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 수준별 자유탐구 안내자료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for Elementary Student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7 no.3, 2018년, pp.233 - 253  

임라미 (서울난향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open inquiry of science was formally introduced at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urse, the purpose and effect of it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and it is underlined continuously until the revised science education course in 2015. However, through many previous studies, there is st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가 오랫동안 학교 과학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겨진 이유는 무엇인가 탐구는 추론 능력을 길러주고, 높은 수준의 사고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오랫동안 학교 과학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겨왔다(German & Odom,1996).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꾸준히 강조해 왔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임채성, 2009)은 정의적(A), 행동적(B), 인지적(C) 영역에서 각각 다양화(D)→ 비교․추정․평가(E) → 적용․확장(F)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ABC-DEF), 과학자들이 탐구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보편적 과정대로 학생에게 실제적인 과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것이므로 초등 과학 자유탐구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이 학생 자신의 과학 자유탐구에 도움에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밝혔다(백자연 등, 2015)
능동적으로 지식을 스스로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서는 어떤 경험과 활동이 요구되는가? 앞으로의 과학교육에서는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구성주의적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즉 학습자가 자율성과 선택권을 가지고 자신의 흥미와 관심, 수준 등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지식을 스스로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강인애, 1997). 이를 위해서는 탐구 중심의 과학 학습을 통해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필요하며(김재우 등, 1998), 학생들이 자유탐구와 같은 실제적인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강석진, 임희준, 여상인, 최선영, 신명경, 정용재(2011). 과학 교수-학습 지도 자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 초등과학교육, 30(3), 296-304. 

  2. 강인애(1997). 객과주의와 구성주의: 대립에서 대화로. 교육공학연구, 13(1), 3-19. 

  3.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권현영, 김효남(2016).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7(1), 153-172. 

  5.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6.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금성출판사. 

  7.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8.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KECE, 연구보고 RRE 2008-3-1, 222. 

  9. 김기쁨(2014).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 활동과 과학 창의성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97-301. 

  11. 김재윤, 임희준(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554. 

  12.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13.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4. 김효남, 최돈형, 임채성, 윤선진, 김대현, 정영미(2003). 초등과학 교수.학습 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77-93. 

  15. 민수진(2014). 교수자료 동기척도(IMMS)의 국내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회지, 15(3), 419-443. 

  16. 박미경(2016). 속성배추(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자유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7(4), 261-281. 

  17.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8. 박영신(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탐구로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401-415. 

  19.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20. 변광태, 김학성, 윤마병(2011).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탐구문제 발견과정의 사례 분석. 현장과학교육, 5(2), 117-128. 

  21.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2006).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5(4), 339-351. 

  22. 신영민, 김현경, 최병순(2010).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33-543. 

  23. 신원섭, 신동훈(2014). 초등과학부진학생의 기초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95-806. 

  24.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 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25. 이국환, 김효남(2014).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활동에서 자기 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5(1), 133-149. 

  26. 이미경, 정은영(2004). 한국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27. 이수영(2001). 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형철, 이정화(2010). 자유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 교사들의 자유 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경북대학교), 34(2), 405-420. 

  29.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2010). 초등예비교사들이 자유탐구 활동 중에 겪는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30.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31.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32. 임채성, 김재영, 백자연(2012).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과학 태도와 흥미 주제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1(4), 541-557. 

  33. 장신호(2006). 학생들의 과학적 설명을 강조하는 탐구 지향 교수 활동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5(1), 96-108. 

  34. 장진아, 전영석(2009).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수준에 적합한 안내된 자유탐구 교수학습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36. 조희형(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37. 최윤미, 남철우(2002). 수준별 학습지 활용 수업이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1(1), 111-126. 

  38. 최인수(2011). 창의성의 발견. 파주: (주)쌤앤파커스. 

  39. 최종현, 송상헌(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7(2), 169-192. 

  40. Amabile, T. M., Barsade, S. G., Mueller, J. S. & Staw, B. M. (2005). Affect and creativity at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3), 367-403. 

  41. Buch, L. B., Bretz, S. L. & Towns, M. H. (2008). Characterizing the level of inquiry in the undergraduate laboratory.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8(1), 52-58. 

  42. Bulunuz, M., Olga, S. & Jarrett, L. M. H. (2012). Level of inquiry as motivator in an inquiry methods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2(6), 330-339. 

  43. Chang, C. C., Tseng, K. H. & Lou, S. J.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istency and difference among teacher-assessment, student self - 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in a Web-based portfolio assessment environ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Computers & Education, 58, 303-320. 

  44.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45. Costenson, K. & Lawson, A. E. (1986). Why isn't inquiry used in more classroom.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8(3), 150-158. 

  46. Dunbar, K. (1993). Concept discovery in a scientific domain. Cognitive Science, 17, 397-434. 

  47. Dunbar, K. (1995). How scientists really reason: Scientific reasoning in real-world laboratories. In R. J. Sternberg & J. Davidson (Eds.), Mechanisms of insight, Cambridge, MA: MIT Press. 

  48. Dunbar, K. (1997). How scientists think: Online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 S. Vaid (Eds)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Emergence, discovery and change. Washington, DC: APA Press. 

  49.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TOSR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50. German, P. J. & Odom, A. L. (1996). Student perform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 and form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4), 192-201. 

  51.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enquiry. School Review, 79, 171-212. 

  52. Keller, J. M. (2000). How to integrate learner motivation planning into lesson planning: The ARCS model approach. Paper presented at VII Semanario, Santiago, Cuba. 

  53. Keller, J. M. (2010).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RCS model approach. New York: Springer. 

  54. Kirschner, P., Sweller, J. & Clark, R. 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75-86. 

  55. Klahr, D. & Dunbe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56. Moravcsik, M. (1981). Creativity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65, 221-227. 

  57.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58. Reiff, R., Harwood, W. S. & Philipson. T. (2002). Scientists's conceptions of scientific inquiry: Voices from the front.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59. Robbins, B. S. (2015) An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that motivate teachers to implement inquiry in the science classroom. India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Quest Kissertations Publishing. 

  60. Schwab, J. J. & Brandwein, P. F.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The teaching of science. (pp. 3-103).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1. Spencer, H. (1864). Educati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NY: DAppleton and Company. 

  62. Stenberg, R. J. (1998). A propulsion model of types of creative contributions. Review of General Psychlology, 3, 83-100. 

  63. Walker, C. & Gleaves, A. (2008). An explor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creativity as an assessment criterion in undergraduate - Level studies within higher education. Irish Educational Studies, 27(1), 41-54. 

  64. Yang, C. M., Hung, J. F. & Huang, T. C. (2014). The effect on enhancing students' inquiry abilities via step-by-step open-ended inquiry teaching design. US-China Education Review A, 4(12), 887-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