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0-70대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Appearance concern,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of the 60s and 70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8, 2018년, pp.401 - 411  

이영희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고성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윤옥종 (일본 토쿠시마분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G시 여성노인 1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은 60대군과 70대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삶의 질은 60대군과 70대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0대군에서는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39.1%의 설명력이 있었다. 70대군인 경우 자아존중감, 교육수준이었으며 41.7%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는 여성노인의 외모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노화 준비교육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earance concern,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self-esteem,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on elderly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162 elderly women in the G city.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0, 70대 여성노인들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60대와 70대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관심도는 60대군, 70대군 모두 약간 높은 편이었고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는 모두 중간 이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이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나 건강증진 프로그램시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젊은 사람 중심의 미의 기준에서 노인들을 위한 미에 대한 문화적 공감대 형성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노인뿐만 아니라 다른 세대들에게도 노화준비 교육, 외모관리 등을 포함한 노인, 노화에 대한 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시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60대와 70대를 중심으로 여성노인들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을 파악하고 제 변수들과 삶의 질 관계를 파악하므로서, 여성노인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란? 여성들은 누구나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고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외모는 개인이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지각하며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며[1], 외모관심이란 한 개인의 원활한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과 개인 스스로를 위하여 의복, 화장, 피부, 몸매 등 전반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을 말한다[2].
여성노인들이 미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 전반의 미의 기준이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여성노인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노인도 다른 연령대의 여성과 다르지 않다[1]고 한다. 나이든 여성들을 주로 질병, 쇠퇴, 상실로 분류하여 여성들의 나이 듦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3], 여성들의 몸을 수동적이며 바람직하지 못하며 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왔지만[4] 의학의 발달과 함께 수명 연장과 사회활동의 증가,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삶의 의식의 변화로 여성노인들도 미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5]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여성노인들의 대인접촉이 활발해지며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할 기회가 많아지고 외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외모관심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6].
일부 노인 여성들에게 미용성형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외모관리행동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미용성형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시술을 받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미용성형을 통하여 자신감과 사회적 승인으로 인한 만족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7]. 특히, 일부노인여성들은 다른 소비자층보다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상대적인 여유와 높은 구매력을 지니고 미의 추구에도 많은 관심과 소비행동을 보여 성형외과를 찾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7]. 노인들이 외적 이미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리할수록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생활의 활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된다[8]고 한 것을 볼 때 노인의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는 삶의 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H. Park, M. J. Park & S. B. Jeon. (2013). A study of effects of elderly women's interest in appear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1(2), 383-391. 

  2. H. M. Jang. (2010). Study on the effects of outer appearance on the self-esteem of senior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 H. J. Choi. (2005). A study on middle-aged women's ag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women who have undergone cosmetic surgery.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6(1), 109-132. 

  4. J. Elfving-Hwang. (2016). Old, down and out? appearance, body work and positive ageing among elderly south Korean women. Journal of Aging Studies. 38, 6-15. 

  5. Y. J. Song. (2012). Breaking age barriers: adornment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Journal of Social Research. 13(2), 83-111. 

  6. F. R. Ferraro, J. J. Muehlenkamp, A. Paintner, K. Wasson, T. Hager & F. Hoverson. (2008). Aging, body image, and body shape.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35(4), 379-392. DOI : 10.3200/GENP.135.4.379-392. 

  7. E. K. Kim. (2011). Perceptions and behavioral patterns of silver generation women's skin care and cosmetic surgery.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8. Y. J. Lee & B. I. Seo. (2010). Research on the type of the old caring appearances according to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2(2), 59-75. 

  9. E. S. Yi, C. W. An & G. S. Cho. (2017). The medit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Korean new elderly class's recovery resilience and productive ag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255-263. DOI : 10.15207/JKCS.2017.8.5.255 

  10. Y. H. Kim & K. S. Kim. (200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Gerntological Social Welfare, 17, 157-189. 

  11. D. H. Yun. (2017). Convergent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45-354. DOI : 10.14400/JDC.2017.15.9.345 

  12. W. R. Lassey & M. L. Lassey. (2001+). Quality of life for older peopl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3. M. R. Kim. (2012).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 comparison by age and gend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1), 145-161. 

  14. S. H. Lee. (2013).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523-535. DOI : 10.14400/JDPM.2013.11.12.523 

  15. S. Moon. (2017). Gender difference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59-271. DOI : 10.14400/JDC.2017.15.6.259 

  16. S. K. Min, C. I. Lee, K. I. Kim, S. Y. Suh & D. K. Kim.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17. S. K. Choi, S. J. Jeong & M. S. Chu. (2014). Effects of appearance care behavior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 689-696. 

  18. Y. S. KIm & C. E. Lee. (2002). Self-perception of the physical appearance among elderly people.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0(2), 67-81. 

  19. M. H. Choi & J. D. Kim. (2007). A study on feeling of women about aesthetic sense and aesthetic surgery according to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2), 547-566. 

  20. E. J. Son. (2012). Critical factors of the intention of plastic surgery among women: a comparison of young and middle-aged group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1), 149-173. 

  21. S. B. Shin & J. Y. Park. (2015).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The Journal of Asian Women. 54(2), 7-46. 

  22. J. W. Choi, M. U. Chun & S. G. Kang.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31-444. DOI : 10.15207/JKCS.2017.8.12.431 

  23. R. L. Kahn & F. T. Juster. (2002). Well-being: concepts and measures. Journal of Social Issues, 58(4), 627-644. 

  24. K. R. Jeon & M. H. Lee. (2002). A study on the need, self-esteem, and aesthetic surgery attitude of fem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6), 71-83. 

  25.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B. J. J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29. 

  27. S. M. Jo, S. J. Bae & E. J. Kang.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current use status according to women users' perception on medicinal herb cosmetic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27-36. DOI : 10.22156/CS4SMB.2018.8.1.027 

  28. M. Y. Lee. (2017. 2. 25). Plastic surgery of the silver in the age of 100 on cultural landscape. The Joogang, p. 17. 

  29. Y. R. Park & Y. J. Son. (2009).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 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16(3), 353-361. 

  30.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19. DOI : 10.22156/CS4SMB.2018.8.2.001 

  31. H. K. Kim, H. J. Lee & S. M. Park. (2010).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279-292. 

  32. N. R. Bae & C. S. Park. (2009).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 29(2), 761-7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