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관한 요인
Factors o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293 - 299  

임영명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차태현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의 여가제약 요인이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자료 변수를 내적제약과 외적제약 요인 그리고 여가활동은 수동적/능동적 참여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유형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내적/외적제약과 여가활동 참여유형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동적 여가활동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제약 2개, 외적제약 3개 변인의 설명력은 48%, 능동적 여가활동은 내적제약 2개, 외적제약 5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9%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장애인들의 다양한 제약요인을 바탕으로 여가활동의 참여 촉진을 위해 방안이 마련되어야하며, 여가와 장애에 관련된 두 학문적 주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검토와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leisure barriers on participation type of leisure activities in disabled in Korea. The raw data variable of '2014 Disabled People Status Survey' were categorized as internal/external barriers and leisure type.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관련정책적인 요인이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최종분석대상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총 6824명 중 만 20세 이상의 성인 장애인으로 제한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국내 장애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관련된 내적제약 요인, 외적제약 요인이 여가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 촉진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여가활동 제약요인을 분류하고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체적인 기능수준을 위해 재활의 중요성과 기본 소득보장, 지역사회 이동수단, 정보 습득과 관련된 제약요인에 대하여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학제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조사는 국내 장애인구의 인구학적 특성과 장애유형별 특성 그리고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등에 대한 통계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조사내용은 판별조사표와 심층조사표로 구분되어 있으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유형별 특성과 보건의료/건강, 일상생활 지원, 장애인보조기구, 사회 및 문화여가활동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은 무엇인가?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 에서 지속적으로 상당한 제약을 받는 대상을 의미한다[ 1].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의하면 국내 장애 인구는 2,726,910명으로 나타났다[2].
여가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여가활동은 다양한 사회적 구성원과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며, 원만한 사회적 관계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4]. 또한 개인의 건강 증진[5], 문화 행사및 종교 활동, 외출 등의 여가활동을 통해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하기위한 개선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국내 장애인을 위한 여가활동은 인프라 형성 및 관련된 여가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22]. 이와 관련된 적절한 환경조성, 시설확충, 예산지원, 기본적 소득 보장 등의 정책적 검토와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 이다[23]. 또한 국내 장애인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제약 요인을 고려하고, 그들이 삶을 즐길 수 있도록 가능한 수준과 범위 내에서 여가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접근방법 및 관리체계에 맞춘 초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Disabled person Welfare law. Law No 13663.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Disabled People Status Survey. 

  3. D. Y. Lee. (2014).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dex of the 5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isability & employment, 24(3) 99-122. 

  4. P. J. Chang, L. Wray & Y. Lin. (2014). Social relationships, leisure activity, and health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33(6), 516. 

  5. J. Kim, M. Kim, E. MaloneBeach & A. Han. (2016). A study of health perception,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leisure activity among Koreans with a physical disability.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1(3), 791-804. 

  6. R. Pagan. (2015). How do leisure activitie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Evidence for German people with disabilitie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0(4), 557-572. 

  7. D. Blacker, L. Broadhurst & L. Teixeira. (2008).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leisure adaptation with complex neurological disability: a discussion using two case study examples. NeuroRehabilitation, 23(4), 313-319. 

  8. I. Brown. (2003). Quality of life and disability: An approach for community practitioner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9. D. A. Francken & W. F. Van Raaij. (1981). Satisfaction with leisure time activ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3(4), 337-352. 

  10. D. W. Crawford & G. Godbey.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2), 119-127. 

  11. S. J. Schleien, M. T. Ray & F. P. Green. (1997). Community recreation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Strategies for inclusion. PH Brookes Pub. 

  12. B. Hawkins. (1997). Promoting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and recreation. 1997). Quality of Life: Application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2, 117-129. 

  13. D. A. Kleiber. (1980). Free time activi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a preliminary analysi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3), 205-212. 

  14. L. L. Caldwell & A. A. Gilbert. (2009). Leisure, health, and disability: A review and discussion. Canadian Journal of Community Mental Health, 9(2), 111-122. 

  15. Y. H. Jeong.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Disabled Who Had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Tourism Institute of Northeast Asia, 9(1), 215-233. 

  16. D. W. Kim.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community attach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305-313. 

  17. E. K. Yun. (2007). Influence of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by the adult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 based on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 (Master's thesis). Catholoc University of Korea. Seoul. 

  18. F. A. McGuire. (1984). A factor analytic study of leisure constraints in advanced adulthood. 

  19. L. A. Raymore. (2002). Facilitators to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4(1), 37-51. 

  20. T. Kay & G. Jackson. (1991). Leisure despite constraint: The impact of leisure constraints on leisure par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3(4), 301-313. 

  21. L. McAvoy. (2001). Outdoors for Everyone: Opportunities that Include People with Disabilities. Parks & Recreation, 36(8). 

  22. D. G. Hong, H. Y. Jeong, J. H. Park, S. K. Kim. (2015). The Effect of a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Stroke Patients on Level of Leisu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3), 15-24. 

  23. C. K. Oh, I. H. Park & H. Jang. (2014). Intermediary Effect of Leisure Restri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Type of Leisure Satisfaction on Physically Disabled People. Korea Academy of disability and Welfare, 27-46. 

  24. D. W. Kim. (2015). Wheelchair tennis has ever fusion of classroom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emotional and exercise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15-23. 

  25. C. Aitchison. (2009). Exclusive discourses: Leisure studies and disability. Leisure Studies, 28(4), 375-386. 

  26. K. A. Henderson, D. Stalnaker & G. Taylor.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to recreation and gender-role personality traits for wo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0(1), 69. 

  27. K. Alexandris, C. Tsorbatzoudis & G. Grouios. (2002). Perceived constraints on recreational sport participation: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 with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4(3), 233-252. 

  28. J. K. Lee, D. K. Kim & M. S. Lee. (2007). Influences of Leisure time and Leisure activity pattern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40-time workweek system on the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job, and Life of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46(2), 301-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