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얌빈의 온도별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산성 비교
Germination of Yam Bean Seeds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Its Productivity with Different Seeding Date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7 no.3, 2018년, pp.245 - 252  

엄미정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치선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은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정현수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정만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얌빈(Pachyrhizus erosus, Yam bean)은 멕시코 원산의 아열대성 콩과 식물로서 아삭하고 즙이 많아 생으로 먹거나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는 구근채소이다. 본 시험은 국내에서 얌빈 재배시 적정 파종시기를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발아율$18^{\circ}C$이상에서 86.0~94.0%를 보였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낮은 온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천군만마 품종이 태국 재래종에 비해 개화기나 구근 형성시기가 더 늦었고, 개화와 구근형성 및 비대에 필요한 적산온도도 각각 $293^{\circ}C$, $280^{\circ}C$, $108^{\circ}C$가 더 소요되었으며, 지상부나 구근의 건물량은 더욱 많았다. 또한, 4월 25일 파종은 다른 시기에 비해 구근형성기까지 일수가 더 소요되었고, 구근형성과 비대시기의 지연으로 수확지수가 낮았으며, 6월 9일 이후 파종시는 영양생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10월 하순 이후 저온 및 서리로 인해 생육이 정지되어 구근의 충분한 비대가 어려웠다. 한편, 5월 10일과 25일에 파종한 경우에는 일장, 온도 등의 변화가 영양생장과 구근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얌빈 두 종 모두 구근 건물량과 수확지수가 높고 수량이 많아 파종시기로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am bean (Pachyrhizus erosus) is a subtropical plant belonging to the Fabaceae family, and is a tuberous vegetable used as various food material with a crisp and juicy tas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optimum sowing time of yam bean in Korea. For this, we surveyed germination properties b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새로운 도입작물에 대해서는 재배지역 기후와 재배 조건에 적합한 재배 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의 얌빈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별 발아특성 조사와 함께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와 구근 생산성 등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파종시기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얌빈이란 무엇인가? 얌빈(Pachyrhizus erosus, Yam bean)은 멕시코 원산의 아열대성 콩과 식물로서 아삭하고 즙이 많아 생으로 먹거나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는 구근채소이다. 본 시험은 국내에서 얌빈 재배시 적정 파종시기를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얌빈의 재배적 특성은 무엇인가? 한편, 작물의 생장과 수량에는 온도, 상대습도, 강우량,일장과 같은 기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Nedunchezhiyan와 Ray, 2005). 얌빈의 경우 길어지는 일장은 잎의 생육을 돕고, 짧아지는 일장과 주야간 온도의 차이가 구근의발달과 개화를 촉진하며, 과다한 개화는 구근의 크기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Sørensen, 1996), 또한, 온대지역에서는 큰 크기의 구근을 생산하기 위해서 5~9개월의 따뜻한 재배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광이 풍부하고 토양이 비옥한 최적의 지역에서는 3개월 만에도 작은 크기의 성숙한 구근을 수확하기도 하는 등 지역의 재배환경과 목적에 따라 재배기간이 상이하다(NRC, 2002).
재배환경에 따라 구근의 크기와 재배기간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한편, 작물의 생장과 수량에는 온도, 상대습도, 강우량,일장과 같은 기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Nedunchezhiyan와 Ray, 2005). 얌빈의 경우 길어지는 일장은 잎의 생육을 돕고, 짧아지는 일장과 주야간 온도의 차이가 구근의발달과 개화를 촉진하며, 과다한 개화는 구근의 크기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Sørensen, 1996), 또한, 온대지역에서는 큰 크기의 구근을 생산하기 위해서 5~9개월의 따뜻한 재배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광이 풍부하고 토양이 비옥한 최적의 지역에서는 3개월 만에도 작은 크기의 성숙한 구근을 수확하기도 하는 등 지역의 재배환경과 목적에 따라 재배기간이 상이하다(NRC,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evalo, T.A. 1998. Presence of cultivars of the genus Pachyrhizus DC. in Ecuador. p. 115-124. In: M. Sorensen, J.E. Estrella, O.J. Hamann, and S.A. Ruiz (eds.) Proceedings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uberous legumes (In Spanish). 

