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환경개선을 위한 조도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llumina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Public Library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47 - 52  

권선영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최근 도서관의 모습은 그 어느 때보다도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한 가운데는 도서관의 공간적 요소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조도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실측 조사 그리고 각국의 조도 관련 기준을 비교하여 도서관의 조도 기준의 개선 방향의 기준을 마련하고 도서관의 학습 및 열람공간과 전반적인 이용자 공간의 더 나은 조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조도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중 14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조도 측정 후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조도기준에 대한 비교를 통해 앞으로 국내 조도규격이 개선되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현재 국내의 조도관련 기준은 시대에 맞게, 그리고 각 국가의 사례를 바탕으로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연령층에 따른 차별화와 조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도서관의 전반적인 조도개선과 조명 관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외 권장 조도의 개정 동향에 맞게 국내 조도규격에 대한 개정과 추후 도서관 조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관심이 지속된다면 국내 공공도서관 조명 개선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appearance of the library has changed dramatically more than ever, and it is true that the spatial factor of the library is a big part of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improvement of the illuminance standard of library by comparing analysi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외 조도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실측 조사 그리고 각국의 조도 관련 기준을 비교하여 도서관의 조도 기준의 개선 방향의 기준을 마련하고 도서관의 학습 및 열람공간과 전반적인 이용자 공간의 더 나은 조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조도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분명 도서관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전략적으로 우선순위를 정해야 할 것임은 당연하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일어나는 가장 근본적인 행위인 ‘읽고’, ‘학습하는’ 본연적 가치에 주안점을 두고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조명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의 환경요소는? 도서관의 공간은 외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도서관의 ‘읽는다’, ‘학습한다’ 등의 본연적내적 가치 행위가 일어나게 하는 장소로써 연계적 가치의 특성 또한 지닌다. 이에 도서관의 공간적 요소는 매우 중요하며 공간의 크기, 마감재료, 천장, 색채, 채광과 조명, 환기 및 통풍, 소음, 실내 온도와 습도, 가구 등과 같은 도서관의 환경요소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환경 요소 중 무엇보다 주안점을 두어야 할 요소는 채광과 조명이다.
도서관의 역할은? 현대 사회에서 도서관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발전 양상을 보인다. 이렇게 도서관의 역할은 공공의 장소로 누구나 자유롭게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고, 공유 할 수 있으며, 쉬어 가는 휴식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한 가운데는 도서관의 공간적 요소 또 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의 ‘도서관 기준’에서 채광과 조명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이유는? 이에 도서관의 공간적 요소는 매우 중요하며 공간의 크기, 마감재료, 천장, 색채, 채광과 조명, 환기 및 통풍, 소음, 실내 온도와 습도, 가구 등과 같은 도서관의 환경요소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환경 요소 중 무엇보다 주안점을 두어야 할 요소는 채광과 조명이다. 이들 요소들은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가장 근본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독서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의 ‘도서관 기준’에서는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S. Lee, J. Y. Park & E. J. Seo. (2015). A Study on Image Evaluation consequent on Lighting Environment in time of reading in Learning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9(9), 1-9. 

  2. J. S. Yang & J. H. Kim. (2013). A Study on White LED Lighting of Interior Space for the Readability by 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7(1), 1-9. 

  3. J. S. Lee. (1999). Lighting Design for the Aging Human.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43(4), 35-39. 

  4. J. E. Lee & A. S. Choi. (2005). A Study of Luminous Environment for Standard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9(3), 1-9. 

  5. K. C. Smolders, Y. De Kort & P. J. M. Cluitmans. (2015). A higher illuminance induces alertness even during office hours: Findings on subjective measures, task performance and heart rate measures. Physiology & Behavior, 107(1), 7-16. 

  6. J. Y. Shin, S. Y. Chun & C. S. Lee. (2013) Analysis of the Effect on Attention and Relaxation Level by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of LED Lighting using EEG Sign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7(5), 9-17. 

  7. X. Zhong, Y. Tu, B. Wang, K. Jin, Y. Wang, K. Teunissen. (2017). Influence of Illumination Level on Visual Fatigue and Lighting Preference for Different Age Groups in China. SID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48(1), 1808-1811. 

  8. S. B. Lee. (2006). A study on the interior illumination environment for children's library.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 

  9. J. E. Seo, H. J. Kim, S. H. Kim & O. H. An. (2009).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Illumination Environment in Public Librarie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3(3), 1-9. 

  10. D.K. Kilic, D. Hasirci. (2011). Daylighting Concepts for University Libraries and Their Influences on User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7(6), 471-479. 

  11. A.R Othman, M. Mazli. (2012). Influences of Daylighting towards Readers' Satisfaction at Raja Tun Uda Public Library, Shah Alam,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68, 244-257. 

  12. P.N. Grocoff. 1995. Electric lighting and Daylighting in schools. CEEPI IssueTrak. 

  13. K. Anandasivam, C. F. Cheong. (2008). Designing a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NTU's New Art, Design & Media Library. The Electronic Library Oxford, 26, 650. 

  14. J. Ries. (1998). Nine steps to a successful lighiting retrofit. Scholl Planning and Management. 

  15. F. Shilipf, J. Moorman. (2002). let there be at least half-way decent light: How Library Illumination systems Work - and Don't Work." Summary of a presentation at the Public library association Conference in phonex. 

  16. D. Malman. 2005. Lighting for libraries, Libris Design Project. 

  17. Z. Greivulis, M. Inanici. (2008). Composing with Light: An inside-out Evaluation of the Role of Intuition and Simulation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Conference on Passive and Low Energy Architecture, 354. 

  18. T. E. Lesneski, C. Gallina. (2014). Lighting Quality, Not Quantity, Library Journal, 7-9. 

  19. S. J. Cho, J. H. Park. (2018). A Study on User-Centered Emotional Illumination Design Using Color Temperature of Ligh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445-454. 

  20. H. R. Kang. (2015).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a Convergence Color-Responsive Lighting Bookc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267-273. 

  21. M. G. Cho. (2017).A Study on Remote Cultivation Consignment System for Hobby using LED Plant Facto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49-54. 

  22. J. H. Yoon, S. K. Kang. 2018. A Study on Improvement of Protaetia brevitarsis Breeding Environment using Soil Sensor.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8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