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인도의 국가 발전 비교 연구 : 평생 사회 교육의 측면에서 영향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India : in the aspect of lifelong social education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3 no.2, 2018년, pp.87 - 94  

메타 제이딥 챈드라칸트 (남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평생 교육이 교육 특성의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평생 학습을 위한 지원 시스템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자기 교육의 보편화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 목표는 삶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이다. 평생 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성명서는 주로 사회 변화의 가속화와 평생 지속되기에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는 본 시스템의 불가능성에 근거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관성, 변화에 대한 저항, 동기 및 비용이 포함되었다. 반대자들은 평생 교육을 착취와 통제 목적으로 의무 교육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간주 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지지자들 사이에 중요한 합의점이 있음을 밝혀냈지만 많은 의문점이 남아 있다. 평생 교육의 완전한 이행 가능성은 멀리 떨어진 것으로 간주되며, 평생 교육은 방향과 목적의 원천, 사회가 지향해야 할 이상으로 해석되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is regarded as a support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which includes all activities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ultimately has the goal of universalization of self - education. The goal is to successfully adapt to life. Statements support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게다가 정부는 인도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비공식 교육의 효과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데이터와 정보 (정보 통신 기술 : ICT)로 교외에 봉사하기 위한 학습 자원 센터 (LRC)를 개발하려고 한다.
  • 평생 사회 교육이 인도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설명하고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국가 평생 교육 발전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살펴본다. 평생 사회 교육 발전의 진정한 관심사를 장기적 관점에서 다루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 일관성과 다단계 조정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접근법을 채택하고 다른 국가의 경험을 활용하여 다양한 체계적 결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평생 교육법은 1999년에 이름을 변경하고 이전의 사회 교육법을 확대하여 설립되었다. 목표는 모든 사람에게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학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 법은 주 및 지방 정부가 모든 시민의 지속적인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평생 교육 제공을 위한 시설을 확보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 이 논문에서 제시된 개념과 결론을 일반화 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 진보의 전형적 또는 규범적 방식과 양국 간의 사회적 지향과 실천을 비교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 및 기술적 변화와 국제 교류 및 소통의 증가로 모든 시스템이 변화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의 평생 사회 교육 시스템의 약점을 파악하고 다른 국가의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을 토론하는 데 있습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평생 사회 교육 시스템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의 평생 사회 교육 시스템의 약점을 파악하고 다른 국가의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을 토론하는 데 있습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평생 사회 교육 시스템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평생 사회 교육이 인도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설명하고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 첫째, 이 논문에서 제안된 이론적 틀은 교육 연구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평생 사회 교육 시스템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평생 사회 교육이 인도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설명하고 변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의 국가 평생 교육 발전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정부가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해 혁신적으로 진행한 프로젝트는 무엇인가? 그 노력 중 하나는 교육 정책의 기본 틀이 학교 교육에 대한 과거의 초점에서 평생 사회 교육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매일 만들어지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 수 년간의 학교 교육을 통해서만 오늘날 요구되는 지식과 정보를 개인이 습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평생 학습의 큰 목적은 무엇인가? 지식 중심의 인도 사회 발전에 힘입어, 대학 교육 과정과 기업 실무 간의 지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평생 학습을 위한 제도적 및 정책적 틀이 계획되어있다. 그러나 평생 학습은 특히 사회 경제적 후진으로 인해 공식 교육을 받을 여력이 없는 시민들에게 정보가 풍부하고 정보가 난한 시민들 간의 지식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고안되어야 한다. 도시와 농촌 사회는 직업, 사회, 문화 및 개인 생활을 위한 의사 결정 기술을 일반 시민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평생 학습 추진의 또 다른 범위를 통해 통합될 수 있다.
성인 교육에 대한 투자가 지연된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산업화가 시작되자 한국은 처음에는 단순한 제품으로 세계 시장에 진출했기 때문에 많은 수의 저 숙련 노동자가 필요했다. 둘째, 1961년의 2,580만에서 2003년의 약 5,000만에 이르는 거대한 인구 증가는 세대가 바뀌면서 노동 인구의 기술 구조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tchoarena, D. & Hite, S. (2001). Lifelong learning policies in low development contexts: An African perspective. In D. Aspin, J. Cahpman, M. Hatton and Y. Sawano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lifelong learning.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 Byun, Jong Im et al.,(2005). Analysis of the Operational Outcome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Seoul: KEDI 

  3. Choi, Un Shil et al.,(2005). Comprehensive Diagnosis and Formulation of Strategic Development Model for Korean Lifelong Education. Seoul: KEDI 

  4. Chun et al.,(1999). The Study of the Participant Rate and the Price Analysis of the Adult Education. Seoul: KRIVET 

  5. Curtain, R. (2002). Online deliver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 : Improving cost effectiveness. National Centre for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NCVER), Kensington Park, SA, Australia. (retrieved 24 April 2003) 

  6. Doolittle, P.E. (2001). 'Multimedia Learning : Empirical Resul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retrieved 26April2003) 

  7. Grepperud G. and Johansen O.E. (2000) "A future for lifelong learning" Some comments on a Nordic scenario project" in Reforms and Policy: adult education research in Nordic countries, Tapir Academic Press. 

  8. Krishna Reddy, B, Subba Reddy, PV & Ramakrishna, S. 1996. An Evaluative Study of Training Programmes for Volunteers of Total Literacy Campaign in Andhra Pradesh. Hyderabad: State Resource Centre. 

  9. Lal Das, Y & Nand Singh, S. 2000. Improving the Training of Literacy Personnel and their Social Status in the Context of Literacy Work. Patna: State Resource Centre for Adult Education 

  10. Mukhopadhyay, Marmar (2002) Rural Schools and Community Development: Indian Scenario. Paper presented at Beijing, China. 

  11. Mauch, Werner and Narang, Renuka (Eds.) 1996. Lifelong Learning and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Hamburg, Germany: UNESCO Institute of Education and Mumbai, India: Department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Extension, University of Mumbai. 

  12. Agarwal,BC (2005) 'Education Media in India' in V Naidoo & H Ramzy (eds) Educational Media in Asia, Commonwealth of Learning, Vancouver, (pp.11-24) 

  13. Dikshit H.P. (2006) Re-engineering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ICT Enabled Education: in IGNOU perspective in Open and Distance Education in Global Environement,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Suresh Garg, SantoshPanda, CRK. Murthy and SanjayaMishra (Ed's), Viva Books Private Ltd., New Delhi, India. 

  14. Suh, JH. & Chen, D. H. C. (eds.) (2007). Korea as a Knowledge Economy: Evolutionary Process and Lessons Learn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World Bank Institute, Washington, DC.: World Bank. 

  15. Tough, A. (1979). The Adult's Learning Project. (2nd ed.). Ontario: Th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6. Wu, M. L. (2004). Lifelong Learning: Ideas and Practices. Taipei: Wu Nan Publishe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