 2012. Rethinking vector immunology: the role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in shaping resistance. Nat. Rev. Microbiol. 10, 869-876. 

  10. Otero, M., Solari, H.G., Schweigmann, N., 2006. A stochastic population dynamics model for Aedes aegypti: formulation and application to a city with temperate climate. Bull. Math. Biol. 68, 1945-1974. 

  11. Ravanini, P., Huhtamo, E., Ilaria, V., Crobu, M.G., Nicosia, A.M., Servino, L., Rivasi, F., Allegrini, S., Miglio, U., Magri, A., Minisini, R., Vapalahti, O., Boldorini, R., 2012. Japanese encephalitis virus RNA detected in Culex pipiens mosquitoes in Italy. Euro. Surveill. 17. pii: 20221. 

  12. Ree, H.I., 2003. Taxonomic review and revised keys of the Korean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Korean J. Entomol. 33, 39-52. 

  13. Reiter, P., 2001. Climate change and mosquito-borne disease. Environ. Health Perspect. 109, 141-161. 

  14. Schmidt, J.R., Elmansoury, H.K., 1963. Natural and experimental infection of Egyptian equines with West Nile virus. Ann. Trop. Med. Parasitol. 57, 415-427. 

  15. Yang, C.F., Chen, C.F., Su, C.L., Teng, H.J., Lu, L.C., Lin, C., Wang, C.Y., Shu, P.Y., Huang, J.H., Wu, H.S., 2010. Screening of mosquitoes using SYBR Green I-based real-time RT-PCR with group-specific primers for detection of Flaviviruses and Alphaviruses in Taiwan. J. Virol. Methods 168, 147-1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