  2. Board, N. 2005. Cultivation of fruits, vegetables and floriculture. National Institute of Industrial Research, India. p. 595-596. 

  3. Byeon, J.Y., S.J. Yoon, I.J. Lee, D.S. Kim. 2015. Samgo Crop Physiology, Hyang moon sa. p. 279. 

  4. Cotter, D.J. and R.E. Gomez. 1979. Daylength effect on root development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Urban). Horti-Science 14:733-734. 

  5. Espinoza, F., Y. Diaz, P. Argenti, E. Perdomo, and L. Leon. 1998. Preliminary studies on the genus Pachyrhizus DC. in Venezuela. p. 115-124. In: M. Sorensen, J.E. Estrella, O.J. Hamann, and S.A. Ruiz (eds.) Proceedings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uberous legumes (In Spanish). 

  6. Fernandez, M.V., W.A. Warid, J.M. Loaid, and M.C. Agustin. 1997. Developmental patterns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L.) Urban) plant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roots grown in Sonora, Mexico. Plant Foods Human Nutr. 50:279-286. 

  7. Kim, S.K., H.J. Choi, J.H. Won, J.H. Park, I.J. Lee, and S.Y. Park. 2009. Introduction of yam bean (Pachyrhizus spp.)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2:546-551. 

  8.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The climate atlas of Korea. Geodream. p 20 (In Korean). 

  9. Kumalasari, I.D., K. Nishi, E. Harmayani, S. Raharjo, and T. Sugahara. 2014.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bengkoang (Pachyrhizus erosus) fiber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Cytotechnology 66:75-85. 

  10. Lee, A.R., G.N. Kim, H.O. Kim, W.J. Song, and S.S. Roh. 2017.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extract. Kor. J. Herbol. 32:57-64 (In Korean). 

  11. Lukitaningsih E. and U. Holzgrabe. 2014. Bioactive compounds in Bengkoang (Pachyrhzus erosus) as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ng agents. Indonesian J. Pharm. 25:68-75. 

  12. NRC. 2002. Tropical legumes. Resources for the futur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p. 21-27. 

  13. NRC. 2006.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Washington, DC, USA,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p. 323-343. 

  14. Nedunchezhiyan, M. and R.C. Ray. 2005. Effect of dates of sowing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partitioning in yam bean (Pachyrhizus erosus (L) Urban). Ann. of Tropical Res. 27:31-42. 

  15. Park, C.J. and J. S. Han. 2015. Hypoglycemic effect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extra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Prev. Nutr. Food Sci. 20:88-93. 

  16. Robin, C., V. Vaillant, G. Vansuyt, and C. Zinsou. 1990. Assimilate partitioning in Pachyrhizus erosus during longday vegetative development. Plant Physiol. Biochem. 28:343-349. 

  17. Sorensen, M. 1996. Yam bean (Pachyrhizus DC.). Promoting the conservation and use of underutilized and neglected corps. 2. Institute of plant genetics and crop plant research, Gatersleben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Rome, Italy. p. 22-25. 

  18. Uhm, M.J., S.W. Kwon, H.J. Kim, and Y.J. Song. 2015. Influences of seeding dates and pinching height on tender shoot production of moloheiya (Corchorus olitorius L.). Protected Hort. Plant Fac. 24:196-201 (In Korean). 

  19. Varma, S.P., V. Ravi. and S. Suja. 1996. Technologies for better production: yam bean, coleus, arrow root, colocasia (dasheen) and xanthosoma. Central Tuber Crops Research Institute, Trivandrum. p. 1-8. 

  20. Zinsou C., A. Venthou-Dumaine, and G. Vansuyt. 1987. Croissance et development du Urban. Effects de l'acide gibberellique et du chlorure de chlorocholine en jours courts. Agronomie. 7:6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